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10월 28일 주식테마 동향2021.10.28 PM 04:1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테마 : 그래핀, 3D 낸드(NAND), 반도체 장비, 아이폰,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 2차전지(LFP, 리튬인산철), 시스템반도체 등...


■ 약세테마 : 손해보험, 음원/음반, 게임/모바일게임, 정유, 여행, 두나무관련주, 야놀자 관련주, LPG, 원자력발전, 메타버스,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등...


 


■ 2차전지(LFP, 리튬인산철) 


현대차·기아, 벤츠 등 일부 완성차업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전환 계획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에 이어 현대차·기아, 벤츠 등 일부 완성차업체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채택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짐. 현대모비스는 최근 CATL과 CTP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계약 체결에 따라 개발된 시스템을 향후 생산되는 완성차와 협의를 할 예정으로 전해짐. 아울러 메르세데스 벤츠 모회사인 다임러의 최고경영자(CEO) 올라 켈레니우스 는 인터뷰를 통해 배터리 원자재 가격 상승세 등을 고려'EQA'와 'EQB' 같은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2024∼2025년부터 가격이 저렴한 LFP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앞서 테슬라도 3분기 투자 설명자료에서 표준 범위의 주행거리 모델에 사용하는 배터리를 기존 삼원계 배터리에서 LFP 배터리로 교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코윈테크, EG, 파워넷, 아모그린텍, 팬스타엔터프라이즈 등 2차전지(LFP, 리튬인산철)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 시멘트/레미콘 


유연탄 가격 하락 및 건설 경기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최근 언론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시장 개입 천명으로 유연탄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10월 셋째주 유연탄 가격은 전주대비 19.5% 하락한 187.18달러(톤당)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시장에서는 시멘트 제조원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 하락에 더해 건설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면서 관련주들에 매수세가 유입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와 관련, 금일 한일시멘트, 고려시멘트, 아세아시멘트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중.



 

■ 정유/LPG/석유화학 


국제유가 약세 속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재고가 시장 전망보다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영향 등으로 하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99달러(-2.35%) 하락한 82.6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음.


▷美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지난주 원유재고는 전주대비 426만8,000배럴 증가한 4억3,081만2,000배럴을 기록, 시장 예상치 50만 배럴 증가를 크게 웃돌았음. 아울러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7년만에 최고치를 재차 경신한 가운데,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된 점과 이란 핵협상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국제유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음.


▷이에 금일 S-Oil, 중앙에너비스, GS, 애경유화 등 정유/LPG/석유화학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중임.


▷한편, S-Oil은 3분기 실적 발표. 21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11조원(전년동기대비 +82.52%), 영업이익 5,494.1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345.48억원(전년동기대비 +1,004.77%).


 


■ 반도체 관련주 


삼성전자, 3분기 역대 최고 실적 달성 및 인텔, DDR5 지원 CPU 출시 소식 등에 상승


▷삼성전자는 21년3분기 실적 발표. 21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3.97조원(전년동기대비 +10.47%), 영업이익 15.81조원(전년동기대비 +28.04%), 순이익 12.29조원(전년동기대비 +31.32%). 올해 3개 분기 연속으로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으며, 영업이익은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임.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매출액 26.41조원, 영업이익은 10.06조원을 기록해 호실적을 이끌었음.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서버용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에 적극 대응해 D램이 분기 최대 출하량과 역대 두 번째 매출을 달성했다"며, "파운드리도 글로벌 고객사 대상으로 제품 공급을 확대해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 이어 "파운드리의 경우 평택 캐파(생산능력) 확대 및 미국 공장 신설 검토 등 양산 캐파 확보를 위해 전례 없는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캐파는 2017년 대비 약 1.8배 확대됐고, 2026년까지 약 3배 가까이 큰 폭으로 캐파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현지시간으로 27일 외신에 따르면, 인텔이 12세대 데스크톱 PC용 중앙처리장치(CPU)를 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번 신제품은 처음으로 DDR5 메모리 지원과 10나노급 공정을 적용했으며, 서로 다른 코어가 합쳐진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도 적용한 것으로 알려짐. 시장에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DDR5용 D램을 개발 완료해 양산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DDR5를 지원하는 인텔 CPU 공급이 늘수록 DDR용 D램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아닉스, DB하이텍, 하나마이크론, 테크윙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중임.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