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심층 인터뷰] 원전 산업.. 과거의 영광은 지나갔다?2021.06.03 AM 01:41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worldnuclearreport.org/The-World-Nuclear-Industry-Status-Report-2020-HTML.html

 

▶ 한국의 탈원전 정책

→ 수명이 다한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쇄

→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을 감안하면 2025~2026년까지는 원전이 오히려 증가할 예정


▶ 원전산업... 영광의 세월은 지나갔다

→ 대량 생산 및 중국·브라질 등 개도국의 급성장에 대응해 대량의 전기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필요성 有 

→ 그런 시대는 2천 년 초반부터 저물기 시작

→ 이제는 환경·안전 이슈가 중요

현재 에너지 시장은 재생에너지가 주도

→ 전세계 발전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 년째 10%에서 정체 

→ 반면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14% 정도이며 매년 1%p씩 증가


재생에너지 vs 원자력.jpg

 

▶ 원전 발전 단가는 지속적으로 상승

→ 안전성 강화 / 발전 용량 증가

→ 건설 기간 증가


▶ 반면 태양광 발전 단가는 급락

→ 기술 발전

→ 대용량 발전 설비 건설로 전력 단위당 비용 감소


원전은 이미 가격 경쟁력 상실

→ 영국, 신규 원전 전력 공급가격이 해상풍력 대비 2배 이상 높음

ex) 현재 영국에 건설 중인 유일한 원전의 발전 단가 : 92.5£/MWh

ex) 해상풍력 예상 발전 단가 : 40£/MWh 

→ 15개 건설 예정이던 원전에서 사업자들이 철수

→ 현재 건설 중인 원전에는 중국 자본 투입

 

▶ 원전 발전 단가 상승은 정부 규제 때문이라는데?

→ 안전은 사회적으로 타협 불가능한 이슈

안전성 강화 비용은 사업자의 몫 (숙명)

→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불구하고 원전을 재가동하는 일본도 마찬가지

 

▶ 글로벌 원전 투자, 장기 정체 상태

재생에너지 vs 원자력 투자규모.jpg

 

→ 적극적인 원전 투자국 : 중국, 러시아, 인도 등

→ 서로 자유롭게 경쟁하는 전력시장의 경우 원전은 정체

 

▶ 한미 정상회담에서 해외원전시장 공동진출 합의를 이루다는데?

→ 원자력 발전의 장점 : 탄소 배출이 가장 적음 (풍력과 비슷한 수준)

 

▷ 미국의 원전 지원 정책

→ 가격 경쟁력을 상실한 원전은 매년 1개씩 폐쇄되는 실정

→ 탄소 배출의 급격한 증가를 막기 위해 기존 원전에 보조금을 지급해 현상 유지를 도움

유지·보수를 위한 원전 부품 납품 업체들에게는 유리

 

▷ 한국의 원전과 미국의 관계

→ 한국의 독자 모델 APR1400

→ 원천 기술은 미국의 웨스팅 하우스가 인수한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소유

→ 따라서 원전 수출에는 미국의 동의 및 협력이 필요 

→ 평화적인 목적에만 가능 (우라늄 농축 X)

→ 미국이 적극적으로 제3국 원전 수출을 돕겠다는 의미는 아님

→ 체코, 폴란드 원전수출도 기존에 나왔던 이야기

→ 과도한 기대는 금물

 

▶ 탄소 제로 시대의 중심은 재생에너지

→ 중국의 작년 재생에너지 신규 설치량 : 120GW

→ 발전량의 변동이 큰 재생에너지를 보조할 에너지원은 전력 생산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해야 함 (부하추종능력)

ex) 천연가스, 수소에너지 (2030년 이후)


SMR (Small Modular Reactor)

소형모듈원전 (=핵잠수함 엔진)

 

▷ 영국과 미국의 신규 원전 : 납기지연과 천문학적 비용 증가

ex) 10여 년간 30조 원

 

▷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SMR을 부각


▷ 미국의 소형 원전 회사 뉴스케일파워

→ 국내 기업 두산도 투자

→ 2029년 후반에 시험 가동으로 성능 검증 예정

소형은 대형에 비해 단위당 발전 단가가 비쌀 가능성 ↑

→ 대형 원전도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대형화하다가 사고 발생

→ 지나친 기대는 아직 시기상조

→ 미국도 R&D 비용을 지급하는 정도

 

한국의 전력 예비율은 30% 정도

→ 대량 발전이 아닌 안전하고 친환경적인(저탄소) 발전이 필요

→ 대량 생산에 기여했던 원전은 이제 재생에너지로 바톤을 넘겨야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