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 역사] '우크라전 이후 러에 윤활유 수출 급증'…韓기업들 '사실무근'2023.07.16 PM 03:3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yna.co.kr/view/AKR20230710030200009

FT "서방 러 사업 축소, 韓 기업들이 빈자리 수혜"…군용 사용 가능성 제기

한국 윤활유 업체들 "군 유입 가능성 없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이도연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한국 기업들의 대러시아 자동차 윤활유 수출이 급증했으며, 이들 물품은 탱크 연료 등 군사용으로 전용됐을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해당 한국 기업들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 부인했다.


9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 정부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의 대러시아 자동차 윤활유 수출액이 2억2천900만달러(2천977억원)로 전년보다 116.7%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토탈에너지, 셸, BP 등 서방 기업들이 자동차 윤활유 판매를 포함한 러시아 내 사업을 자발적으로 축소하면서 빈자리를 한국 기업들이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FT는 짚었다.


FT는 러시아 수입 자료를 인용해 SK엔무브와 GS그룹·미국 에너지 기업 셰브런 합작사인 GS칼텍스가 이로 인한 주요 수혜기업이라고 주장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두 회사의 대(對)러시아 엔진 오일 수출액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본격적으로 침공하기 전인 지난해 1월 280만달러(36억원)이었으나 이후 급증해 올해 3월에는 2천800만달러(364억원)로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같은 자료에 따르면 SK엔무브는 러시아 전체 자동차 윤활유 수입량의 6.5%, GS칼텍스는 5%를 차지하고 있다.


FT는 이들 기업이 러시아에 수출한 윤활유는 러시아군의 탱크와 장갑차 연료 등 군용으로 사용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두 기업은 FT에 수출된 윤활유는 민수용으로 제재 대상이 아니며, 군용으로 전용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FT는 러시아에 수출된 자동차 윤활유가 군용으로 전용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방법은 거의 없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전했다.


패트릭 도나호 전 미8군 작전부사령관은 "모든 유류(POL, Petrol/Oil/Lubricant) 제품은 민간과 군이 이중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며 "러시아에 유류 제품을 판매하는 것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돕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 세계에 윤활유를 수출해온 한국의 한 자동차 부품 무역상은 "러시아로 수출된 제품의 최종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전했다.


이 무역상은 "윤활유 수출업자가 최종 사용자를 안다는 것은 라면 수출업자가 누가 그 라면을 먹을 것인지를 안다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이에 대해 두 회사는 연합뉴스에 "러시아에 수출 중인 물품은 제재 대상이 아니며, 군용 승인도 받지 않았기에 군용으로 전용될 개연성도 없다"FT 보도를 재차 부인했다.


GS칼텍스는 "제품의 재판매 금지가 계약에 명시돼 있다"며 "러시아 군에 납품되는 오일 규격이 따로 있는데 러시아 현지 제품만 승인받았기 때문에 (우리 제품은) 구조적으로 (군에) 납품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회사 측은 "러시아군은 정부가 규정한 제품 규격에 제품의 물성이 부합해야 사용 가능하다"라며 "규격에도 맞지 않고, 승인되지 않은 윤활유 제품을 고가의 군수장비에 뜬금없이 사용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로, 자사 제품이 러시아 군 등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없다"이라고 덧붙였다.


SK엔무브도 "FT 보도는 사실무근"이라며 "자동차용 윤활유를 판매할 때 판매처를 정확히 확인하고 있으며, 러시아에 군용 물자나 탱크용 제품을 판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판매하는 윤활유는 국제적으로도 수출 금지 품목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