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PER 1배 회사 매도하고 17배 기업 매수해야 하는 이유 (이남우 교수)2022.11.15 PM 01:0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이남우 연세대 국제대학원 객원교수

 

 

■ 2022년 시장 상황

1) 채권 시장은 120~130년만에 최악
→ -15% 이상 손실 (완전한 Outlier)
→ 2008년 금융위기(GFC)와 같은 시스템 리스크 X
→ 자산 가격 버블 붕괴 (인플레이션으로 채권 가격 급락)
→ 2023년~2024년에 훌륭한 기회가 나타날 것

2) 주식 시장도 역사에 남을 하락율
S&P 500 기준 3500 (올해 초 대비 - 27%)
→ 20% 이상 지수 하락은 19세기 이후에 10차례도 없었음
→ 2023년~2024년에 경기가 회복되면 역시 좋은 기회가 될 것






주식 60·채권 40 포트폴리오 수익률



■ 경기 민감주(Cyclical) 투자 시점
→ 실적이 정점에 도달했을 때 매도 (PER이 낮을 때)
→ 실적이 바닥을 쳤을 때 매수 (PER이 높을 때)

HMM의 2022년 예상 PER은 1배이지만 매수하면 안 됨
삼전의 PER은 8~9배(22년 초)에서 현재 17배로 확대됐지만 매수해야 함


■ Growing Cyclical (성장하는 경기 민감주) vs Mature Cyclical (성숙한 경기 민감주)
→ 매출/이익의 장기 추세선과 변동성(Cyclicality)이 중요

1) 성장 경기 민감주
→ 실적의 장기 추세선이 우상향
→ 애플, 알파벳, 삼전, 전기차, 전자상거래, SaaS(Software as a Service) 등

2) 성숙 경기 민감주
→ 실적의 장기 추세선이 평평함
→ 자동차(내연기관), 철강, 유화, 항공, 해운 등
→ 한국에는 대부분 성숙 경기 민감주가 많음


■ 해운업은 하락 국면
경기 둔화로 해운 운임 급락
제2 한진해운 사태를 막기 위해 3조원 규모 정부 지원책 발표

해운처럼 성숙한 Cyclical 업종은 미래 예측 극히 어려움
하지만 1Q22가 분기 영업 이익률의 정점이라는 것은 확실함
올해 기준으로는 HMM의 PER이 1정도에 불과
PER 기준으로는 매력적으로 보이지만 매수하면 안 됨


GICS 분류 11개 산업(Sector)
→ 경기에 가장 민감한 업종 : 산업재(Industrials), 소재(Materials)
→ 산업재(Industrials) ⊃ 해운
→ 소재(Materials) ⊃ 철강, 석유화학





■ 산업의 경기 민감도 (Cyclicality)
→ 내가 투자한 산업이 경기에 얼마나 민감한가?
소재, 산업재
> 경기 관련 소비재, IT, 에너지, 금융

> 헬스케어
> 필수 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틸리티





■ 시장은 펀더멘털 선반영
→ 주가 바닥/정점이 이익의 변곡점에 선행 (6~12개월)
→ 삼전 실적이 내년 여름쯤에 바닥을 친다면 9월 말에 기록한 5만원 초반이 삼전 주가의 진바닥이었을 가능성이 높음


■ 경기민감주 투자는 일반적 흐름과 반대로
이익의 정점에 가까워지면 이익 성장이 폭발적
PER ↓ (주가 상승 > 이익 성장)
PER이 낮을 때 경기 민감주 매도
PER이 높거나 적자 발생 시 경기 민감주 매수


■ 삼성 전자 매출 전망 하향
그동안 시장은 삼전 관련 악재를 기다리고 있었음
→ 애널리스트/기업 자체 실적 전망 하향 조정
→ 오히려 주가는 바닥을 칠 수 있는 계기
→ 대체로 애널 하향조정의 정점이 주가 바닥 (애널리스트 Capitulation)


■ 삼성전자는 성장 Cyclical 기업
삼전 10년 주가 : 저점 고점이 높아짐
2018년 슈퍼사이클 → 19년 주가 바닥
2021년 초에 주가 고점 → 23년에 이익 바닥
삼전 주가는 이미 바닥을 쳤거나 조만간 칠 가능성이 높음
무릎 이하에서 분할 매수 추천


■ 삼성전자 23년 기준 PER 17배 충분히 매력적
골드만삭스 : 삼전 분기 영업 이익률이 내년 2분기에 바닥을 친 후 내년에 회복 예상

그렇다면 HMM은 왜 내년에 회복을 못하나?
HMM은 성숙 Cyclical이기 때문
반면 삼전은 성장 Cyclical임


★ 경기 민감주가 많은 한국 시장에서는 PER가 높을 때 매수하고 PER가 낮을 때 매도하는 역발상 전략이 필요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