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는이야기] 원두커피의 시대(上)- 22012.04.02 PM 08:0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서울한복판에는 두 집 건너 하나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만큼 많은 커피점을 만날 수 있다.

현대인들에게는 무엇보다 친숙한 차(茶)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비즈니스장소, 데이트장소로 각광받고 있는 커피숍은 세대와 성별을 떠나 시간을 보내며 이야기를 나누기 좋은 곳이다.
우리나라는 얼마 전 제주도에서 첫 커피재배에 성공하기 전까지 공식적인 커피의 농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적도 없고 전량수입에 의존하는 원두커피는 부유층과 지식층의 교양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였다.


커피는 수확 후 가공을 거쳐 원두커피, 인스턴트커피, 조제커피, 액상커피등으로 상품화 한다고 한다.

그 중 인스턴트 커피는 매 년 천문학적인 판매량을 보이고 있으며 D식품에서 독점하다 시피했던 한국의 인스턴트 커피시장의 규모가 연 간 천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따라 최근 수년 기타 음료업계들도 인스턴트커피시장의 경쟁에 합류하여 커피없는 사무실을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커피와 친숙한 나라가 커피 한 톨 안나는 대한민국이다.

1970년대 한국의 기업을 통해 개발된 인스턴트커피믹스는 빠르고 간편한 것을 선호하는 국내의 정서와 맞아떨어지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다방이라고 불리우던 전 세대의 커피숍들과 자판기, 포장제품을 통해서 맛 볼 수 있는 커피의 맛은 모두 크림과 설탕이 들어간 달짝지근하면서 느끼한 특유의 맛 이었다.

냉동건조시킨 커피와 설탕, 크림의 조합이야 말로 커피였고, 커피를 떠올리면 누구나 황갈색의 달달한 음료를 떠올렸다.

하지만 이 세대에서도 입맛의 다양성은 존재했으니, 블랙커피를 마시던 사람들이 그러했다. 설탕도 없고 크림도 없이 오직 커피
쓰고 신 맛의 블랙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은 요즘 말하는 허세남 처럼 매도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러면 어느 시점부터 국내 커피시장에 원두커피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일까?

1999년 세계제일의 커피프랜차이즈 S 커피의 국내 1호점이 이대에 문을 열었다.
댓글 : 1 개
대 된장의 시대도 함께열리는 바람에 오해받는경우도 생기죠;;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