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곡물 가격 랠리로 애그플레이션 조짐… 실화임?2021.04.28 PM 03:5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Q. 국제 ‘곡물 시장’에서 지난해는 특별한 해였다. 어떠한 이유 때문이었나?


- 전반적인 곡물 가격이 2014년 이후 가장 높았음

-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기상 이변까지 겹치면서 시장 공급량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



Q. 3대 곡물 가격대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나?


- 미국 옥수수 선물, 지난해 4월에 비해 85% 이상 상승 

- 미국 대두 선물, 지난해 4월 저점 대비 72% 이상 상승

- 미국 소맥 선물, 지난해 6월과 비교해 40% 이상 상승 




Q. 곡물시장의 약세장이 제법 길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언제 상승세로 돌아선건가?


- 옥수수, 2012년 8월 8.4달러 이상→ 2020년 4월 3달러대 하락

- 2020년 10월 중순 → 2019년 10월에 기록했던 4달러선 넘김


- 옥수수 가격 상승 요인

: 중국 수입이 증가한 데 반해 미국의 재고 감소.

: 브라질·우크라이나의 수출 물량 감소.


- 대두, 2012년 9월 거의 18달러대 근접 → 8.5달러를 밑돌던 2020년 5월까지 하락세.

- 2020년 8월 말부터 2018년 2월 최고치인 10.71달러를 넘김.


- 대두 가격 상승 요인:

: 이상 기후 현상인 라니뇨 장기화로 공급 차질 영향

: 중국의 돼지 사료용 수요 증대, 재고 비축, 바이오 디젤발 수요 증대


- 소맥, 2012년 7월 최고가인 9.4달러 → 2016년 8월 최저가인 3.5달러

- 2020년 6월 4.6달러로 상승 → 2020년 10월 초, 2018년 7월 최고치인 5.93달러 돌파


- 밀 가격 상승 요인 :

: 건조한 기후에 따라 유럽·북미·흑해 지역의 작황 부진 영향




Q. 3대 곡물은 아니지만 '쌀' 가격 상황은 어떠한가?


- 2021년 쌀 가격, 2020년비 소폭 하락 예상

- 생산 증대로 수급차 확대

- 높은 재고 수준으로 가격 상승 가능성 낮음

 



Q. 자국내 곡물시장을 보호하려는 수출국들이 있었나?


- 3월 1일부터 ‘러시아’는 밀에 대한 세금을 톤당 25유로에서 50유로로 상향

- 옥수수에 대한 세금은 따로 없었지만, 25유로로 올리게 됐음


- ‘우크라이나’는 음식료 가격이 올해들어 2달동안 7.7% 급등

해외 수출보다 자국의 시장 가격 안정화를 선택


- 전세계 옥수수 수출의 22%를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도

국내 공급을 보호하기 위해 수출을 일시적으로 한정




Q.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은 요즘. 곡물 가격 랠리로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인

'애그플레이션' 조짐도 보이는건가?


-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가계 소비는 1년 전보다 매분기 감소 또는 정체. 그럼에도 식료품 소비는 급증

- 엥겔지수,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8개월 연속 상승


 


Q. 예전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나?


- 2000년대 이후 두 차례 애그플레이션 사례


① 1차 애그플레이션 : 2006년 - 2008년.

- 당시 국제 유가는 급등세. 농약과 비료 가격도 상승세

곡물 공급은 기상 이변으로 생산량의 변동 증대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신흥국에서의 수요 증가


② 2차 애그플레이션 : 2011년 - 2012년.

- 2011년 유럽발 재정 위기로 글로벌 경제가 침체 국면

극심한 가뭄으로 생산량 감소




Q. 곡물 가격 상승 원인을 정리해보자면?


① 코로나19


- 코로나19 초기, 식량 사재기 급증

- 코로나19 봉쇄, 농산물 공급망 훼손

- 코로나19로 살충제의 접근성 약화, 작물 보호 부진 및 농작물 수확량 감소

- 코로나19 이동 제한 여파

: 유럽은 남미, 미국은 북유럽 이주노동자 유입 차질


② 중국의 영향력


- 아프리카 돼지 열병(ASFr) 이후 돼지 사육 두수 회복에 따른 사료 수요 증대 → 단기 사료 수요 급감

- 돼지고기 가격 급등 → 물가 부담 느낀 중국 정부 → 돼지 농가 재건 사업 총력

- 올해 중국내 모돈 개체 수 증가로서 사료 수요 재급등

- 중국의 육류 수입량 2019년 1월 이후 증가 추세

- 중국의 곡물 수입량 2019년 11월 이후 증가 추세


③ 미-중 1단계 무역 합의


- 지난해 1월 체결한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영향.

- 당시 합의 내용

: 중국이 2년간 2000억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을 대규모 구매하고, 미국은 애초 계획했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철회 및

기존 관세 중 일부 제품 관세율을 저하 → 이행 재확인

- 중국, 코로나19 어려움으로 작년도 구매 목표 58% 달성


④ 기상 악천후와 메뚜기떼의 창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 무역풍이 약해져서 발생하는게 ‘엘니뇨(El-Nino) ’라면 반대로 ‘라니냐(La-Nina) ’는 무역풍이 강해져서 생기는 현상

- 강한 무역풍→ 차가운 해수 흐름 촉진 및 수온 저하 → 지속적 현상

: 서태평양에는 강한 태풍과 폭우 유발

: 동태평양에는 강한 한파와 가뭄 발생


- 라리냐(La-Nina) 영향 :

아르헨티나의 가뭄 피해. 호주의 폭우 영향. 미국 중부와 남부 가뭄

한국,일본, 캐나다, 미국 북서부의 한파. 겨울철 추위 짙어짐

(특히 미국은 60년래의 최대 한파 및 25개 주 겨울 폭풍 경보)


- 일반 메뚜기보다 3배 이상 큰 '사막 메뚜기'의 번식 및 활동 증가

- 개체수 4천억 마리가 한 번 이동시 인간의 하루 소비 식량 약 4만명 분의 식량 섭취

- 일부에서는 메뚜기떼 포획후 단백질사료 및 유기농비료로 바꾸는 방법 고안중


⑤ 유가 상승 압력


- 국제 유가 상승 원인

: 코로나에 대한 경기회복 기대감. OPEC의 감산(특히 사우디 추가 감산) 대한 노력.

: 현재 WTI유 선물 60달러선


- 유가 상승이 곡물 가격에 끼치는 영향

1) 곡물의 운임료 상승

2) 비료 가격 상승

3) 바이오 연료 수요 확대




Q. 곡물 원자재 상승으로 수혜를 본 국내 종목은?


- 팜스토리 (KQ:027710) , 작년 한 해 227% ↑, 올해들어 88% ↑

- 케이씨피드 (KQ:025880), 작년 한 해 266% ↑, 올해들어 79% ↑

- KG케미칼 (KS:001390), 작년 한 해 183%↑, 올해들어 7% ↑

- 조비 (KS:001550), 작년 한 해 177%↑, 올해들어 13% ↑

- 대동공업 (KS:000490), 작년 한 해 176% ↑, 올해들어 29% ↑

- 우성사료 (KS:006980), 작년 한 해 168% ↑, 올해들어 52% ↑


- 효성오앤비 (KQ:097870), 작년 한 해 146% ↑, 올해들어 8% ↑

- 사조동아원 (KS:008040), 작년 한 해 143% ↑, 올해들어 47% ↑

- 현대사료 (KQ:016790), 작년 한 해 136% ↑, 올해들어 24% ↑

- 아시아종묘 (KQ:154030), 작년 한 해 132% ↑, 올해들어 1% ↑


- CJ제일제당 (KS:097950), 작년 한 해 123%↑, 올해들어 10% ↑

- 경농 (KS:002100), 작년 한 해 121%↑, 올해들어 17% ↑


- 남해화학 (KS:025860), 작년 한 해 79%↑, 올해들어 9% ↑

- 농우바이오 (KQ:054050), 작년 한 해 77% ↑, 올해들어 20% ↑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농산물선물 Enhanced(H)

- 삼성자산운용 ‘KODEX 3대농산물선물(H)




Q. 곡물 원자재 상승으로 수혜를 본 해외 종목은?


- 종자와 작물 보호 제품을 판매하는 코르테바 (NYSE:CTVA)

: 작년한해 108% 상승, 올해들어 21% 상승 (현재 46달러대)


- 트랙터 등 농기계를 제작 판매하는 디어 (NYSE:DE)

: 작년한해 240% 상승, 올해들어 41% 상승 (현재 380달러대)


- 비료 제조 업체 모자이크 Mosaic Co (NYSE:MOS)

: 작년한해 249% 상승, 올해들어 45% 상승 (현재 33달러대)


- 곡물 가공·유통 업체 ADM

: 작년한해 88% 상승, 올해 14% 상승 (현재 57달러대)


- 농기계 업체 트랙터 서플라이 (NASDAQ:TSCO)

: 작년한해 123% 상승, 올해 20% 상승 (현재 169달러대)


- 신선식품을 재배 미국 농지 리츠 상품

글래드 스톤랜드 Gladstone Land Corp (NASDAQ:LAND)

: 작년한해 75% 상승, 올해 25% 상승 (현재 18달러대)

 

Cargill ADM LDC - resized.png

 ▷ 카길은 비상장 기업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