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12월 26일 주식테마 동향2022.12.26 PM 02:0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 테마 : 제약업체, 토스 관련주, 항공/저가 항공사(LCC), 마이크로 LED,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면역항암제, 정유, 카메라모듈/부품, 치매, 우주항공산업, 건설기계, 아이폰 등...


■ 약세 테마 :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사료, 희귀금속(희토류 등), 여행, 종합 물류, 렌터카, 면세점, 리비안(RIVIAN) 관련주, 해운, 카지노, 조선, 2차전지,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육계, 통신장비, 쿠팡 관련주 등...

 

 

■ 제약/일부 코로나19 관련주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 속 감기약 사재기 현상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완화하면서 중국 내에서 감기약 품귀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인들이 최근 1~2주일 사이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감기약을 싹쓸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본의 경우 대형 약국이 몰려 있는 도쿄도 다이토구 아메요코초의 면세 전용 계산대에는 연일 감기약을 사려는 중국인들이 몰리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중국인 수입업자가 제약회사와 도매업자에 접근해 감기약을 입도선매하려 한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동부 연안 지역 저장성하루 신규 코로나19 감염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저장성 방역당국은 전일 기자회견에서 감염사례 모니터링과 지역사회 표본조사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내년 1월1일께 감염 절정기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감염 절정기 하루 감염자가 최고 200만명에 달하고 이러한 상황이 일주일가량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한편, 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전일부터 코로나19 일일 신규 감염 통계 발표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경보제약, 경남제약, 비씨월드제약, 국제약품, 삼아제약 등 제약업체 및 샤페론, 케어젠, 씨젠, 피씨엘 등 일부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

 




■ 항공/저가 항공사(LCC)


국제선 여객 수 급증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로 한때 10만명대까지 내려갔던 월간 국제선 여객이 항공사들의 운항 확대와 여행 수요 회복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국토교통부 항공 포털 통계에서 지난달 국제선 여객은 308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34% 급증, 반면 국내선 여객은 285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9% 감소. 국제선 여객이 국내선 여객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임.


▷특히, 국제선 여객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지난 4월 이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지난 6월 100만명, 8월 200만명을 넘은 데 이어 10월에는 일본 무비자 입국 허용에 따라 252만2,000명까지 늘어났음. 이달 1~23일 국제선 여객은 289만3,000명으로, 코로나 이후 첫 월간 여객 400만명대 회복까지 눈앞에 두고 있으며, 연말을 맞아 일본을 찾는 여행객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에어부산,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 카메라모듈/부품


LG이노텍, 1.65조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 23일 장 마감 후 LG이노텍, 1.65조원(자기자본대비 50.0%) 규모 신규시설(광학솔루션 사업) 투자 결정 공시. 투자목적은 광학솔루션 사업 신모델/신사업 Capa 확보로 투자기간은 2023년1월1일부터 2023년12월31일까지임.


▷이와 관련, KB증권은 LG이노텍의 이번 투자가 차세대 신기술(폴디드 줌 모듈, 폴디드 줌 액츄에이터, AR 3D ToF, cam pixels) 투자에 100%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래 성장을 고려하면 과거 투자와 달리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 특히, 글로벌 빅테크 업체 요청에 의해 이번 투자가 결정된 것으로 보여 LG이노텍은 내년 생산될 차세대 광학 신제품의 공급물량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아울러 키움증권은 이번 투자가 주로 신형 아이폰향 폴디드줌 카메라 생산을 위한 것으로서 지속 성장 기반 확보와 더불어 기업 가치 향상이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Apple은 아이폰15 시리즈부터 폴디드줌 카메라를 핵심 차별화 요인으로 내세울 계획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LG이노텍을 비롯해 나무가, 엘컴텍, 동운아나텍, 하이비젼시스템 등 일부 카메라모듈/부품 테마가 상승.







■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中 VBP 정책 고시 속 가격 경쟁력 확보 기대감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23일 중국 쓰촨성 의료보장국은 VBP 입찰과 관련해 재료비의 상한가를 2,380위안으로 제한하되 업체별 입찰 상한가를 상이하게 제시했다며, 국내 임플란트 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와 덴티움은 가격 조사를 통해 957위안의 가격이 책정돼 입찰 상한가는 794위안으로 책정됐다고 밝힘.


국내 임플란트 업체들의 일부 평균판매단가 인하는 불가피해졌으나, 해당 입찰 제도의 결정 변수가 가격이란 점을 감안하면 해당 입찰에서 가격 경쟁력을 통해 적극적인 수량 확대를 노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어 VBP 정책이 시행되는 1차년도의 총 수요량은 250만개로 2020년 중국 임플란트 시술 횟수가 380만회임을 감안하면 해당 제도를 통한 입찰 수량 확대는 분명히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오스테오닉, 바텍, 레이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가 상승.



■ 반도체 관련주


후퇴한 K칩스법 통과 소식 등에 하락


▷국회는 지난 23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대기업의 반도체 등 첨단산업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기존 6%에서 8%로 인상하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의결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국내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K칩스법’(반도체특별법)이 여야의 당 초안에서 대폭 후퇴한 채 국회 문턱을 넘어서자 미래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 대기업의 세액공제 규모(기존 6%)는 여당안(20% 공제)은 물론 야당안(10% 공제)에도 미치지 못한 8%로 소폭 상향됐으며, 중견기업 8%, 중소기업 16%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양향자 무소속 의원은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는 국가적 관점에서 경쟁력을 따져 접근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특화단지를 지정해 줘도 세액공제가 낮아 생태계 구축이 상당히 위축될 것 같다"고 밝힘. 아울러 김용석 교수는 "기업 입장에선 사업 여건이 좋은 쪽에 투자가 쏠릴 수 밖에 없다"라며 "돈과 사람이 빠져나가면 '반도체 빙하기'에 몰릴 수도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SK하이닉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비씨엔씨, 마이크로컨텍솔, 예스티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해운


해운업계 치킨게임 우려 등에 하락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전 세계 컨테이너선사들이 운임 하락에도 중국 춘절 연휴 기간 선박 운영 규모를 줄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컨테이너선 수요가 감소한 와중에 공급 조절에 나서지 않으면서 ‘치킨게임’이 벌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덴마크 해운분석업체 씨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춘절 연휴(1월 21일~27일) 기간 아시아~미주 서안 노선에 배치된 컨테이너선 선복량은 135만2,659TEU로 알려졌음. 이는 올해 춘절 연휴 129만3,241TEU보다 4.6% 많은 수준으로,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춘절 선복량 평균치(99만6,107TEU)와 비교해도 내년 선복량이 35.8% 많은 것으로 알려졌음. 아울러 2016~2019년 춘절 선복량 대비 내년도 춘절 선복량은 아시아~미주 동안이 58.5%(28만6,185TEU), 아시아~북유럽 41.4%(34만8,621TEU), 아시아~중동이 7.7%(3만4,418TEU) 씩 증가하는 등 다른 노선도 선복량이 초과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졌음.


▷이 같은 움직임의 원인은 중국 리오프닝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경기 침체와 함께 컨테이너선 수요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공급 조절이 없으면 저가 운임으로 경쟁하는 치킨게임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이에 금일 흥아해운, 팬오션, 대한해운 등 해운 테마가 하락.






#벌크선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