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글] 바람이 분다 리플을 읽다보니2013.09.08 PM 10:1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저는 미야자키 하야오를 좋아합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지브리 애니를 대부분 재미있게 봤습니다.
특히 왜색이 강한 작품중 하나인 모노노케 히메도 재미있게 보았으며 특별히 왜색에 대한 거부감은 없습니다.

다만 코쿠리코는 보지 않았고
이번 바람이 분다는 한국인으로써 몹시 불쾌함과 실망을 많이 느꼈습니다.

관련해서 연일 논란이 되고 있는 바람이 분다의 게시물이 올라오면 작품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고
부끄럽습니다만 저 역시 큰 소리를 내며 전쟁책임회피등에 대한 해명과 반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제가 하는 일이 수치를 분석하는 부분도 있어서 평점이나, 통계등을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바람이 분다의 일일 관객수가 오늘로써 3일차 까지 업로드가 되었습니다.
삭제된 리플이 굉장히 많지만 주기적으로 팽팽한 양쪽의 주장을 지켜본 결과

바람이 분다, 지브리, 배급사 등에 불만을 토로하는 유저들은 주로 20레벨 이상
눈에 띄게는 50~60 레벨급, 높은 경우 80이상의 마이피 활동이 왕성한 골수 유저들이 다수 눈에 띄었습니다.

반면 비난하는 목소리에 반대하거나, 미야자키 하야오의 인성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본 애니가 의미하는 바는 다르다고 주장하거나, 혹은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유저들을 욕설이나 매도로 인신공격하는 유저들도 다수 눈에 띄었는데

상당히 재미있는 사실이 후자의 그룹 중 일부는 10레벨, 40레벨 이상 등 어느정도 루리웹 활동 기간이 긴 유저분들도 있었습니다만, 과반수 이상이 "MYPI"가 비활성화 상태인 신규유저였습니다.

간혹 레벨이 낮다는 이유로 특정 유저를 무시하는 경우를 보는데 그건 바람직한 행동은 아닐 것입니다.
단지 레벨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그 사람의 의견이나 주장까지 존중하지 않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반대의 목소리를 내시는 분중에도 신규유저가 있었습니다
다만 한쪽 의견 군에만 과반수 이상 신규유저가 집중포진되어 있는 사실은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쉽지만
다음에는 조금 더 온 가족이 보기에 바람직한, 그리고 논란이 되지 않을 만한 양질의 작품을 들여와줬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 11 개
결론 : 부캐 or 쪼랩의 어그로.
글고보니 지브리 작품중 왜색이 강한건 별루 없었네요.

헤이세이폼포코나 센과 치히로 정도???
센과 치히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극장에서 너무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도 있고

지금의 바람이 분다 처럼 논란의 중심이었던 반딧불의 묘까지는 그래도 너그러운 시각에서 감상했습니다만 (그건 비슷하지만 시점이 전혀 달랐고, 지금 처럼 구설수에 오를 부분도 적었기에)

이번일로 지브리라는 회사나 하야오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됩니다.

진짜 재미없었던 레이아웃전까지 다녀왔는데...
반딧불의 묘같은 경우엔 저는 그렇게 나쁘진 않게 봅니다.

원폭문학 이라고 해서,
한 때에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학류였는데요 뭐..

맨발의 겐도 마찬가지고
좋지않은 은퇴작....
쪼렙보단 부캐가 아마 정답일겁니다.
그리고 애갤이든 마이피든 바람분다에 대해 좋게 보는 분은 극소수던데..
그것도 거의다 보고 판단하자는 정도지 정도를 넘은 놈은 전 본 기억이 없습..
갠적으로 소재 자체만으로도 과연 좋게 봐줄 수 있을까 싶더군요.;
전 반딧불의 묘처럼 짜증나는 애니가 없었는데;;;대표적인 일본 피해자코스프레 영화 보기전에 하도 사람들이 추천해서 기대하고 봤다가 기분 개잡침
근데 사실 다카하다는 하야오보다 더 좌익이라고 들었거든요. 물론 피해자인 우리가 보기에 피해자 코스프레하는거 같아 불편한건 사실이지만 주인공 애들은 평범한 아이들이니까요. 뭐 걔들도 일본정부 병신들의 피해자인건 맞긴하죠.
일단 독도 공동관리 발언만 해도 뭐....
일본정부에 좀 싫은 소리 하는 정도지, 제대로 역사의식이 있는거 같진 않습니다.
근데도 실드치는 분들은 결국 독도를 일본이랑 나눠먹자고 주장하는거나 마찬가진데...
과거의 지브리 애니를 통해
미야자키 하야오가 전쟁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이다라고 말한다면 어느정도 수긍하겠습디만

전쟁사를 바르게 인식하고 있다 라던가, 한일관계에서 중립적인 입장이란는 주장은 대체 어느 부분을 보고 그렇게 판단해야 하는 것인지 갈피를 잡을 수 가 없습니다.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