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져온 괴담] 껌 ~ 13 ~2010.06.22 PM 05:4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오늘의 날씨를 알려드립니다. 먼저 서울은...


......


-강원도 지역은 서울과 비슷한 기온으로, 약간 쌀쌀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겠습니다. 단 강원도 춘천 지역의 경우 저녁에는 영하까지 떨어질 정도로 추워질 전망이니, 외출하실 때 겨울옷을 준비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또한 이틀간 후평동 쪽에 안개가 많이 낄 전망이니 운전자들은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다음은 영남지방입니다...


......


......


“으으 추워라.”


기차에서 내리자마자 매서운 바람이 몸을 훑고 지나간다.

서울에서는 그럭저럭 견뎌주던 가을 자켓이 여기서는 힘없이 추위를 허락한다.

이틀 전만 해도 이렇게 춥지는 않았는데 정말 이상한 날씨였다.

춘천은 여름에는 무지 덥고, 겨울에는 또 엄청 춥다던 누군가의 말이 떠오른다.

나도 모르게 입술을 덜덜 떨면서 손목시계를 확인한다.

4시 45분.

애매한 시각이었다.

일단 거래처로 가서 확인서를 주고 와야 할 것 같다.

6시 전에는 가겠다고 말 했으니까 말이다.

추워져서 그런지 부쩍 턱 운동이 심해진다.

그만큼 단물도 많이, 빨리 빠지겠지.

자켓의 단추를 목까지 잠그고 빠른 걸음으로 걸어 나갔다.

유난히 희뿌연 안개가 눈에 거슬린다.


......


......


“아, 이거 하나 주려고 서울에서 내려온 건가? 팩스야 아무데서나 받으면 그만인 것을.”


“아, 뭐. 저희 회사의 정성이라고 생각 해 주세요. 건물이 참 좋네요, 내부도 좋고.”


“하하. 올 해 초에 지사가 들어왔으니까. 비교적 새 건물이지.”


“아 그렇구나. 네 사장님. 더 필요하신 건 있으세요?”


“아니 뭐, 이 정도면 충분하지. 혹시 시간 괜찮은가?”


“예? 아. 예. 뭐 시간이야 괜찮습니다만.”


“그럼 같이 저녁이나 들지. 춘천의 매운 맛을 보여주겠네. 허허.”


“저야 좋죠. 잘 먹겠습니다 사장님.”


......


......


얼떨결에 저녁식사까지 했더니 시간이 벌써 7시였다.

거래처 사장은 춘천의 매운맛 어쩌고 하더니 결국 닭갈비를 사 주었다.

다른 데보다 확실히 맵기는 했지만 춘천을 대표하는 매운맛이 되기에는 부족한 무언가가 있었다.

더군다나 이틀 전에 이 동네에서 이보다 열 배는 매운 맛을 맛보지 않았는가.

생각난 김에, 식사 중 사장에게 이런 질문을 했었다.


“사장님 혹시, 정말 매운 집이라고 아세요?”


사장은 허겁지겁 고기를 건져 먹느라 정신이 없었다.

역시 음식의 풍미를 즐길 줄 아는 사람은 아니었다.


“정말 매운 집? 너무 추상적이지 않나? 춘천에는 유명한 매운 집이 많은데.”


내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한 모양이었다.


“아뇨. 가게 이름이 정말 매운 집이에요. 이틀 전에 점심을 거기서 먹었거든요.”


사장이 잠시 생각에 빠졌다.

매워선지, 뜨거워선지 반쯤 입을 벌리고 ‘쓰읍’하는 소리를 내고 있었다.


“음. 이 근처에 유명한 집은 내가 거의 다 아는데 말이야. 그런 상호명은 처음 들어보네. 그런 독특한 이름을 잊어버릴 리도 없을 테고.”


그다지 의외라는 생각은 안 들었다.

일단 워낙 외진 곳에 있었고, 메뉴도 하나뿐인 데다가,

그런 매니악한 매운 맛을 즐기는 사람은 드물 거란 생각 때문이었다.


“봉내산 쪽으로 들어가는 외진 길에 있는 가게인데 잘 모르시겠어요?”


“봉내산이라... 그 쪽 길이면 사람이 잘 다니지 않을 텐데 음식점이 있단 말이야?”


소수의 등산객들은 있겠지만 이런 날씨에 굳이 산을 찾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더군다나 정식 등산로가 아닌 외진 길이었기 때문에 더욱 인적이 드물 것이었다.

사실 그런 곳에 가게를 차린다는 것부터가 이상하긴 했다.

굳이 고생해서 갈 만큼 서비스가 좋거나 내외관이 훌륭했던 것도 아니고.


“다 쓰러져가는 건물 두 개가 있더라고요. 하나는 음식점, 하나는 구멍가게.”


“아! 혹시 그 집을 얘기하는 건가.”


사장이 갑자기 뭔가 떠오른 모양이었다.


“예? 그 집이라는 것은...”


사장이 씹고 있던 닭갈비를 꿀꺽 삼키고 물을 한 모금 들이켰다.


“봉내산 쪽에 낡은 기와집이라면 알고 있어. 아주 오래전부터 있던 역사적인 집이지. 그런데 거기가 음식점이 되었단 말이야? 전혀 몰랐는데. 자네는 어떻게 알고 간 건가?”


원래는 음식점이 아니었다는 말인가.


“인터넷에 검색되던데요? 약도도 나오고. 그런데 예전에는 그냥 일반 집이었어요?”


사장이 검지손가락으로 자신의 옆머리를 톡톡 치며 말을 꺼냈다.


“그게 조금 기구한 사연이 있는 집이야. 나도 어릴 때라 나중에 아버지에게나 들었었지.”


어떤 사연일까.

사장이 다시 한 번 물을 한 모금 마신다.


“자네 국민보도연맹 사건이라고 알고 있나?”


국민보도연맹 사건.

물론 알고 있었다.

6.25 때, 이 연맹에 속한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한 사건이 아닌가.

북한에 동조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말이다.


“예 알다마다요. 살인마 이승만의 이름을 드높인 사건이었죠.”


“말 한 번 잘했네. 살인마 이승만. 허허. 이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죽임 당한 대부분이 그냥 평범한 민간인에 불과했다는 사실이지.”


말 그대로였다.

국가는, 보도연맹에 자신을 사회주의자라고 신고하는 사람들에겐 쌀과 음식을 나눠줬었다.

춥고 배고프던 시절에 사회주의든 자본주의든 알 게 뭐였겠는가.

그러니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단 신고하고 음식을 얻기 바빴던 것이다.

결국 그 결과는 참담했다.

전쟁이 터지자 국가는 제일 먼저 그 들에게 총부리를 겨눴고,

무려 30만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의 사람들이 죽고 말았다.


“30만의 사람을 죽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 자기가 연맹원이 아니라고 하면 그만이니까. 그런데도 짧은 시간 안에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죽었어.”


“음... 이 사건이 그 음식점과 관련이 있는 겁니까?”


왠지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아서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아아, 그 기와집. 그 집 주인이 그 당시 연맹원 들을 밀고하는 일을 했었네.”


"예에!?"


“그도 연맹원 소속이었는데, 애당초 그는 명단을 작성하기 위해 들어간 거였다네. 새로운 인원이 들어올때마다 그는 몰래 기록을 남겼었지. 물론 그런 사람은 각 지역마다 있었을 거야. 그는 후평동만을 맡은걸로 아니까. 어쨌든 그의 명단 덕분에 이쪽에서의 처리는 손 쉽게 끝났다고 하네.”


충격적인 얘기였다.

그 정도면 거의 학살의 주범이나 마찬가지 아닌가.


“알다시피 그 당시 강원도에서의 삶이란 건 정말 끔찍했다고 하네. 가난과 기근이 너무 심했다고 하지. 특히 이 근방은 더 심했지. 그러니까 그가 넘긴 명단의 대부분은 사회주의와 거리가 먼 사람들이었다는 이야기야. 그 들은 단지 배가 고플 뿐이었다고.”


밖은 이미 어둠이 짙게 깔려 있었다.

이왕이면 오늘 내로 집에 돌아가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슬슬 마무리하고 일어나야 한다.

하지만 왠지 이 이야기만큼은 꼭 들어야만 할 것 같았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