• [기본] 설국열차 감상 후기 (스포)2013.08.08 AM 08:52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영화의 내용은 사실 크게 어려울게 없습니다.


영화 내의 몇몇 장면들이


숨겨진 뜻을 암시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건 개개인이 각자 해석할 즐거움으로 남겨두면 될 일이고,


대체로 연출이 명확하고 의도가 노골적이기에


영화를 감상하고 나서 받아들이는 메시지는


관객들 모두에게 큰 차이가 없을겁니다.


다만 그것을 표현하고 풀어나가는 방식과 결말에 관해서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네요.


무엇보다도 제가 가장 감명깊었던 건 열차 그 자체입니다.


인류와 세상 자체의 시스템을 '열차'라는 매개물을 통해 구조적, 시각적으로


나타낸건 정말이지 감탄스러운 비유더군요.


통제되고 어두운 터널과도 같은 공간에서 그 앞을 예측할 수 없는,


각가의 칸이 독립된 특징 때문에 앞으로 나아갈 때마다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효과도 있고


전진 = 진화의 의미를 부여해 칸을 넘어설 때마다 새로운 환경을


맞이해 각각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인류 진화를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표현법도 인상깊었으며 외부와 단절된 구조 때문에 '시스템'에 어느정도


정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만족할만한 엔딩 역시 가능했다는 점도 훌륭했구요.


그 과정에서 빛과 어둠의 시각적 대비라거나 계급과 피계급간의 투쟁,


종교와 독재 등에 대한 우회적 비판 역시 때로는 진중하게, 때로는 위트있게


완급조절을 통해 노련하게 담겨있는 것도 역시 감독의 역량 덕분이겠죠.


봉준호 감독 영화의 공통적 특징이라면 아무래도 인류애적 시각과 희망적 미래를 향한 메시지랄까요.


사실 미셸 푸코가 지적했던 대로 급격한 비판과 혁명은 현상태로의 귀결을 낳기에,


시스템이 그대로 유지된 채 권력만을 탈취한다는 발상은 참 허망한 것이지요.


시스템의 기관장이 다른 사람으로 바뀐다해도,


여전히 열차는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정해진 선로 위를 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아이들은 지배자와 시스템을 찬양하는


흡사 종교와도 가까운 주입식 교육을 계속 받을 것이며


꼬리칸의 사람들은 사회 질서의 유지와 안녕을 위해 여전히


반복되는 비참한 삶을 강요당할 겁니다.


문제 해결의 핵심은 권력의 교체가 아닌 그곳으로터의 탈출에 있고,


커티스와 다른 방향으로 이를 모색하던 남궁민수가 실현하려 한 방법이 이것이죠.


마지막 순간 커티스는 양팔로 여자를 끌어안는 (권력을 선택하는) 대신에


길리엄이 그 자신을 희생해 식인의 아비규환, 태초 원시사회의 혼돈으로부터


진화를 이끌어 낸 것처럼 시스템 밖으로의 탈출을 돕는 진보적인 희생을 이뤄냅니다.


개인적으로 커티스의 양자택일이 이 영화에서 가장 흥미진진하게 본 부분이었는데,


역시 봉준호 감독의 결말은 어둡게 흘러가진 않더군요...


자, 이제 인류는 마침내 긴 여행을 끝내고


반복되던 패러다임의 틀에서 벗어나


눈부시게 새하얀 순백의 신세계에 도달했습니다.


아니면 이곳은 그저 눈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폐허일 뿐인걸까요?


추위와 황량함에 내던져진 생존자들에게 이곳이 유토피아가 될지


열차보다 조금 더 큰 새로운 감옥이 될 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카메라가 비추는 북극곰과 아이들의 표정은 그다지 어두워 보이진 않는군요.





댓글 : 20 개
좋은글이네요 어제 보고 와서 그런지 동감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전 마지막 장면에 엔진의 AS 필요성과 아이.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 어른이 아이를 감싸 안는 부분이 묘하게 배치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은 시스템을 보호할 뿐 그 구성원인 사람은 보호하지 않는다. 사람을 보호할 건 사람 뿐이다 라는 메시지 정도? 제게는 그랬습니다.

여담으로 결말 해석에 대해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시각이 확연히 다르더군요.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
ㄴ 팔짤린 아저씨 아들은 그냥 사이즈에 맞춰서 데려간걸로 봤습니다...
인종 상관없이
전작들은 되게 저랑 안맞았는데 이번작품은 아주 재밌게 봤습니다. 특히 엔딩이 맘에 들었는데 여기서 의외로 여기서 호불호가 갈리더군요
헐...오랜만이네요
영화 뿐 아니라 실제로 사회의 모든 메커니즘이 결국엔 다 짜여진 것이다. 인구도 환경도 먹는 것 심지어 그것에 대한 반란(시위)까지도(경향의 부분에서) 다 특정의 소수가 예상했던 범위 내에서, 소수가 생각하는 필요에 의해 구성되어지고 조절된다.

라는 생각이 들게 하더군요. 그것을 전복시키는 것 또한 결국 소수에 의한 것. 그리고 그것도 어느 정도 예상 범위 안에 있다는 것.

뭐 이런 결론을 내려서 재미는 있었는데 뭔가 씁슬해지는 영화였습니다
★고라파덕★//
엔진 부품으로 이용되는 아이 중 한 명은 백인 꼬마 아닌가요?
(신발 던졌다가 팔이 불구가 된 아저씨의 아들)
제가 보고싶은 것만 봐서 그런걸까요.

엔진실에서 그 아이를 못본것같은데,

일단 댓글은 삭제를 했습니다 ㅠ
저도 간만에 재밌게 보고옴
같은값에 아이맥스 스크린으로 크게봄 ㅋㅋ
남쿵이 성이고 민수가 이름이야 시새발끼들아
고아성은 뉴타입 이던데
청각이 굉장히 뒤어난 것 같더군요.
  • hsuk
  • 2013/08/08 AM 09:57
마지막에 윌포드가 길리엄이 자기와 인식을 같이하는 동료였다 말하는 부분
영화를 볼때는 구라치는거구나 했는데 (길리엄이 윌포드의 혀부터 잘라버려야된다 =달변가로 생각) 봉감독 인터뷰한 것 봤는데 진짜 생각을 같이했던 동료라는것에 좀 놀랐습니다
저도 길리엄이 "윌포드가 말을 하게 두지 마라"고 하길래 다 구라구나 생각했는데...
길리엄은 엄밀히 말해 타협을 한 혁명가지 뜻을 같이한 배신자는 아니기 때문일 겁니다.(배신이긴 하지만..) 가능성을 보여준 커티스에게 미래를 맡기고 싶은 생각이 든거죠. 그랬기에 윌포드의 말을 듣지 말라라고 말한 겁니다.
즐겁고 재미나게 봤습니다.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던데요^^)
저도 어제 봤는데 열차라는 폐쇄된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을 사회에 빗대어
표현한 것, 계급간의 갈등, 사회 구조 이런 부분은 참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계속해서 윌포드를 향해서 열차 앞칸으로 나아가는 커티스와는 다르게 문을 열고
열차 밖으로 나가려하는 남궁민수 박사의 모습에서 현재 사회구조속에서 지도자가
바뀐다고 사회는 달라지지 않고 아예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감독의
메세지가 있었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도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잘 표현해서 맘에 들었습니다.
인류의 운명은 북극곰과 함께 콜라를 마시느냐 북극곰의 진수성찬이 되느냐라니!
어느 분의 해석에 따르면
폭발로 인해 열차가 뒤집어지며 '문'이 '곰'으로 뒤집혀..마지막에 곰..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