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8월 24일 주식테마 동향2021.08.24 PM 04:2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테마 : 미디어(방송/신문),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코로나19(화이자), 철강 주요종목,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비철금속 등...


■ 약세테마 : 2차전지(생산),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등...


 


■ 코로나19(화이자)/콜드체인/mRNA/소비관련주 


美 FDA,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정식 승인 소식에 상승


▷美 FDA는 현지시간으로 23일 성명을 통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사용을 정식 승인키로 결정했다고 밝힘. FDA로부터 긴급사용 승인에 이어 정식 승인을 받은 코로나19 백신은 화이자 제품이 최초임. 시장에서는 이번 정식승인 조치가 기업체·사업장이나 정부, 대학·학교 등의 백신 접종 의무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제주반도체, 우리바이오, 제일약품, 아이큐어, 대한과학, 올리패스 등 코로나19(화이자)/콜드체인(저온 유통)/mRNA(메신저 리보핵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아울러, FDA 정식 승인에 따른 백신 접종 확산 수혜 기대감 등에 SM C&C,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여행,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GKL 등 카지노, 신세계, 호텔신라, 현대백화점 등 면세점/백화점 등의 소비관련주들이 상승세를 기록중임.


 


■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및 삼성전자, AI 메모리 제품 확대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조기 테이퍼링 우려 완화,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정식 승인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했음.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5.51(+2.63%) 상승한 3,342.01을 기록. 특히, 엔비디아(+5.49%)가 연일 강세를 이어갔으며, 최근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15%)도 반등에 성공. 아날로그디바이스(+1.79%)는 중국 정부의 맥심 인터그레인티드(+4.90%) 인수 합병 승인 소식 등에 상승.


삼성전자는 이날 온라인으로 개최된 차세대 반도체 기술 학회 ‘Hot Chips’에서 지난 2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PIM를 비롯해 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제품군과 응용사례를 소개했음. 특히, D램 모듈에 AI엔진을 탑재한 ‘AXDIMM(Acceleration DIMM)’, 모바일 D램과 PIM을 결합한 ‘LPDDR5-PIM’ 기술, HBM-PIM의 실제 시스템 적용 사례를 각각 보여주는 등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 시장 선점에 나설 계획으로 전해짐.


▷한편,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가 AI Day를 개최해 자율주행 연산을 위한 자체 개발 컴퓨터 Dojo 와 D1 프로세서를 공개한 가운데, D1 프로세서는 전공정보다 패키징 기술이 핵심으로 네패스, SFA 반도체, 엘비세미콘 등 국내 후공정 업체에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네패스, SFA반도체, 엘비세미콘, 에프엔에스테크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당정, 2조5,000억원 규모 기후변화대응기금 신설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금일 국회에서 당정 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예산안 편성 방향과 추석 민생대책을 논의한 가운데, 코로나19 완전 극복과 민생안전, 빠른 경기 회복을 충분히 예산에 반영하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짐. 당정협의에 참석한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 예산안을 올해 본예산과 1,2차 추가경정예산편성액(604조원)을 초과한 604조7,000억원 이상으로 편성하기로 했다고 밝힘.


▷특히, 이 자리에서 당정은 오는 2022년부터 2조5,000억원 규모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대응기금을 신설하기로 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유니드, 켐트로스, 그린케미칼, 후성 등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7월 K-POP 음반 수출 호조 소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7월 K-POP 음반수출액은 2,642만불(YoY +263%)을 기록하며 727만불을 기록한 작년 7월  대비 3.6배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힘. 지역별로는 중국이 825만불(YoY +1,291%), 미국 651만불(YoY +203%), 일본 581만불(YoY +195%)로 3국 합산이 78% 비중을 차지했으며, 아시아 외 지역 수출비중은 41%로 나타나는 등 5개월 만에 40%대를 회복한 점이 긍정적이라고 분석.


▷아울러 글로벌 역량이 입증된 아티스트 컴백이 없어 8월은 비수기가 예상되나, 9월에는 리사 솔로 및 NCT127 컴백이 예상되는 등 다시 한 번 강한 수출 드라이브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금일 SM C&C, 에스엠, 키이스트, JYP Ent. 등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LPG(액화석유가스)/정유 


국제유가 급등에 상승


▷지난밤 국제유가가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 속 中 코로나19 우려 완화 등에 급등세를 기록.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3.50달러(+5.63%) 급등한 65.64달러에 거래를 마감.


▷최근 코로나19 델타 변이 글로벌 확산 우려 등에 7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인 국제유가는 지난밤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매수세가 유입되었고, 중국 본토 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 기준 0명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주요 원유수입국인 중국의 코로나19 우려 완화 등에 원유수요 회복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중앙에너비스, 극동유화, S-Oil 등 LPG(액화석유가스)/정유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아울러, 현대미포조선,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테마도 상승세를 기록중.


 


■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글로벌 게임전시회 '게임스컴2021'서 신작 공개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게임전시회 '게임스컴2021’을 통해 한국 게임기업의 주요 차기작이 베일을 벗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컴투스는 내년 출시 예정인 신작 모바일 MMORPG '서머너즈워: 크로니클'의 세부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며, 펄어비스도 메타버스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도깨비'를 소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썸에이지는 신작 PC 오픈월드 슈팅 게임 '크로우즈'를 출품하며, 넷마블은 오프닝 행사를 통해 '마블 퓨쳐 레볼루션'의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룽투코리아, 데브시스터즈, 액션스퀘어, 웹젠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中 철강 생산 15개월만에 최저치 기록 등에 상승


▷전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의 7월 조강 생산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감소한 8,679만 톤을 기록해 15개월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일평균 조강생산량은 280만 톤으로 지난달보다 1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지난 6월 말부터 중국 지방정부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역내 철강사를 대상으로 감산을 요청하는 등 중국 정부의 하반기 조강 감산 정책이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에 지난 3월부터 최고가를 경신하던 철광석 가격도 급락세를 기록중.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톤당 221달러였던 철광석 가격은 지난 19일 132.6달러로 40.3% 급락해 지난해 12월 초 이후 약 9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


▷이 같은 소식 속에 국내 철강업체의 반사이익 기대감이 커지면서 세아베스틸, 포스코강판, 동국제강, 삼현철강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전기차/2차전지 


2025년까지 전기·수소택시 10만대로 확대 소식 등에 상승

 

▷환경부는 금일 서울시, 개인택시연합회, 법인택시연합회, 현대자동차·기아, SK에너지와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더케이호텔에서 2025년까지 무공해택시(전기·수소택시) 누적 10만대를 보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업무협약은 지방자치단체와 택시업계, 제조사, 충전사업자가 한 자리에 모여 무공해택시 보급 확대를 통해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저감은 물론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


▷언론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자동차, 광저우자동차, 이치자동차, 동펑자동차 등 6대 자동차 그룹은 각 사가 발표한 '14차 5개년 계획'에서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비중을 약 20%로 높이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포드는 내년 출시할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의 2024년 생산 목표를 기존 4만 대에서 8만 대로 확대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시장의 수요가 기존 예상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캠시스, 만도, 성문전자, 웰크론한텍, 필옵틱스, EG, 두산퓨얼셀, 디와이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전기차/일부 2차전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한편, 수소 저장 연료탱크와 모듈 등을 제조·공급하는 기술을 갖춘 기업으로, '수소 모빌리티' 핵심 부품 업체인 일진하이솔루스의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471대 1을 기록해 흥행에 성공한 가운데, 언론에 따르면, 금일 오후2시 기준 청약 경쟁률이 약 70대1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 음식료업종 


가격 인상 가시화 및 밸류에이션 매력 분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음식료 업종에 대해 높은 베이스 및 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훼손 우려로 부진한 상황이나, 우려 요인은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고, 부진한 실적이 역설적으로 가격 인상의 명분을 정당화시키고 있는 데다가, 밸류에이션 매력도 높아 하반기로 갈수록 투자 매력도는 높아질 것으로 전망.


▷특히, 2021년 하반기 음식료 산업은 가격 인상 사이클에 돌입할 것으로 판단하며, 음식료 업종의 가장 중요한 캐털리스트인 가격 인상은 단기적인 실적 부진 우려를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을 것이라 판단.


▷이와 관련 푸드웰, 푸드나무, 하이트진로, 오리온, 대상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손해보험/생명보험 


보험사 수익 증가 전망 등에 상승


▷교보증권은 보험업 투자의견에 대해 3분기에도 ‘Overweight’을 유지한다고 밝힘. 이는 비록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면서 이로 인한 글로벌 및 국내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기는 하나, 손보사의 경우 자동차보험료 인상 및 실손의료보험 갱신 효과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경기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보험사 모두 전년대비 수익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최근 주가 하락으로 인한 배당수익률이 올라온 점도 매력적으로 판단.


▷이와 관련 흥국화재, DB손해보험, 한화생명, 동양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KCC(002380) : 유기실리콘 가격 사상 최고치 갱신 속 저평가 분석에 급등

 

▷신영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기실리콘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반도체, 태양광, 전기차, 헬스케어 등 실리콘 전방 산업의 수요는 꾸준히 상승하는 가운데 공급 부족 사태는 장기화될 것으로 보여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24% 증가한 4,3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이어 내년에도 20%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올해 기준 PBR 0.5배, EV/EBTIDA 4.4배의 극 저평가가 되고 있으며, 유기실리콘에 대한 시장의 이해 부족으로 빚어낸 과매도 구간으로 마지막 저평가 시점이 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0원 -> 500,000원[상향]

 

 

 

■ 현대미포조선(010620) : 1,103억원 규모 컨테이너선 3척 수주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1,10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95%)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3척) 체결(계약기간:2021-08-20~2023-09-30) 공시.

 

 

 

■ 랩지노믹스(084650) : 100억원 규모 신규 나노케이지 기술 기반 면역 항암치료제 기술도입 계약 체결에 강세

 

▷(주)시프트바이오와 신규 나노케이지 기술 기반 면역 항암치료제 기술도입 계약 체결 공시. 계약금액은 총 100억원(계약금 5억원, 마일스톤 95억원) 규모임. 경상기술료는 향후 발생하는 순매출액의 5%이며, 수익은 제3자 기술이전시 합의된 조건에 따라 배분될 예정이라고 밝힘.

 

 

 

■ JYP Ent.(035900) : 하반기 아티스트 성장 모멘텀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에는 2세대 아티스트의 성장 모멘텀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특히, 3분기 선주문 93만장을 달성하며 첫 밀리언셀러에 등극할 것으로 예상하는 스트레이키즈ITZY의 정규 1집, 일본에서 트와이스, 2PM, NiziU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어 올 하반기에 이어 내년까지 아티스트 IP의 지속 확장이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신인 데뷔 후 수익화 레벨에 이르는 기간을 단축시키는 동사의 역량이 발휘될 내년은 실적 규모와 질의 동시 성장을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8,000원[유지]

 

 

 

■ 샘씨엔에스(252990) : 국내 프로브카드 적용 분야 확장에 따른 최대 수혜 예상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프로브카드 필수 부품인 기판 생산 전문업체로 DRAM, 비메모리용 프로브카드 국산화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MEMS 프로브카드 수요 증가에 따라 필수 소재인 세라믹 STF의 동반 성장이 전망되며 via정밀도에 강점을 가진 동사의 수혜도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동사는 고객사 및 제품다변화를 통한 꾸준한 매출액 증가(매출액 20년 359억원 -> 21F 456억원 -> 22F 618억원)가 예상되며 21년 기준 PER 30.1배, 22년 기준 PER 19.5배로 향후 EPS증가에 따라 밸류에이션 매력 또한 더해질 것으로 전망.

 

 

 

■ 계룡건설(013580) : 2분기 호실적 및 업종 내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BN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외형 성장에 수익성 개선까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2분기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특히 주력인 건축부문의 영업이익률이 크게 상승하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분석. 또한, 새로운 유형의 주택사업(주택정비사업,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등)이 수익성 개선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매출액 규모가 2조원을 상회하고 공공수주 시장에서는 매년 1,2위를 다투는 대형건설사라며, 리슈빌 브랜드로 서울지역에서 정비사업을 수주하는 등 주택사업 역량도 레벨업 됐다고 밝힘. 8조원에 달하는 수주잔고가 말해주듯이 성장잠재력도 뛰어나지만, 현재 시가총액은 3천억원을 밑돌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상장 건설업체 중 가장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7,000원[유지]



 

■ JB금융지주(175330) : 3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순이자이익 호조 속에 3분기 순이익은 1,312억원으로 컨센서스를 재차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3분기 NIM과 대출 성장은 전분기대비 각각 +3bps, +1.6%로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순이자이익은 +2.6% QoQ, +13.6% YoY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수익성 위주 경영이 탁월한 NIM 상승과 비용관리로 성과를 내고 있으며, 올해 배당수익률도 6.9%로 매력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원 -> 9,300원[상향]

 

 

 

■ 에이스토리(241840) : 2분기 호실적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 253.14억원(전년동기대비 +8,076.41%), 영업이익 44.8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93.5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휴마시스(205470) : 코로나19 항원 자가검사키트, 국내 기업 최초 베트남 판매허가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0일(현지시간) 베트남 당국이 동사의 코로나19 항원 자가검사 진단키트 ‘Humasis COVID-19 Home Test’에 대한 판매허가를 내려났다고 밝힘. 동사는 앞서 베트남 현지 판매 허가를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우수한 성능을 입증해 국내 기업 중 최초로 베트남에 코로나19 항원 자가검사키트를 공급하게 되었다고 전해짐.

 

 

▷아울러 동사의 베트남 현지 법인 휴마시스 비나(Humasis VINA)는 이번 자가검사키트와 더불어 지난 6월에 승인받은 전문가용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COVID-19 Ag Test)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판매 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

 

 

 

씨젠(096530) : 코로나19 자가 검체 채취법, '콤보스왑' 적용 진단 제품 4종 유럽 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피검사자가 스스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방식인 '콤보스왑'(Combo Swab)을 코로나19 진단 제품 4종에 쓸 수 있도록 하는 유럽 체외진단 시약 인증(CE-IVD)을 받았다며, 적용 제품은 코로나19와 변이를 진단하는 제품 3종과 코로나19와 독감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제품 등 총 4종류라고 밝힘. 아울러 임상적 성능시험으로 확인한 비인두도말법과 콤보스왑을 통한 PCR 검사의 코로나19 양성 일치도가 96.7%로 거의 동등한 수준이라고 밝힘.

 

▷한편,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자가 검체 채취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식품의약국(FDA)이 지난달까지 69개의 자가 검체 채취 방법을 승인했다고 알려짐.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