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ㄴㅋ MYPI

ㅋㄴㅋ
접속 : 1515   Lv. 32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8 명
  • 전체 : 106640 명
  • Mypi Ver. 0.3.1 β
[보드게임] 보겜하길 잘했어.. (6) 2020/07/10 AM 03:04


 

2-3년전쯤부터 보드게임을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시작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으로 

동네 주변에서 모이는 모임을 둘러 보다가 

 

보드게임 방이 있어서 가볍게 가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뭐 예전부터 보드게임에 관심이 있어서..

모임은 아니고 아주 가끔 번개형식으로 무작위 사람들을 초청해서

 

보드게임을 같이 하곤 했었네요

 

그러다가 본격적으로 시작한게 2-3년 전이네요

 

 

처음에는 가벼운 카드게임 위주의 쉬운 게임을 주로 하면서 

 

배워가기 시작했습니다

 

재미도 있었고 사람들과 만나서 이야기 하는것도 좋았습니다

 

 

그모임에서 한달쯤 다닐때 동네 주변에 새로운 보드게임 모임을

 

만드는 소규모 방이 있어서 거기서 뿌리를 내려서 이런게임 저런게임

 

많이 즐기면서 많이 배우고 별에 별일을 다 격었네요..

 

 

처음 갔던 모임은 방장이였던 분이

 

멘탈이 나간건지 방을 파괴해 버려서 모임이 사라졌고

 

 

두번재 모임은 규모가 상당히 커지다가 인근에 다른 큰모임과 

 

합쳐져서 지금은 동네주변이 아닌 다른곳에서 모임의 터전이 바뀌어버렸죠

 

그 안에서 일어났던 여러가지 안좋을꼴을 보다보니 

 

정이 다 떨어져서.. 

 

결국은 나와버렸고..

 

 

그리고 다시 동네 새로운 모임이 생겨서 

 

거길 또 갔었는데 한 열댓명 규모로 

 

규모도 커지고 그랬는데

 

방장이랑 그 주변인들 하는꼴이 

 

보드게임 모임을 원하는게 아니고 

 

그냥 모여서 친목질 하는데 보드게임을 미끼로 사용하더군요..

 

일반적인 보드게임 모임도 못열게 자기 맘대로 

 

규칙을 이랬다 저랬다 바꾸면서 정내미가 뚝떨어져 버렸습니다..

 

게다가 제가 구입한 보드게임을 사람앞에 두고 깍아내리는걸 보고 

 

인성이 글러먹었다 라는 결론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이제 나가야겠다 각을 잡고 있는데 

 

어처구니 없게도 방장이 따로 불러서

 

별것도 아닌 이유로 나가달라고 하는데 참 웃기더군요

 

개국 공신? 아무튼 모임 망할뻔 했던 걸 

 

계속 모임만들어서 키워놨더니 팽을 하다니 ㅋㅋㅋ

 

역시 처음부터 생김새부터 하는 짓이나 말투를 보고

 

싸한 느낌의 들었었는데..

 

제대로 뒷통수를 치는구나 싶었습니다..

 

몇번을 느꼈던 싸한 기분이 무시했던 저의 잘못이 겠죠 

 

뭐 나갈 생각 이였기때문에 안그래도 나갈 생각이였다 라고 말하고 

 

바로 그 모임을 나갔네요

 

그 모임을 다녔을때가 보겜하면서 제일 스트레스 받으면서 살았던거 같네요..

 

그때라도 나오길 정말 잘한거같습니다..

 

 

그렇게 또 몇달이 지나고 

 

결국은 직접 보드게임 모임을 만들어서 

 

소규모로 간간히 모인는데 지금이 딱 좋은거 같습니다..

 

안그래도 코로나 때문에 사람 많이 모이면 문제 생길 확률도 높으니까요..

 

당연히 소규모로 모일때는 무조건 마스크 착용하구 있습니다..

 

아무튼 사람 사는곳은 다 비슷비슷해서 

 

결국 이상한 놈이 한둘은 있기 마련이라는 생각이..

 

근데 그런 이상한 놈이 방장이 되니까 답이 없었죠 ㅎㅎ

 

큰규모의 모임을 운영하는 분들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딱 10명정도만 받아서 그안에서 활동안하는 사람 내보내고 받고 하면 될거같네요.

 

 

아.. 그리고 보드게임도 만들려고 생각중이네요

 

이런저런 식으로 조금씩 조금씩 만들고 있는데 어렵네요 생각보다 

 

 

 


아무튼 결론은 그래도 보드게임을 많이 해서 

 

 

콘솔게임을 안한 덕분에 

 

추억에 라오어를 더럽히는 

 

그걸 안했다는거에 만족하는...

신고

 

까방구1    친구신청

저는 20년차 비디오 게임돌이인데
작년 가을부터 보드게임을 모바일화하는
프로젝트에 들어가면서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지나간 역사보다는 유행이 훨씬 더 강한 비디오게임과는 다르게
그 세계에서 탄생된 깊고 넓은 역사를 탐험하는 재미가 있더라구요.

멀티콘솔러    친구신청

전 할사람도 없는거 알면서 구매한 에이언즈 엔드가 오늘 도착했네요 ㅎ

뉴베리♪    친구신청

요즘 같은 때엔 테이블탑 시뮬레이션으로 많이들 함

썬더치프    친구신청

보드게임은 진리죠 후훟

Sin-nim    친구신청

저도 보드게임 좋아하는데 친한 사람들이랑 소규모하는게 좋은 거 같아요...
다만 아쉬운 건 하드한 건 못 돌리는게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ㅠ

ㅋㄴㅋ    친구신청

하드한걸 돌릴수 있게 단련시켜야죠 ㅎㅎ
[보드게임] [키포지] 거미 잉카의 기록 보관소 (0) 2020/07/06 PM 04:12

거미 잉카의 기록 보관소 

글: Nate French

 번역: 이상민

 

 돈 때문에 한 일이지. 이 경우엔 돈이 아니라 앰버겠군. 

 거미 작가는 귀족들에게 이야기를 팔고, 연기자 조합에 대필한 희곡을 팔아서 센티널 평원의 성채 에서 살아갈 수 있었지.

 

 지금은 거미 작가가 할 수 없게 된 일들이 예전에는 할 수 있었던 게 많 지. 생텀의 집행자들은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지”라고 하지만 거미줄을 치고 파리나 잡는 게 만족 스런 삶은 아니잖아? 

 

 그 치들의 법이 문제라는건 아냐. 최근에는 이 지역에 앰버가 고갈되면서 책을 읽거나 연극을 보 면서 여가를 즐길 시간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까. 어딜 가나 다들 “집정관, 집정관, 집정관” 아니면 “저장고, 저장고, 저장고”만 외쳐대지. 하루 종일 말이야. 

 

 뭐 앰버 조각이라도 하늘에서 뚝 떨어지길 바라나보지.

 

 꿈이야 뻔하지. 

 

 집정관 눈에 띄어서 저장고를 열 권리를 걸고 벌어지는 위대한 경쟁에 참여하는 거지. 대결에서 잘하기만 하면 조약에 따라 집정관에게 보상을 받을 수 있을 테니까. 하찮은 (전직) 거미 작가에게는 이룰 수 없는 꿈일 뿐이지. 

 

 특별히 벌레들의 맛을 가리지는 않으니까 결국 내 손 으로 할 수 있는 걸 해야지. 

 

거미 잉카 단기 스파이 업무 환영 관찰, 감시, 정찰 보고서 제공 비용 협의 가능 암살 의뢰는 받지 않음 2 자네는 웃고 있지만 내가 배운 게 하나 있다면 집정관들은 경쟁심이 강하다는거야. 

 

 특히 앰버와 관련된 거라면 더 그렇지. 이기기 위해서라면 못할 게 없을 걸? 거미를 고용해서 스파이 활동을 하 는 거야 특별한 일도 아니지.

 

img/20/07/06/17322f6a3ae50b2df.jpg

 

 

 

 덜 으스스한 숲 변두리 거미줄 수풀에 한 나무 위에 사무실을 냈지. 가게를 연거야. 요정 기술자 들이 이용하는 잘 알려진 네트워크에 내 사이버 카드를 보냈지. 그러니까 집정관들이 왔어. 그야 다들 이기기를 원했으니까. 아니 이겨야만 했으니까. 

 

 자네가 상상하는 것처럼 거미들은 스파이 활동을 하는데 특별히 도움이 되는 재능을 여럿 가지고 있지. 모서리를 기어가서 틈 사이에 숨는 게 우리 특기잖나. 방 천장 그늘에 숨어 아무런 기척 없 이 조용히 몇 시간이나 지켜볼 수 있지. 우린 시간 보내는 전문가야. 

 

 내가 일반적인 스파이에 비해 나은 점이 있지. 나는 작가지 않은가? 감시가 끝나고 나면 보고서를 써야하지. 나는 내 일생을 글을 쓰며 보낸 사람이야. 단골 집정관들은 내 보고서를 자세하고 통찰 력이 있으며, 전략적으로 가치있다고 하지. 

 

 그러니까 또 오는 거야. 내 재능이 다시 각광받는 거지. 뭐 내가 세부적인 건 이것저것 각색하거나 과장하는 부분도 좀 있지. 자꾸 끓어오르는 이야기꾼의 피를 억누르기가 쉽지 않아.

 

 그래도 완전히 거짓말을 한 적은 없어. 집정관들이 날 계속 찾아오고, 크루시블에서 대를 이어 내 명성이 이어오는 것을 보면 내 글이 가치있다는 증거 아니겠나. 오랫동안 나는 계약을 하면서 특별한 조항을 넣어 뒀지. 한 세대가 지나면 지난 세대의 스파이 보 고서들을 출판할 권리를 얻었어. 

 

 지난 세대에 내가 모아둔 보고서 기록 전부를 말이야. 그럼 이 보 고서들은 관심 있는 집정관이라면 누구나 볼 수 있는 상식이 되겠지. 그럼 집정관들은 이 대회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경쟁은 더 풍부하고 치열해지겠지. 가치있는 일 아닌가?

 이 스크롤은 내 기록 보관소의 첫 번째 기록이야.

 이제 이야기를 풀어보지... 

 

출처 : https://www.divedice.com/site/bbs/bbs_view.php?mode=view&idx=1413404&b_type=A002A021A008&type=all&c_type=1&cateid=A002A021A008&pagenum=1&search_key=&search_name=

 

역자 주: 이 글의 작가인 Nate French는 <키포지>의 개발사인 Fantasy Flight Games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으며 <키포지>의 첫 세트인 Call of the Archon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신고

 
이전 6 현재페이지7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