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7월 21일 주식테마 동향2023.07.21 PM 12:59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강세 테마 : 유전자 치료제/분석, mRNA(메신저 리보핵산),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치매, 화이자(PFIZER),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제약업체, 마이크로바이옴, AI 챗봇(챗GPT 등), 슈퍼박테리아, 모더나(MODERNA), 영화, 자전거, 마리화나(대마), 제대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탈모 치료,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 약세 테마 : 3D 낸드(NAND), 전자파,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4대강 복원, 반도체 재료/부품, LED장비, 해운, 반도체 대표주(생산), DMZ 평화공원, 반도체 장비, PCB(FPCB 등), 2차전지(전고체), 피팅(관이음쇠)/밸브, 갤럭시 부품주, 그래핀, 조선기자재, 핵융합에너지, 시스템반도체, 마이크로 LED, 폐기물처리, 스마트카(SMART CAR), 아이폰,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Ⅰ. 오전장 테마동향

 

 

■ 제약/바이오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코로나19가 재확산세를 보이고 있음.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3주 연속 증가해 6개월 만에 하루 3만명이 넘는 등 재유행 조짐이 감지되는 데다, 전년과 달리 한여름까지 독감·감기가 유행하고 있음. 이에 현재 독감 감시 체계도 유행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데, 이 같은 감시 체계를 코로나19에도 적용하면 자칫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번지는 '멀티데믹(감염병의 동시유행)' 상황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전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7월 둘째 주 신규 확진자는 18만6,953명으로 전주보다 22.2% 늘었음. 또한, 국내 신규 확진자는 지난 2~6월 하루 1만~2만명대였지만, 7월 들어 연일 3만명을 오르내리고 있음.


▷정부의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정부가 지난 19일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규모 100조원, 수출 규모 500억달러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세부적으로 국가전략기술의 범위를 바이오의약품까지 확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고, 생산 공장 조기 준공에 필요한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 또한, 기획재정부는 전일 바이오 등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충북 오송(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을 소부장 특화 단지로 지정했음.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인 충북 오송에는 LG화학과 대웅제약 등이 1조6,000억원을 투자할 예정.


▷지난밤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존슨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치도 상향 조정한 점과 SK케미칼이 아스트라제네카와 당뇨복합제 위탁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바이오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국전약품 , 유한양행, 한국파마, 에이프로젠, 대원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한미약품 등 제약/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및 오스코텍, 유틸렉스, 지아이이노베이션, 지니너스, 클리노믹스, 고바이오랩 등 면역항암제/유전자 치료제/분석/마이크로바이옴 등 테마가 상승. 또한, 샤페론, 진원생명과학, 한국비엔씨, 수젠텍, 휴마시스 등 코로나19 관련주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 라인업 공개 소식 등에 상승


네이버는 이날 자체 개발 초대규모 AI(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에이전트 클로바X를 8월에 출시할 예정인 가운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라인업과 연내 출시 일정 등을 공개했음. 8월에는 기존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이와 함께 대화형 에이전트 ‘클로바X(CLOVA X)’가 베타 서비스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짐. 이어 9월에는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 ‘큐:(Cue:)’도 베타 서비스 형태로 공개되며 10월에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에 더욱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하이퍼클로바X를 위한 뉴로클라우드’도 선보일 것으로 전해짐.


▷현지시간으로 19일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챗GPT에 대항할 자체 AI 언어모델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으며, 메타도 올 초 선보인 인공지능(AI) 초거대 언어모델(LLM) ‘라마’(Llama) 새 버전의 설계도를 공개했다는 소식도 전해진 바 있음.


▷한편, 전일 AI 분야 세계 4대 석학으로 꼽히는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AI의 미래와 방향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모든 사람이 코딩을 할 수 있고, 본인의 AI를 만들어 비서처럼 쓰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신테카바이오, 솔트룩스, 라온피플, 셀바스AI, 데이타솔루션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 반도체 관련주


TSMC 2분기 순이익 4년만에 첫 감소 소식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테슬라, 넷플릭스 실적 실망감 속 기술주 약세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TSMC의 부진한 실적 발표 등에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81(-3.62%) 하락한 3,663.85을 기록. 인텔(-3.16%), AMD(-5.31%), AMAT(-5.46%), TSMC(-5.05%), 엔비디아(-3.31%)가 하락세를 보였음.


▷TSMC는 전일 실적발표를 통해 2분기 순이익이 1,818억 대만달러(약 7조4,000억원)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3.3% 줄었다고 밝힘. TSMC의 분기 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2019년 2분기 이후 4년 만에 처음임. 또한, TSMC 류더인(마크 리우) 회장은 "애리조나 공장에서의 반도체 생산이 2025년으로 연기될 것"이라고 밝히며, 이 공장에서 반도체를 공급받으려고 했던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음.


▷특히, TSMC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수요가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밝힘. TSMC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AI 관련 수요 증가를 관찰했지만, 우리 사업의 전반적인 주기성을 상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밝히며, AI 특수가 전반적인 반도체 경기 침체를 만회할 정도는 아니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ISC, 마이크로투나노, 고영, 두산테스나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또한, 삼성에스디에스, LG디스플레이 등 IT대표주도 하락.





■ 2차전지/ 전기차


테슬라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가 이익률 부진에 주가가 9% 넘게 급락세를 보였음. 테슬라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 매출액과 순이익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45억3,300만달러(약 5조7천400억원), 매출총이익률 18.2%를 기록하면서 전년동기(25.0%)보다 6.8%포인트, 전 분기(19.3%)보다 1.1%포인트 각각 떨어졌음. 영업이익률도 9.6%로, 전년동기(14.6%)보다 5%포인트 하락했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지난 5개 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아울러 테슬라 경영진들이 콘퍼런스콜에서 사이버트럭과 로봇택시에 대한 구체적인 사양과 인도 시점 등을 공개하지 않은 데다 3분기에 공장 개선을 위한 업무 중단으로 차량 생산이 느려질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레몬, 이엔플러스, 에이프로, 솔브레인, 엘앤에프, 에코프로, 우리산업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 영상콘텐츠


넷플릭스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가 실적 실망감 속 8% 넘는 하락세를 기록. 넷플릭스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2분기 매출액은 81억8,700만달러(약 10조3,700억원), 영업이익은 18억2,700만달러(약 2조3,1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7%, 15.8% 증가했음. 같은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3.29달러로 시장예상치(2.90달러)를 상회했지만, 매출액은 시장예상치(83억 달러)를 하회했음. 또한, 3분기 매출 전망치를 시장예상치(86억7,000만 달러)에 못 미치는 85억2,000만 달러로 제시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캐리소프트, 팬엔터테인먼트, 삼화네트웍스, 에프엔씨엔터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Ⅱ. 오후장

 

 

■ 아이폰


아이폰15 프로/프로맥스, 공급 제한 가능성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애플이 아이폰15 프로, 아이폰15 프로 맥스 디스플레이 제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올 가을 제품 출시 때 공급량이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애플의 디스플레이 공급사는 두 모델의 디스플레이에 새로운 공정을 적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공정의 복잡성 때문에 제조사가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에 따라 아이폰15의 플래그십 모델인 프로와 프로맥스의 초기 공급량이 많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의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이 1년가량 늦어지게 된 것으로 전해짐. 이에 따라 이 공장에서 반도체를 공급받으려고 했던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으며, WSJ은 "TSMC 애리조나 공장 가동 지연은 미국산 반도체를 원하는 애플의 계획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해당 공장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3nm 칩은 애플의 차기 아이폰 15 모델과 맥(Mac) 등에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프로텍, 하이비젼시스템, 덕산네오룩스, 인터플렉스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