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이번 주식시장 버블은 대공황급이다! 제레미 그랜섬 블룸버그 인터뷰2021.02.27 PM 03:4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제레미 그랜섬의 블룸버그 인터뷰 (21. 1. 22)

셰필드 대학 /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세계적인 자산 운용사 GMO의 창업자 (약 70조 원 규모 / 1977~)

버블 전문가 : 일본/닷컴/08년 버블을 예측

 

▶ 왜 버블인가?

1) 시장의 급등

→ 2020년 3월 기준 주식 상승률 

소형주 130%, 나스닥 96%, S&P 500 77%

→ 마지막 상승이 가장 드라마틱하다

 

2) 시장의 이상 현상

→ 수익/이익이 나지 않은 기업의 주가가 10배 ↑

ex) 퀀텀스케이프, IPO만 하면 50% 상승은 흔한 현상이 됨


3)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의 괴리 ↑

→ 특정 회사가 아닌 대부분의 회사들도 정말 돈을 많이 벌었을까?

 

4) 폭락이 오면 대처하기 어려움

→ 금리가 제로 (통화정책은 한계에 봉착)

 

▶ 1929년 대공황, 2000년대 닷컴 버블과 달리 2008년 금융위기는 FED의 강력한 개입 덕분에 빠르게 극복

모든 수단을 다 써버린 FED가 다음번 위기에서 우리를 구해낼 수 있을까?

→ 닷컴 버블 이후에 주식을 시작한 사람들은 위기는 아주 짧게 지나간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질 수 있음

 

▶ 채권왕 제프리 건들락 

→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좀비기업까지 구제하는 바람에 다음 위기가 오면 그 부채까지 감당해야함

 

▶ 1982년 당시 장기 금리 = 16%

→ 금리가 높으면 연준이 금리를 낮춰 쉽게 상승장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지금 금리는 2.5% 수준임

→ 예전처럼 금리를 낮춰 (돈을 풀어) 세상을 구하던 시대는 끝났음

 

▶ 실물 경제와 무관하게 돈을 찍어 부의 증식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은 당연히 환상

→ 만약 더 강력한 바이러스가 유행하면 경제는 붕괴될 것임

→ 이미 모든 수단을 다 쓴 연준이 이런 상황에서 자산 시장의 붕괴를 막을 수 있을까?

→ 정말 중요한 건 실물 경제 종사자의 수, 자본투자의 규모, 노동 인구의 교육 수준

 

▶ 보통 지나친 낙관이 보이면 버블의 끝이라고 봐도 됨


Q. 테슬라 주가는 광적인 투자 행위의 표본이라고 했지만 공매도에 실패한 사람들도 많은데?

→ 공매도는 진정한 고수만 할 수 있음 (손실이 원금의 몇 배에 달할 수도)

→ 당신이 손꼽히는 고수가 아니라면 개별 주식 공매는 절대 금물

 

Q. 이대로 시장이 몇 년간 더 상승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시장참여자들의 심리가 이 정도로 엄청나게 긍정적일 때는 예외없이 몇 달 안에 버블이 터졌음

→ 모든 사람들이 올인 상태이기 때문 (더 이상 빌릴 돈도 없음)

→ 우리 모두 평생 이 정도의 리스크를 진 적이 없다는 걸 알고 있음

 

Q. 하지만 그것이 내 돈이 아닌 연준이나 재무부의 돈이라면?

→ 최근의 부양책은 더 큰 투자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았음

→ 대신 이 돈은 자산 시장으로 갔음

 

"美 코로나 대응 현금 지원금, 상당부분 주식시장으로 유입"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2/2020052202819.html

 

→ 이번에 발표된 전례 없는 부양책이 시행된다면 우리는 시장의 고점을 보게될 것임

→ 몇 주간은 모두가 행복하겠지만 시장은 제 갈 길을 갈 것이고 결국 폭락할 것

 

▶ 돈을 아무리 찍어내도 기업의 수익과 배당금은 늘어나지 않음

→ 주식 투자자들이 돌려받는 것은 결국 배당금 뿐임

→ 결국 주식의 가치는 미래에 받을 수 있는 배당금의 가치로 수렴함

→ 재난지원금을 얼마나 더 받던 미래의 배당금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

 

Q. 연준은 3월 23일 정책 발표 한 번으로 자산시장을 구해냈는데 앞으로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 코로나 이전에도 미국 경제는 취약했음

세계 경제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는데 주식시장이 올라가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 순전히 통화정책의 결과인 이 버블은 시장 참여자들의 확신이 계속되는 한 유지될 것임

→ 하지만 이 정도 수준의 확신이라면 역사의 교훈은 명확함

 

Q. 저금리가 현재의 주가를 정당화 하며 기업 가치는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는데?

→ 미국채 30년물의 채권 금리는 16%였는데 지금은 2.5% 떨어졌음

→ 2000년대 물가연동채권의 수익률은 4.2%였는데 지금은 마이너스임

→ 인위적으로 유지되는 현재의 저금리를 가치 평가에 쓸 수는 없음

 

Q. 만약 버블이 터진다면 모든 자산을 팔아야 하나?

→ 그것도 한 방법임 (현금)

→ 하지만 미국의 가치주들은 고성장주들에 비해 싸질만큼 싸져서 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임

→ 해외에는 아직 미국만큼의 버블이 발생하지 않았음 (하늘이 주신 기회)

S&P 500에 비해 신흥국은 역대급으로 싼 상태

→ 2~3번 이런 적이 있었는데 매번 결과가 좋았음

 

★ 신흥국의 저성장주 (가치주)에 투자하자

→ 가격이 매력적임

→ 약 10~20년 투자하면 수익률이 매우 높을 것임

주식이 비싸면 비쌀수록 장기수익률은 낮음(이것은 불변의 진리)

 

▶ 가치 투자자에게 드리는 말씀

→ 일반적인 가치투자 지표에 관심을 끈 지가 20년이 넘음

ex) PER, PBR, P/CF (주가 현금흐름 비율), PSR (주가 매출액 비율) 등

→ 장기적인 배당 수익률 할인 모델만이 주식의 실제 가치를 반영함

미래의 성장, 안정적인 현금흐름, 부채비율을 모두 따져 저평가 여부를 판단해야함

PBR 같은 단순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은 미친짓

PBR이 낮은 주식은 시장에 있는 주식들 중 가장 질이 떨어지는 자산을 갖는다는 의미임

PER이 낮은 주식미래에 벌어들인 이익이 적다는 의미임

→ 고배당주도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임

 

Q. 현금, 가치주, 신흥국 가치주 외에 폭락에 대비하려는 투자자에게 추천하는 자산은?

→ 인플레이션이 우려됨

→ 최근 원자재 시장을 보면 특히 곡물, 주요 귀금속들 위주로 가격 ↑

→ 반면 노동인구 증가율은 0% 혹은 마이너스임

→ "이번에는 정말 다를 것"임

 

단테 생각) 단 원자재의 이런 엄청난 전년 대비 상승률 (YoY)기저효과를 감안해야 함

→ 이미 원자재 시장은 침체되어있던 상태였음

 

▶ 우리는 주식시장 버블만이 아니라 세계 경제의 변곡점에 서있음

→ 투기하기 좋은 상황은 아님

 

Q. 제로금리, 무제한 부양책, 생산성 하락,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는 이 시점에서 어떻게 투자해야 하나?

분산투자는 필수

→ 포트폴리오에 주식을 포함하려면 신흥국 가치주를 추천 (합리적 가격)

환경 친화적 기업을 추천 (저성장 와중에도 높은 매출 성장)

ex)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사회의 에너지원을 화석연료에서 전기로 대체하는 전기화 (Electrification) 등

https://m.blog.naver.com/energyinfoplaza/221606218902

→ 미국 기업에 투자하려면 특히 친환경 기업을 추천

기후변화 관련 펀드 (그랜섬의 회사인 GMO에도 있음)

→ 최근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사람들이 인지하면서 관심을 갖기 시작

 

단테 생각) 

▶ 최근 주식 투자서가 교보 베스트셀러 사상 첫 종합 1위를 차지

[베스트셀러]’주린이…' 6주 연속 1위…재테크 경제경영 책 인기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1/02/26/CPDLKEENSZAU5GP7ZKERDBNY7Y

→ 인간 지표 발동?


▶ 신흥국을 추천하는 구루들이 꽤 있음

ex) 레이 달리오, 제레미 그랜섬, 드러켄밀러 등

→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부가 파괴되어 신흥국으로 흘러갈 것

 

투자 구루들 긍정 부정 주식 재테크.png


댓글 : 2 개
유튜브 보다가 말았는데 글로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공부하려고 정리한 내용을 몇 번 올려봤습니다.
혹시 보시는 분이 있을까 싶었는데 그래도 님같은 분이 있어서 보람은 있네요 ^^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