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테슬라는 중국산 배터리 달아도 ‘IRA 보조금’ 받는다2023.06.13 PM 05:46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3/06/13/7OCCA75JJ5G6HCS6Z2HS3TAX7M/

미·중 車업체들 우회 잇따라


그래픽=김현국



지난 6일(현지 시각) 미국 에너지부는 테슬라 모델3(기본형)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규정한 배터리 광물, 부품 규정 등 2가지를 모두 만족했다며 7500달러(약 967만원)의 전기차 보조금 전액을 받는다고 밝혔다. 테슬라 모델3엔 중국의 CATL이 만든 배터리가 장착됐는데도 IRA 보조금 전액을 받게 된 것이다. 완성차·배터리 업계에선미국 정부가 중국 전기차를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하기 위해 만든 IRA지만 또다시 중국 배터리 회사가 미국 완성차 업체와 함께 우회로를 뚫으면서 무용지물이 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포드와 CATL은 지난 2월 미국에 합작 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는데, 무늬만 합작회사이지 포드가 100% 지분을 가지는 형태를 취해 IRA 규제를 피했다. 또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인 고션하이테크는 스위스 증시 상장 등 ‘중국 국적 신분 세탁’을 통해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겠다고 나섰다. 한 배터리 전문가는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중국의 배터리 업체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보니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우회로를 통해 IRA 장벽을 넘는 일이 늘고 있다”며 “한국 기업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했던 IRA 규정이 외국과 같아지거나 오히려 불리해졌다”고 했다.

 



그래픽=김현국



◇중국산 배터리도 7500달러 보조금 수령


미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선 무조건 북미에서 전기차를 최종 조립해야 한다. 이를 충족하면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부품을 50% 이상 북미에서 제조·조립해야 보조금의 절반인 3750달러를 받는다. 또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40% 이상을 미국이나 미국과 FTA(자유무역협정)를 맺은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것을 써야 나머지 3750달러를 받게 된다.


CATL은 이전까지 중국 등에서 부품을 수급해 배터리를 만들어 이를 미국 테슬라 공장으로 보냈다. 이를 통해선 ‘북미 부품 제조·조립 규정’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러나 최근 CATL은 테슬라 등으로부터 일부 배터리 부품을 수급하는 과정을 추가해 IRA 규정을 충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까이서 수급할 수 있는 부품을 굳이 멀리서 받아오는 셈이다.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배터리 부품 중 가장 비싸고 이동이 쉬운 극판 등을 북미에서 중국 CATL로 이동하는 과정이 추가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업계에선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만들며 부품망을 보유한 테슬라의 도움 아래 이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CATL은 IRA 광물 규정이 LFP 배터리에 유리하게 설계된 점도 활용했다. CATL이 만드는 LFP 배터리는 핵심 광물에 리튬만 포함됐다.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이 핵심 광물로 모두 포함된 국내 3사의 NCM 배터리보다 광물 요건 기준을 맞추기 쉽다는 뜻이다. CATL은 리튬을 호주에서 수입해 나머지 3750달러 보조금 규정을 맞춘 것으로 전해졌다.



◇포드·CATL, 고션하이테크 등 우회 잇따라


테슬라에 이어 지난해 미국 전기차 판매 2위를 차지한 포드는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IRA를 우회했다. 지난 2월 포드는 CATL과 합작사를 차려 미국에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합작사 지분 100%는 모두 포드가 갖고 CATL은 기술 협력만 하는 구조다. IRA가 합작법인이나 기술 관련 규정은 별도로 두고 있지 않은 걸 이용한 것이다. 중국 배터리 전문 매체 오프위크는 CATL과 테슬라도 같은 방식의 합작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4대 배터리 업체인 고션하이테크는 아예 중국 색채를 지우는 방식을 택했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미국 미시간주에 24억달러 규모의 배터리 부품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스위스 증시에 상장돼 있고 독일 폴크스바겐이 최대 주주(26%)로 변경됐다며 자신들은 중국 회사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 배터리 업계 전문가는 “애초 중국을 배제하려는 IRA 목적과 달리 미중 업체들의 합종 움직임은 더 거세질 수 있다”며 “중국 업체의 미국 진출에 대해 우리 기업들이 대응책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