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 하버드가 발표한 재능 없이 성공하는 방법2018.05.28 PM 04:22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하버드가-40년간-추적한-성공한-사람들의-특징.jpg

 

 

댓글 : 15 개
학생 130명이 전부다 하버드생은 아니겠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기주도적인 목표 설정"과 "노력에 대한 자기 보상"이 가능한 사람도 있기는 합니다.

그런데 이것도 타고나는 재능이라는게 함정이죠.
  • Jiha
  • 2018/05/28 PM 05:14
그런 이야기가 아닌데;
'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더 노력하는지가 중요한거 아닐까요?
그런 작은것들이 모이면 큰 기회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 사람이 몇살이길래 실험을?
다른건 모르겠지만 작은거라도 "완료"하는 습관은 중요한것 같음.
예전에 수학을 못하는 아이에서 노력으로 하버드 합격했다는내용의 책 봤는데 민사고출신이더군요...
일단 재능은 없지만 하버드부터 가자!
그냥 참고만해도 될 글에 딴지라니....

그런 사람들은 보통 비슷한 성향이 있는듯 하네요
내용자체가 틀린말은 아닌데 하버드생이 재능없고 머리가 안좋은거면 나머지 사람들은 뭐가되는건가요
사람 기만하는것도 아니고
그릿도 재능인걸로
성공한 사람의 명언은 평범한 나를 망친다
내용만 보면 문제가 일정한 능력을 가져야 될 수 있는 집단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학생(아마도 하버드), 육군사관학교, 초임교사, 세일즈맨, 모두 일정 능력을 가져야 될 수 있는 집단으로, 저 집단에 들어갔다는 것 자체가 능력이나 재능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는 것이고, 그 집단 안에서 그릿이 성공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즉 재능보다 그릿이 중요하다고 주장하기에는 실험 집단이 부적절 한 것 같습니다.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