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tman MYPI

Bartman
접속 : 2662   Lv. 36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6 명
  • 전체 : 92627 명
  • Mypi Ver. 0.3.1 β
[끄적끄적] 버스 정기권 (3) 2024/06/03 PM 03:47


img/24/06/03/18fdcd774bb3580f8.jpg

대전에서 청주로 시내버스 출퇴근하고 있는데


대전버스 : 집-신탄진

청주버스 : 신탄진-청주


이렇게 갈아타는데 지역이 달라 환승이 안되서

최근 대전 버스 가격이 올라

1500+1400= 2900원 버스비가 듭니다


그런데 청주버스탈때 정기권이라는게 있어서 찾아보니

30일에 5만원이더군요

계산을 해보니 20일 x 2회 x 1400원 = 56000원이라서

나름 괜찮은거 같아 이번달에 구매해보려고 합니다


혹시나 대전도 있나 해서 찾아보니

국내에 시내버스 정기권을 도입한 곳이 청주랑 전주밖에 없더군요..ㅠ


대전도 얼른 정기권이 생겼으면 좋겠네요

신고

 

nplian    친구신청

청주까지 출퇴근하시다니 고생많으시네요
청주사람인데 정기권이 있는지 첨알았네요 ㅋㅋ

Bartman    친구신청

버스를 자주타는 사람이 아니면 잘 모를거에요
카드 찍는데 정기권입니다 라고 소리 나길래 뭔가했는데
버스 내리는 문에 안내 포스터가 있더라구요

표르르    친구신청

신탄진에서 청주로 대중교통으로 퇴근할때
환승안되는거 너무... 화납니다
[끄적끄적] 해외직구 규제 (1) 2024/05/19 AM 10:09

제가 아마 처음 해외직구를 해본게 고등학교 2학년때


일본 야후였던가...일본 사이트에서 PS2 GTA3를 처음 구매했던걸로 기억하는데


배대지를 써서 20여년전 거의 7만원정도에 구매했던거 같네요


그당시 큰돈이긴 했지만 GTA3를 너무 해보고 싶었고 정발 품목이 아니다보니


정발 PS2에서 구동되는 일판을 구매했었습니다


그때 해외사이트로 제품을 구매할수 있는걸 알게 되서


대학교때도 이베이로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중고 물품을 자주 구매하고


나중에 알리익스프레스를 알게 되었을때 패키지 케이스, 케이블, 전자 부품 등


소모품 종류를 다양하게 구매했습니다


14,15년도에는 실험실에 있을때 센서나 전자 부품을 찾아보다가


똑같은 부품인데 디바이스마트에서는 2만원하던게 알리에서 만원밖에 안하고


대신 배송비 무료로 선택하면 2주에서 한달정도 배송이 꽤 걸려서 주문해놓고 한참 기다렸다가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도 아두이노나 LED스크립 등 전자부품 들을 자주 구매하는데


규제 때문에 막히면 도대체 어디서 구매하라는건지?


그냥 이번 규제는 중국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보여주식 규제라고 생각되네요


그중 가장 어이 없던게 해외플랫폼 국내 대리인 지정 의무화?


요즘 알리도 반품 정책이 잘되있어서 디퓨짓 걸면 금방 환불 됩니다


이거마저 어렵다고 생각하면 수수료좀 내고 해외플랫폼 대리인 쓰면 되는거고


그건 소비자의 선택에 맡겨야지 이걸 의무화하는건 좀 아닌거 같네요


어린이 용품 품목 같이 안전에 관련된건 백번 공감합니다


그런데 KC인증을 받으면 안전한가요? 가습기 사태에 썼던 제품은 KC인증을 안받았나요?


소비자의 의견도 무시한채 유예기간도 없이 그냥 이렇게 규제를 때려버리니 어이가 너무 없네요


정부가 시장에 대해 일정부분 관리하는건 맞는데 일방적인 규제는 좀 아닌듯 싶네요

신고

 

운석열    친구신청

자유대한민국 시장경제를 위해선 KS미인증 직구 규제가 필요합니다.
[끄적끄적] 국내 콘솔 게임시장에 대한 생각 (6) 2024/05/06 PM 12:18


img/24/05/06/18f4bdfb2c93580f8.jpg

요즘 스텔라 블레이드의 흥행으로 국내 콘솔 게임에 더욱 주목을 하는거 같네요


물론 그전에 데이브 더 다이브, 피의거짓 등 꽤 괜찮은 콘솔 게임이 나오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기술력이나 기획력이 없어서 콘솔게임을 못만드는게 아니고


냉정히 말하면 돈이 안되니 안만드는거 였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 시장이 엄청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니


파이가 큰 두 시장에 집중하는건 당연한 기업의 선택이죠


전에 어떤 글에서 본건데


우리나라가 유독 다른 나라에 비해 콘솔 시장이 적은 이유가


1. 집에서 게임을 하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음


2. 개인 컴퓨터의 보급


어릴적 생각해보면 친구 집에 8비트 게임기 흔히 겜보이를 가지고 있는 집이 몇 안됬습니다


중학교때 친구집에서 PS2를 해보고 부모님께 사달라고 했다가 등짝 스매쉬 맞을뻔하고


그리고 90년대 말 컴퓨터 학습 열풍에 맞춰 교육용이라는 명목으로


부모님이 게임기는 못사주더라도 컴퓨터 한대씩은 사주셨었죠


게다가 콘솔게임기 가격도 상당히 높은 편이라 그돈이면 차라리 컴퓨터를 사는게 


가성비가 더 좋은편이기도 했고요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PC기반의 게임을 하게 되고


집에서 게임하면 부모님의 눈치를 보니 친구들과 PC방을 가게 되고


그렇게 온라인 게임을 위주로 하게 되고


그러다가 2000년대말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 게임시장이 등장하며


이 당시 아이들은 또 집에서 컴퓨터 게임을 못하거나 PC방을 못가게 하니


학원가기전 쉬는 시간등 잠깐씩 할수 있는 접근성이 좋은 모바일 게임을 주로 하게되고


이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콘솔시장은 점점 작아지고


온라인게임 모바일게임 시장이 점점 더 커지게 되었다는 글이 생각나네요


가만히 제 어릴적과 상황과 비교해봐도 비슷한 듯 싶구요


신고

 

TM™    친구신청

음 단순히 1,2번으로 나타낼 수 있는게 아니라 좀더 복합적으로 봐야한다고 생각..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90년대말 되어서야 일본 문화가 개방되기 시작했고
그때 IMF가 터져서 생활비도 줄이는 판국에 콘솔게임 사는건 어림도 없었으며
(심지어 콘솔 게임 수입해오던 기업들도 죄다 빠져나갔죠)
스타크래프트를 위시한 PC게임 열풍과 빠른 인터넷 보급으로 인해 온라인 게임 시장(그것도 무료)이 엄청 활성화 되면서
콘솔 시장이 활개칠 공간도, 시간도 없었죠.

나중에 지불할지언정 일단 공짜로 시작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영향과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바닥이었던 저작권 인식 때문에 게임을 돈주고 하지 않는 분위기들도 한몫했다고 봅니다

Bartman    친구신청

그러네요 IMF 당시 시대적 배경도 있었네요
생각해보니 PC방이 활성화될 당시 패키지 게임을 사는것보다 CD키 복사나 와레즈, CD스페이스 등 가상 CD프로그램 사용이 더 많아 저작권에 대한 무지도 한몫했던거 같네요

next96    친구신청

뭔가 시점이 잘못된거 같습니다. IMF는 1997년이고 플스2가 나오건 2002년 발매됬습니다.
그때 콘솔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해외 배급사들이 진출했었습니다. 물론 플스2 말기로
가면서 다 빠져나간거죠.

막 섞어서 글을 쓰셨네요.

TM™    친구신청

국내에 콘솔시장이 아예 없다가 2002년에 열린게 아닙니다
90년대에도 이미 기업들이 수입해오고 있었어요
그 얘길 하는겁니다

그리고 플스2 말기에 유통사들이 빠져나가지도 않았는데
무슨 소릴..

칸유대위    친구신청

콘솔게임라 하기도 뭐한게 그냥 비 온라인게임이라 보네요 옛날 처럼 플랫폼 나눠짐이 분명한 것도 아니고

Blackdenim    친구신청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게임은 나쁘다 라는 인식이 많은데 컴퓨터는 공부 해야한다면서 비싸도 사는 집이 많았죠. 거기다 정부에서 인터넷 보급에 힘쓰면서 한국시장은 PC 온라인 게임이 대세가 되었죠. 그땐 사업 시작한 기업들이 넥슨 NC 넷마블등이 있죠. 그 기업들 매출이 조 단위인 거 보면 한국시장도 작은 시장은 아닌데 하다보니 PC, 모바일이 대세인 시장이 된 거죠.
[끄적끄적] 건강검진 결과 (1) 2024/05/03 PM 02:27

지난 4월에 기본 건강검진과 위, 대장 내시경을 추가 검사했습니다


지난주 기본 건강검진 결과에서는 금연과 운동하라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결과는 없었고


위내시경에서 위궤양이 발견되고 대장내시경때 용종 3개를 제거 해서


어제 조직검사 결과가 나와서 병원을 다녀왔는데


다행히 위는 헬리코박터균 검출이 되지 않아 위장약만 처방받았고


대장에서 제거한 용종 3개중 2개는 일반 용종이었고 직장쪽에 있던 용종이


선종으로 검사가 되어서 다행히 미리 제거를 했습니다


선종 이게 그냥 두면 대장암으로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하더군요


어머니쪽에 암 가족력이 있어서 어느정도는 예상을 했지만 실제로 발견이 되니 걱정이되네요


앞으로 2년에 한번 주기적으로 대장내시경을 해서 추이를 지켜보자고 하네요


이번에 내시경 검사를 처음해봤는데 30대 되면 혹시 모르니 진짜 내시경 검사는 한번즘 해보는걸 추천드립니다

신고

 

rule-des    친구신청

건강 잘 챙기시고 별일 없으시길~ 바랍니다. 건강이 최고죠.
[끄적끄적] 요즘 물가 체감 (15) 2024/05/01 PM 05:31


img/24/05/01/18f3343bd783580f8.png


어제 회사에서 밥버거를 먹는데 


봉구스버거가 3500원, 제육밥버거가 4000원 이더군요


저 사진은 봉구스 밥버거 처음 나왔을때 가격표를 퍼온건데


아마 12,13년도로 기억합니다


대학생때라서 시험기간에 밥버거 1개와 컵라면 1개 사면 2500원정도로 한끼를 해결했었고


학밥도 1800원, 돈까스는 2500원, 교직원 식당은 3500원 이었는데


물론 교내 지원금으로 운영되어서 대학가 식당보다 저렴했던걸로 기억하고


대학가 식당은 어딜가나 대부분 백반은 3500원이었습니다


지금은 거진 2배가 올라 회사 주변 식당에 백반은 가장 저렴한곳이 7000원인걸 보면


20~30년전 물가는 몇십원씩 야금야금 올라갔던거에 비해 요즘은 진짜 몇백원단위로 훅훅 뛰는거 같네요

신고

 

운석열    친구신청

문제인 정권 때문에 다들 고생이네요

S-117    친구신청

문 정권 7년차...ㅋㅋㅋ

칠면조 요리박사    친구신청

ㅋㅋㅋ 그때 고생한다는 생각 한적 없다 ㅋㅋㅋㅋ

초아파파    친구신청

ㅋㅋㅋㅋㅋㅋ 닉값하네

유머만봅니다.    친구신청

------윗분들 이분은 아군(?)입니다 돌려까기하시는거임------

피자집 사장놈    친구신청

12년전 인건비 생각하면...
그당시 즈음 부터 슬슬 배달도 서비스가 아닌 돈내고 하는 부과 서비스 시대의 시작 점일때라
사람들 인식 자체가 달리진 시기와 맞물린거 같아요

식당이나 술집에서도 실내 금연금지도 그시기 같은데요 ㅋㅋㅋㅋㅋ

Bartman    친구신청

대학생때라 정확히 기억하는데 12년도때 (3학년 학생회할때라서)까지 술집에서 담배를 피웠고 그 이후로 13년도부터 실내금연정책과 4500원 담배값 인상도 그 다음해부터 올랐죠
14년도부터 자취를 했는데 그때까진 배달어플이 활성화될때가 아니라 전단지 묶음보고 주문했었고 배달어플도 간혹 썼던 배달비가 없었습니다ㅠ

BLACK SQUARE    친구신청

동네 참치김밥 두줄샀는데 천원거슬러주더라구요 ㅋㅋㅋ

Sissy    친구신청

참치김밥 두줄이 4천원이면 매우 혜자 아닙니까...?

막장윤씨    친구신청

어느 동네이길래 참치깁밥이 한줄에 24,500원 이나 합니까?
아니면 엄청 고급 김밥인가봐요.

trowazero    친구신청

오르는거야 자연스러운건데 단기간에 미친듯 오른게 문제...

Octa Fuzz    친구신청

헐...ㄷ

대차륜로켓펀치    친구신청

봉구스가 매장이있긴있네요 봉구스 오너가 그문제 터지고나서 울동내는 일주일만에 없어졌는데

아무튼 가격이 많이올랐네요

Adonis Creed    친구신청

옛날 롯데리아 라이스버거 한 번 먹은 뒤로 밥버거는 한번도 안먹었는데
아직도 매장이 있는거 보니 맛은 있나보네요

2konomi    친구신청

예전에도 인플레이션은 심했습니다. 퍼센트로 치면 예전이 더 높았을지도..
치토스 200->300->500원까지 두배 넘게 오르는게 생각보다 몇년 안 걸렸었습니다.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