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KBS에서 하는 "부국의 조건" 이라는 다큐멘터리 보셨습니까?2014.01.03 PM 10:5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이런류의 다큐멘터리를 좋아하는 편이라 우연치 않게 보게됬는데 오늘이 3번째더군요.

처음에 일본의 몰락의 예를 보여주면서 공감하고 있는데

네덜란드 소개를 하면서 비정규직(파트타이머)의 활성화를 설명하더군요.

어느나라 대통령이 많이 했던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를 정당화 하는 것 같아서 약간 냄새가 나긴했는데

설명을 듣고 있자니 그럴듯한 얘기를 하더군요.

다름으로 싱가폴의 소개하면서 과거 못살았던 나라에서 현제 GDP 5만달라가된 이유로

강력한 지도자의 등장을 뽑는데 그 총리를 설명하면서 독재라는 비판이 있지만... 이라는 설명을 덧붙이더군요.

제가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서 느끼는 것 일 수도 있지만 현제 정부의 정책의 정당성을 강조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네덜란드, 싱가폴 모두 좋은 사례가 될 수도 있지만 지금 한국과는 사정이다른게

일단 사례의 두나라는 인구도 적도 땅도 작죠(특히 싱가폴은 도시국가이고)

또한 네덜란드의 경우 과거에도 유럽에서도 복지가 잘되있는 국가여서 말이 파트타이머이지 정규직과

임금을 제외하면 거의 비슷한 대우를 받는것 같더군요.(한국의 알바와는 다른 개념인듯)

아무튼 참 이런 다큐멘터리까지 분별해가면서 봐야되는게 개탄스럽더군요
댓글 : 9 개
땅의 넓이랑 상관없이 파트타임이 활성화되면 당연히 어느나라간 좋죠.
근데 그건 알맞은 최저시급이랑 근무시간을 잘 챙겨줄 때 얘기고
우리나라는 최저시급이 너무 낮아서 안됨.
아웃소싱, 하도급 이라는 용역시스템은 다른나라에서 엄청나게 좋은것입니다.
머릿수가 부족한 기술자들은 프리랜서로서 활동하여 아웃소싱처럼 일을하는데
그 댓가는 엄청납니다.
원래 참 좋은 제도이긴 한데 허나 이상하게 대한민국에만 들어오면 개판으로
변하는 참 뭣같은 현상이...
저도 오늘 봤는데 참 안타깝더군요.
KBS가 연초라고 정당하고 어쩌고 방송을 하겠습니다
그러더니 웃음만 나오더군요.

그리고 알바문제 참 심각하죠.
정부에서 총체적으로 문제를 고쳐나가려 하지 않는것도 문제고
특히나. 일차원적으로는 사장님들이 정말 심각한 분들이 많습니다.

언젠가 네이버에 알바연대가 어떤 사장님을 상대로 이겼다는 둥의
내용이 적힌 기사가 있었는데 댓글들이 가관이었습니다.
온갖 사장님들이 와서 댓글을 달았는데 알바생들이 열심히 안한다는 둥의
이야기만 할 뿐 임금을 깎는 이유라던가 원래 줘야할 수많은 수당들에
대해선 한마디도 안하더군요.

가장 어이없는 것은 돈이 안남는데 알바비를 어케주냐 줄여야지
라는데 그럼 알바를 쓰지 않는 것이 상식이지만 본인은 일하기 싫고
알바비는 줄여서라도 알바를 써야겠다는 사장들이 많아서 놀랍더군요.

그냥 총체적 난국이었습니다.
어느 분야든 지금 한국은 너무나도 큰 산을 앞에 두고
그 산을 정복할지 그대로 포기할지...

안타깝습니다. 선진국으로 가려고 해도 부정적으로 혜택을 보고 있는
돈 많은 부류의 국민들이 절대적으로 반대하고 있으니......
소위 말하는 선진국 들은 사고나 개인사정 등등(호사스럽게 안식년을 갖기도 하고ㅠ,ㅠ)해서 몇개월씩 일을 못하다가도 재취업이나 이직의 부담이 덜한듯한데..

울나란 안그렇잖아요..십생킹들 거짓말이랑 참말이랑 섞어가면서 하는 넘들이 더 나쁨.
맞아요.
이차원적 문제로는 알바생들이 정말 나쁜 아이들이 많아요.
거짓으로 빠진다던가 계약대로 하지 않는것도 문제고
하루이틀 나오다가 그만둬야 겠다고 돈 입금해달라는 것도 문제고
기가막히죠.
kbs는 정부정책 홍보방송으로 거듭난지 오래임... mbc는....그냥 얘들은 자살하라고 싶음 기다정신은 밥말아먹은 쓰레기들
공중파는 다 ㅄ 일텐데요
1:1로 적용하는건 정말 아니지요.
그 사회의 성숙도나 기업/고용주의 마인드...그리고 고용시장 건전성이나 무엇보다 인건비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등이 없는 상황에서
이거 좋으니 우리에게도 좋다...는 특히 기업에게 유리한 조항은 그 배후가 의심될 여지가 많죠...

기본적으로 저런 시스템이 잘 돌아가기위해선 선행되야 할 노동시장의 성숙도가 우린 정말 후진국다우니까;

정말 파트타임이나 기타 하위직종의 근무환경/임금을 보면 중국 저리가라임.
실제 외노자들이 많이 들어오기도하고.
선진국의 그것과는 상당히 기본전제 자체가 다른.

파트타임의 장점은 근로자의 근로시간 단축과 시간당 업무 집중력인데요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게 있읍니다
파트타임 근로자는 파트타임으로 생계유지가 가능해야 합니다
그러고 여분의 시간을 여가로 재충전 하던가 자기개발에 사용해야 되겠죠
우리나라는 이 선행되어야하는 조건 두가지 모두 딴나라 이야기인데 될리가 있나요- -;;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