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퀀트] [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8월 2주차)2023.08.06 PM 07:32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cutt.ly/ZwddS8DP

★ Summary ★


[글로벌] 선진국/신흥국 이익모멘텀 둔화 지속


[한국] 이익모멘텀 정체. 미디어/엔터, 기계, 운송↑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4%(DM: -0.4% = EM: -0.4%)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한국(+1.6%), 일본(+0.7%)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호주(-2.7%), 유럽(-0.7%), 미국(-0.3%)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커뮤니케이션서비스(+2.0%), 경기소비재(+1.6%)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소재(-4.2%), 에너지(-3.9%), 헬스케어(-1.5%)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3Q23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2%(1W), -1.2%(1M)


* 20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1%(1W), -0.5%(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11.2배, 0.95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3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 미디어/엔터, 기계, 운송, 유통, 상사/자본재


① 미디어/엔터(+1.1%, 23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에스엠(+9.1%)은 콘서트 및 MD/라이선싱 매출 증가로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시현. 하반기 음반/음원 실적 성장 기대

*이노션(+3.1%)은 캡티브 중심의 외형 성장 지속. 신차 마케팅 물량 증가 기조로 하반기 양호한 실적 전망


② 기계(+0.7%)

*효성중공업(+34.4%)은 중공업 부문 실적 턴어라운드로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달성

*HD현대일렉트릭(+1.9%)은 북미지역 전력기기 수요 증가 지속으로 이익전망치↑

*HD현대인프라코어(+1.0%)는 선진시장 매출 증가 및 제품 가격 인상 효과


③ 운송(+0.5%)

*제주항공(+3.0%)은 견조한 여행 수요, 3분기 운임 상승 기대

*대한항공(+2.6%)은 여객 부문 실적 회복 및 화물 부문 사이클 저점 통과 기대

*반면, 현대글로비스(-1.4%)는 선대규모 감소 및 수익성 하락으로 해운, 유통 실적 부진


* 유통(+0.5%, 호텔신라), 상사/자본재(+0.5%, 두산, 한화시스템) 상향 조정


▶️컨센서스 하향 업종: 반도체, 에너지, 화장품/의류, 호텔/레저, 디스플레이


① 반도체(적자폭 확대, 23년 영업이익 1W 변화율)

*리노공업(-3.2%)는 2분기 실적 부진 반영으로 23년 이익전망치↓(24년 영업이익은 상향 조정)

*삼성전자(-1.5%)는 재고평가손실 규모 증가 영향. 하반기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환입 기대


② 에너지(-1.3%)

*SK이노베이션(-5.9%)은 재고평가손실 및 정제마진 급락으로 2분기 영업적자 -1,068억원 기록. 하반기 정유/배터리 실적 회복 기대

*한화솔루션(-4.2%)은 태양광 부분 실적 둔화 및 발전사업 이익 감소로 이익전망치↓ 


③ 화장품/의류(-1.1%)


*효성티앤씨(-5.8%)는 스판덴스 판가 하락 영향

*F&F(-4.1%)는 내수/면세 부진 영향으로 2분기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 발표


* 호텔/레저(-1.0%, 롯데관광개발, 골프존), 디스플레이(적자폭 확대, LG디스플레이) 하향 조정

 

 

■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 이익모멘텀 둔화가 지속됐습니다(12MF EPS 1개월 변화율 각각 -0.4%, -0.4%). 호주, 대만, 유럽, 미국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서비스, 경기소비재 실적이 상향됐지만 소재, 에너지, 헬스케어는 실적 하향 조정이 지속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이익모멘텀은 크게 변화가 없었습니다. 2023년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주일 간 -0.1% 하향 조정됐습니다(지난주 1.2% 상향 조정). 2분기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엔터, 기계, 운송(항공), 유통(호텔신라) 업종의 이익전망치가 한주간 상향 조정됐습니다. 반면, 반도체, 에너지, 의류, 호텔/레저, 디스플레이, 2차전지, 화학 업종의 이익모멘텀이 둔화됐습니다.


2Q23 실적발표는 시가총액 기준 58% 진행됐습니다. 합산 매출액은 컨센서스에 부합,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0.9% 상회했습니다(삼성전자 제외시 각각 +0.7%, -0.6%). 컨센서스 상회비율은 50%(=72개/143개)입니다. 시가총액 규모별로는 대형주의 실적이 양호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철강, 기계, 상사/자본재, 자동차, 미디어/엔터, 소매(유통), 헬스케어, 반도체 업종의 실적이 예상보다 긍정적이었습니다.


지난 1주일 간 2023년/2024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향 조정 폭이 큰 기업(컨센서스 추가/삭제 제외)은 효성중공업, 에스엠, 현대오토에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유한양행, 아프리카TV, 두산, 대한항공, 세아베스틸지주, 삼성엔지니어링, 이노션, 넥센타이어, SK아이이테크놀로지, 카카오뱅크, 대웅제약, DGB금융지주, 펌텍코리아, 해성디에스, TKG휴켐스, HK이노엔, 하이브, 이녹스첨단소재, 에코마케팅 입니다.

 

 

- 미래에셋증권 Quant Analyst 유명간 -

 

 













































#이익동향 #컨센서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