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 역사] '한국 망해간다'…2000만 유튜브에 흘러내린 태극기, 왜?2023.10.06 PM 05:5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0602097

인기 쿠르츠게작트 유튜브, 韓 저출생 위기 조명

 

 


구독자 2100만명을 보유한 인기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Kurzgesagt)가 한국 저출산 문제를 조명했다

 

 

구독자 수 2120만명의 유튜브 채널이 저출생 위기를 겪는 국가로 한국을 조명하면서 전 세계 누리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과학, 의학, 미래 등을 주제로 한 유튜브 '쿠르츠게작트(Kurzgesagt)'에 지난 4일 '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ying Out)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시됐다. 섬네일(작은 크기의 견본 이미지)에는 흘러내리는 태극기의 이미지가 담겼다. 해당 영상은 이틀 만에 조회수 250만회를 돌파, 댓글은 1만8000개 이상이 달렸다.


쿠르츠게작트는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78명을 기록한 사실을 전했다. 그러면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현재 젊은 인구가 100명이라면 2100년에는 그 숫자가 6명으로 줄어든다는 의미"라며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면 100년 안에 한국의 청년 94%가 줄어든다. 노인의 나라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2100년 한국의 인구수는 2400만명이 될 것으로 본다. 이는 1950년대로 돌아간 수준"이라고도 언급했다.





특히 영상은 한국의 고령화를 문제로 짚었다. 쿠르츠게작트는 "1950년 한국의 중위연령이 18세(만19세)였다면, 2023년에는 45세, 2100년에는 59세가 될 것"이라고 했다. 중위연령이란 한 나라의 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로 줄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을 가리킨다. 중위연령이 높을수록 노인 인구가 많다는 뜻이다.


노동력을 공급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살)가 줄고 고령화가 되면 사회가 감당할 의료비와 빈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점, 혁신이 어려워진다는 점 등도 거론했다. 영상은 "고령화 사회에선 선출 정부가 노인 인구의 이익을 대표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사고하는 사회, 혁신보단 기존의 것을 유지하는 걸 선호하는 사회로 이어진다"며 "기후변화 등의 미래 문제를 해결하려면 막대한 투자와 신선한 아이디어가 필요한데 그게 어려워진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해법으로성평등보육비 지원 등 부모에 대한 재정적 혜택안정적인 집값 등을 제시했다.


이 영상을 본 전 세계 누리꾼들은 각국의 사례를 언급하며 공감과 우려의 뜻을 전했다. 이들은 "교사가 꿈인데 학생 수가 줄면서 교사도 없어진다고 해 힘들다", "그리스에서도 정치인들이 퇴직자를 위한 복지를 제공하면서 당선돼왔고, 부담을 느낀 젊은 세대가 떠나면서 인구를 부양할 인구가 줄었다"는 반응을 내놨다.


또 "영국도 벼랑 끝이다. 교사와 보육시설은 부족하고, 저렴한 주택의 상태는 열악하다. 언젠가 아이를 갖고 싶지만 실제로 낳을 수 있을지 의문", "30대 노르웨이인이다. 다양한 직업을 거치면서도 아파트를 살 기회를 여전히 얻지 못했다. 데이트도 못 하는데 아이는 어떻게 낳을 수 있겠나" 등 의견도 나왔다.


앞서 지난 7월 방영된 EBS 다큐멘터리 '인구대기획 초저출생'에서 미국 인종·성별·계급 분야 전문가인 조앤 윌리엄스 캘리포니아주립대 명예교수가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듣고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와! 그 정도로 낮은 수치의 출산율을 들어본 적도 없어요"라고 말한 방송 화면이 온라인에서 확산돼 화제가 된 바 있다.



#저출산 #고령화 

댓글 : 2 개
지금은 0.70 이죠.
내년에는 0.6때 찍을것 같아요.

성장에만 포커스를 두고 달려오다 보니 쌓였던 문제가 폭발하는 것 같아요.
나중은 모르겠는데
지금은 혼자 지내는게 편해서
연애든 결혼이든 생각이 안드네요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