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30년 뒤 수소가 석유보다 더 쓰인다...'국내 자급률 60% 목표'2021.11.26 PM 03:1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12609332211929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가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2021.11.25/뉴스1
(서울=뉴스1) 송원영 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가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2021.11.25/뉴스1

 

정부가 2050년 연간 2790만톤 규모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겠다는 법정 기본계획을 세웠다. 국내 자급률도 6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2050년에는 수소가 최종 에너지 소비의 33%를 차지하며 석유를 제치고 국내 최대 에너지원이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서울 명동 롯데호텔에서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은 수소산업 관련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수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2050년 단일 에너지원으로서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며 "43조원의 대규모 민간투자에 발맞춰 정부도 수소항만과 충전소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수소경제 확산에 필요한 규제·제도를 개선하고 우리기업의 해외 청정수소 개발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서 2050년 연간 2790만톤 규모 수소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수소는 100% 그린·블루수소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 될 전망이다. 한국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 중 33%, 발전량 중 23.8%를 수소가 차지할 것이라 내다봤다. 지난해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비중 49.3%)를 넘어서는 규모다. 약 1319조원 규모 경제효과와 56만7000명의 신규 일자리도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온실가스는 2억톤(이산화탄소 환산) 이상의 저감효과가 기대된다.


수소 경제 이행 주요 이정표.png

                                                 제1차 수소 경제 이행 기본계획 주요 내용. 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실증을 실시하고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기반을 구축해 생산단가를 낮출 계획이다. 그린수소 생산규모는 2030년 25만톤, 2050년 300만톤을 달성하는게 목표다. 2040년까지 국내 그린수소 공급량의 10%를 해양그린수소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과 생산실증도 시작한다.

동해가스전 실증 등 CCS(탄소포집저장기술) 상용화 일정에 맞춰 블루수소 생산도 확대한다. 블루수소란 LNG(액화천연가스) 등에서 수소를 생산하며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한 것을 말한다. 블루수소는 2030년 75만톤, 2050년 200만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국내 자본과 기술을 활용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까지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할 계획이다.

인프라도 강화한다. 정부는 비축기지와 국제거래소를 설립하고 석탄·LNG발전소, 산업단지 인근에 14개 수소항만을 구축할 계획이다. 울산과 광양, 부산, 평택·당진, 군산 등 주요항만에 설치된다. 수소생산·도입 주요 거점에 배관망을 깔고 기존 천연가스망을 활용한 수소혼입도 검토한다.

수소충전소는 2050년까지 2000기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원칙적으로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2030년에는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수소충전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석탄에 암모니아를 섞어 발전하는 혼소발전을 2027년부터 상용화하고 LNG 수소혼소도 개발한다. 청정수소 발전의무화제도(CHPS)를 도입해 수소연료전지 발전량을 늘려갈 계획이다. 수소발전량은 2050년 287.9TWh(테라와트시)로 지난해 3.5TWh에 비해 82배 늘린다.

정부는 수소차 생산능력을 2050년까지 526만대로 늘리고 수소 선박과 수소 드론, 수소 트램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 수소를 활용할 계획이다. 산업부문에서도 노후 산단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중심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연·원료 수소대체를 실시한다.

정부는 이밖에도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를 테스트베드로 활용 수소 신기술 실증과 규제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친환경 모빌리티(울산), 액화수소(강원), 암모니아(부산)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 지원을 통해 정책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댓글 : 1 개
대형운송장비들 빼곤 못쓸것 같은데;
저장장치한계가 너무 큼;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