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급등을 가져다 줄 턴어라운드를 잡아라, 찐실적을 보는 방법은? (중앙대 양대천 교수)2021.09.26 PM 03:56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mypi.ruliweb.com/mypi.htm?nid=2250221&num=21438

 

▶ 영업현금이 진실을 말한다

→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이 떨어지는 이유는 매출은 일으켰지만, 돈을 못 받고 있어서 영업 성과로 보이지 않고 현금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 재고 자산이 많이 쌓이면 영업이 안 되는 것인데, 재고 자산이 많아지면 매출 원가가 작아져서 영업이익이 커진다. 

※ 수익-비용 대응 원칙에 따라 매출이 발생해야 매출원가(비용) 계상

 


▶ 따라서 급등 종목을 찾으려면 영업 현금흐름과 재고자산의 개선 여부도 확인해야 함

→ 분기현금조정에서 재고 감소 항목과 (플러스는 재고 감소, 마이너스는 재고 증가) 영업현금흐름을 확인


▶ 진짜 실적 (예 : 테슬라)

① 영업 이익이 2분기 이상 흑자

② 영업 현금흐름도 2분기 이상 성장

→ 2021/2Q 기준으로 영업이익과 영업활동현금흐름(OCF)이 개선

→ 이 흐름이 3분기로 계속 이어진다면 테슬라의 주가는 상승 궤도에 진입할 것


▶ 실적 장세 = 실력 장세

→ 작년은 유동성 장세, 올해는 실적 장세

→ 실력 = 재무제표를 보고 턴어라운드 기업을 골라낼 수 있는 능력


 

▶ 미국 시장은 철저히 실적 베이스

→ 주가와 실적의 상관관계가 높음


▶ 영업현금조정항목에 주가비밀이 있다!

1) 비현금성 수익

ex) 감가상각비(고정비)가 많은 기업은 매출이 늘어나면 이익이 급증할 수 있음

2) 비현금성 비용

ex) 충당금 :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비용을 선반영

→ 현대차 : 세타2 엔진 리콜 관련 대규모 충당금 설정으로 2020.3Q 적자 발생

→ 영업적자에도 불구하고, 현금유출이 없는 판매보증충당금의 규모가 2조 6천억원 이라는 점, 그리고 재고자산이 감소하며 현금이 유입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진짜 실적은 괜찮다고 볼 수 있음

→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20% 정도 상승 


▶ 미국 턴어라운드 종목 (Shopify)

→ 개인사업자가 쇼핑몰을 운영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온라인 쇼핑몰 토탈솔루션 업체 (E-Commerce Platform)

→ 카페24와 유사


▶ Shopify (쇼피파이), 영업현금과 잉여현금은 미리 말한다

→ 신생 기업임에도 감가상각비가 많다는 건 그만큼 유·무형 자산에 대해 대규모 투자를 했다는 의미

→ 마침내 2020년에 영업이익이 흑자로 턴어라운드

→ 그런데 영업현금흐름은 2019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

→ 잉여현금흐름(투자를 하고도 남는 현금흐름)도 2019년에 턴어라운드 후 2020년에 급증

영업현금흐름과 잉여현금흐름은 영업이익 턴어라운드에 선행하는 모습


▶ 2020 2Q에 영업이익, 영업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이 흑자로 턴어라운드

→ 주가는 상승 후 하락 반전

→ 3분기 실적 발표에서 흑자 기조 유지 확인 후 주가는 약 50% 상승

즉 턴어라운드 후 추세가 유지되는지 확인 후 들어가도 충분히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의미

→ 현재 이와 상황이 유사한 미국 기업들이 상당히 많음 (턴어라운드 예상 기업들)

 

▶ Doordash 

→ 미국판 배달의 민족 (점유율 1위)

→ Dash Pass : 월정액제로 배달비 없이 무제한 주문 가능

→ 아직 미국 중소도시는 시작도 안한 상태 (앞으로도 큰 성장이 기대됨)

→ 최근에는 식료품 외에도 약품, 술 배달도 급증 (비중 5%에서 계속 성장 중)

→ 미국판 쿠팡이 될 가능성

→ 리스크 : 배달비 규제, 배달원들을 개인 사업자가 아닌 정규 근로자로 볼 경우 인건비 부담이 크게 증가 (여러 복리 후생비 등)


▶ Doordash : 작년에 영업현금과 잉여현금이 턴어라운드

→ 2018~2020년에 매출이 약 10배로 급증

→ 2020년 영업 이익은 적자

→ 그러나 영업현금흐름과 잉여현금흐름은 각각 (-467 → 252, -559 → 93)으로 흑자 전환


Q. 2020/3Q 영업활동현금흐름이 흑자 전환된 2021/1Q보다 더 크지 않나? 

A :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잉여현금흐름은 보조 지표

→ 기본 지표인 영업 이익을 보완하는 지표로 활용

→ 영업 이익이 플러스 전환하는지 미리 알기위해 OCF, FCF를 봐야 함 (특히 2분기 연속인지를 파악)


▶ Doordash : 금년 3분기 영업 이익 흑자 전환 여부에 주목!

→ 운전자본변동 (매출 채권, 재고 자산, 매입 채무) : 현금 유입 급증 (매우 중요한 신호)

→ 순손실의 대부분이 임직원 주식보상비용 (Stock-based compensation, 스톡 옵션 등) : 비현금성 비용

→ 주식보상비용이 급증한다는 것은 내부 경영자가 기업의 미래를 확신한다는 의미

 

▶ Doordash : 유동성 자금이 총자산의 76%에 육박

1) 현금만 54% (전체 자산에서 현금 비중이 이 정도인 기업은 매우 드물다)

→ 고객에게 받았지만 아직 업체에 지급하지 않은 돈

→ FAANG 기업들의 특징이기도 함

 

2) 시장성증권 22% (언제든지 현금화 가능)

→ 유동성이 굉장히 풍부한 기업

     

Q. 배달의 민족이 4.5조에 독일 기업에 매각됨

→ 한국 인구는 약 5,500만 명

 → 그러면 인구 3억 3천만 명인 미국 음식배달 점유율 1위 기업의 가치는 얼마일까?

 

▶ 영업이익/당기순이익 (-), 영업현금흐름 (+)인 기업의 실적 발표를 주목

→ 현금조정항목을 보고 영업적자의 원인을 파악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