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주식 투자 기초 (유진투자증권 강영현 부장)2022.06.01 PM 10:21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주식은 MVP


1) Momentum

주가를 끌어올릴만한 Issue/정보


① 대규모 수주 → 매출 증가 = 탑라인 (재무제표 상단) 증가 

선반영 시 재료 소멸로 오히려 하락


② 원자재 값 하락 → 비용 감소 → 영업 이익 증가 = 바텀라인 (재무제표 하단) 증가

공시 발표로 호실적이 확인되면 소멸


③ MSCI 지수 편입 → 수급 증가

지수 추종 자금이 충분히 유입되면 모멘텀 소멸


④ 한국 문화/음식/화장품의 해외 위상이 높아짐 → Market 확대


⑤ 신규 사업 진출 → New Business 

유상증자/CB/BW 발행 여부 확인


⑥ 지배 구조 이슈 → Governance


⑦ 신규 게임/신약 출시 → New Product/Service



2) Value

주가 = 주당 순이익 (EPS) × 멀티플 (PER) 

시총 = 순이익 (Net Margin) X 멀티플 (PER)

모멘텀이 이익/멀티플에 미칠 영향을 판단

계절성이 있는 종목은 비수기에 매수

밸류는 변동이 심하므로 판단 기준이 필요

다수가 동의해야 적정 가치


ex) 올해 예상 이익 200억(50/30/20/100), 업종 Peer 멀티플 15, 업종 3위 업체로 멀티플 20% discount

→ 추정 시총 : 200 × 15 × 0.8 = 2,400억 


모멘텀

① 2위 업체가 대주주 횡령 이슈로 상폐위기 

→ 예상 이익 증가로 멀티플 상향 

→ 2위 기업  discount 10%, 멀티플 15 × 0.9 = 13.5 배 


② 내년 이익 증가 예상 (200억 → 300억)


③ 신제품이 Qual test 중이며 통과시 예상 매출은 500억 OP 마진은 25% 수준



3) Price

가격 ∝ 이익 (실적)

가격 상승/하락 여부는 Valuation으로 판단 


ex) 현재 시총 1,400억, OP 기준 PER 1,400억/200억 = 7배

주가 수준은 2년 전 수준, 내년 이익 300억이 현실화될 경우 4.7배

적정 멀티플 13.5배 대비 약 3배 상승 여력

비수기(2분기)를 맞아 주가는 하락하며 실적이 나빴던 과거 지지선을 하향 돌파 


매수 타이밍 : RSI가 과매도 구간 진입 후 빠져나올 때 매수

 

 

 

볼린저 밴드 (BB, 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jpg

주가의 변동이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 아래로 폭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기준선으로 판단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


정규분포표를 보면 주가 변동의 표준편차 × 2 사이에 95%의 주가가 형성


볼린저 밴드의 상한선: 20일 이평선 값 + ( 20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 ) × 2

볼린저 밴드의 하한선: 20일 이평선 값 - ( 20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 ) × 2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면 볼린저 밴드의 폭이 커짐

주가의 변동성이 작아지면 볼린저 밴드의 폭이 작아짐


bb_과매도_3fuDrQm.png

 

 

bb_과매도_3fuDrQm.png

 

2020년 처럼 시장 구성원이 크게 변할 경우 볼린저 밴드가 잘 맞지 않을수도 있음 

대신 박스권 장세에서는 적중률이 매우 높음

 


 

 

등락비율 (ADR, Advance Decline Ratio)

20거래일 동안 상승종목 누계를 하락종목 누계로 나눈 백분율

증권시장 내의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크기를 가늠하는 지표

ADR 100% : 상승/하락 종목수 균형

ADR 75% 이하 : 바닥권

ADR 120% 이상 : 과열권

 

 

 


상대강도지수 (RSI, Relative Strength Index)

→ 장단기 감별사 

RSI 종합.png

 

RSI는 해당 종목이 과매수/과매도 상태인지를 나타냄

RSI는 0과 100사이에서 진동

RSI가 70이상이면 과매수 상태 : RSI차트에서 위쪽 수평선

RSI가 30이상이면 과매도 상태 : RSI차트에서 아래쪽 수평선


일봉 기준으론 보통 14일 평균값을 이용 : RSI(14)

 

rsi001.png

 

장기 투자 

이익 대비 시총이 저렴한 종목

매도세가 누그러졌을 때 매수

RSI가 과매도(30이하)에서 회복될 때 매수


단기 트레이딩

가격이 강하게 상승할 때 매수

→ RSI가 과매수(70이상) 구간에 진입할 때 


매도

RSI가 급락 또는 거래량이 줄어들며 횡보할 때

 

사업 구조 변화로 예상 이익이 2배로 증가하면 다음해 이익도 2배 증가 가능 

이런 논리가 시장에 반영되면 주가는 신고가를 돌파 (RSI ↑)하며 시총 4배 증가 

→ 주식은 미인대회 1등 맞추기 게임. 다수가 동의해야 주가 상승.

 

 

지수 판단

ADR (등락비율) + BB (볼린저 밴드)


종목 판단

RSI (상대 강도 지수) + BB (볼린저 밴드)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