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코로나 때 100조 쌓였는데…'빚 안 갚고 부동산 투자하겠다' [강진규의 데이터너머]2023.07.24 PM 02:59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스1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100조원이 넘는 가계 초과저축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감소와 소득 증가가 겹친 영향이다.
하지만 이렇게 쌓인 저축은 부채 상환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유동성이 높은 예금이 늘어나며 부동산과 주식 투자를 노리는 대기자금이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지원금·기업 보너스에 초과저축 급증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에 따르면 지난 2020~2022년 가계의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저축은 가계의 소득에서 소비를 뺀 것이다. 이번 분석에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이 지난 5월 제시한 방법론을 사용해 팬데믹 이전 추세를 상회하는 가계저축액을 초과저축으로 추정했다.
이같은 초과저축 규모는 2022년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수준에 해당한다. 명목 민간소비 대비로는 9.7~12.4%를 차지한다. 이는 연평균 가계저축률이 과거 평균보다 높은 10.7%를 기록한 영향이다. 팬데믹 이전인 2015~2019년 가계저축률은 평균 7.1%로 이보다 낮았다.
초과저축을 소득계층별로 구분해 보면 고소득층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팬데믹 이후 타이트한 노동시장,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등으로 임시직에 비해 상용직의 정액급여가 높은 오름세를 보인 영향이다. 팬데믹 중 호황을 누린 금융·IT 산업 등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큰 폭으로 증가한 점도 고소득층의 초과저축 증가에 기여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시기별로 보면 팬데믹 초기에는 소비가 감소한 것이 저축 증가에 영향을 줬다.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가 줄면서 초과저축이 늘었다는 것이다. 2022년에는 임금상승과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 소득 증가가 저축 확대를 견인했다.
빚은 안갚고…"투자 대기 중"
초과저축은 보통 소비에 사용되거나 부채 상환에 쓰인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같은 초과저축 활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증가와 정부 지원으로 소비 여건이 괜찮아 저축을 소비에 소진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부채 상환에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한국과 유사하게 초과저축이 쌓였던 미국과 유로지역에서는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금융자산과 부채가 함께 늘어나는 모습이 나타났다.
소비와 부채상환에 사용되지 않은 가계의 초과저축은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계가 빚을 갚는 대신 부동산과 주식 투자 등을 위한 대기자금 형태로 초과저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주택 가격이 다시 오르는 등 부동산 투자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으로 축적돼 있어 여건변화에 따라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빠르게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 초과저축이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user error : Error.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