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앞으로 시멘트 주식이 크게 오르는 이유 (양양 스승님 3부)2021.10.28 PM 06:1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시멘트 산업의 호재


1) 폐플라스틱을 연료로 재활용

→ 시멘트 제조원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유연탄의 가격 상승

→ 비용 상승으로 인한 마진 감소 우려로 주가가 크게 하락

→ 유연탄을 폐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유럽에서 도입

→ 유연탄 대체 비율 상승 중 (20% → 25%)

→ 쌍용 C&E 2024년까지 4,700억 투자하여 2030년에는 유연탄을 폐플라스틱으로 완전 대체

→ 실제로는 화력 문제로 완전 대체는 힘들겠지만 70%정도는 가능할듯

→ 연료비(유연탄) 절감은 물론 폐플라스틱 처리로 수익도 거둘 수 있을듯

→ 대표적인 환경 오염 기업이었던 시멘트 기업이 폐기물 처리 업체로 인정받음 (ESG)

→ 탄소배출권 구매 부담에서 벗어나 오히려 남는 물량을 팔 수도 있을 것

 

7년 걸린다던 21만t '의성 쓰레기산', 초고속으로 없앤 비결

https://mypi.ruliweb.com/mypi.htm?nid=2250221&num=22129

   

2) 시멘트 쇼티지 발생

→ 지난 20년간 치킨게임을 벌였던 시멘트 업계

→ 망한 기업은 없었지만 시멘트 공급이 대폭 감소

→ 시멘트 가격도 크게 하락한 상태 

→ 폐플라스틱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동안 공급이 감소할듯

→ 내년 3월 성수기에 공급 부족이 발생할수도   

→ 건설사가 8~9월 부터 아파트 발주를 크게 늘림

→ 부동산 문제로 선거에서 패배한 여당측에서 연말에 대규모 주택 공급을 발표할 것 

→ 내년에만 약 80만 가구 규모 (평년보다 2~3배 증가)

→ 앞으로 약 3년 동안 국내 아파트 위주 건설사들 (예 : 현대 산업), 건자재 기업들의 전망이 밝음

→ 건설에서 가장 콘크리트(시멘트 + 모래)를 많이 쓰는 분야가 아파트, 그 중에서도 지하주차장 

→ 내년 봄에 본격적으로 아파트 건설이 시작되면 콘크리트 타설이 크게 증가 (지하 주차장)

→ 내년 5~6월 정도에 콘크리트 파동이 발생할 것

→ 가격이 30% 오르면 이익은 200% 증가


→ 시멘트 업계는 이익이 크게 나면 납품 단가가 깎일까봐 감가상각비를 크게 잡아 비용을 늘렸음

→ 이제는 감가상각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정도 (EBITDA가 그대로 순이익으로 연결될수도)


→ 단, 시멘트 업종은 중소형주가 많기 때문에 비중을 너무 높이면 안됨


부동산 영끌 주의

→ 앞으로 아파트 공급 크게 증가 (80만 가구)

→ 지금까지 부동산 시장을 주도했던 1인 가구 수요도 이제 거의 한계 (약 3년 정도)

→ 고령층 사망으로 발생하는 공급과 1인 가구 및 신혼부부의 수요가 엇비슷해지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

→ 입지가 좋은 서울 재건축, 재개발 아파트의 수요는 꾸준할 것

→ 그러나 입지가 안 좋은 아파트, 특히 빌라 같은 주택은 위험함

→ 지방, 특히 발전성이 없는 지역은 희망이 없음


주식에는 계속 풀베팅

→ 지수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좋은 기업을 사서 모으자

→ 작전주·거품주 조심

→ 레버리지는 금물

→ 경기 민감주의 경우 경기가 정점을 지날 때는 매도

→ 악재나 오너에 대한 신뢰가 깨졌을 경우에도 매도

→ 그 외에는 절대 매도 금지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