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시황/전략] (KB증권) 탑다운에서의 엔비디아: 한국 반도체와 산업재에 미칠 영향2023.08.25 PM 05:2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이은택의 그림으로 보는 전략



통화정책은 문제고, 실적은 문제가 아니었다


이번주 ‘실적’과 ‘잭슨홀 미팅’이 변수로 꼽혔는데, 결과적으로 실적은 우려할 변수가 아니었다. 경기사이클이 반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8/21, 이그전). ‘투자 관련 기업’이라면 더욱 그렇다.

 

엔비디아 실적을 보면서 느낀 점은 아래와 같다.

 




탑다운에서 포착한 포인트 세 가지


엔비디아 실적을 보면서 느낀 점은 아래와 같다.


① 투자는 좋고 소비는 나쁘다


투자/소비 사이클의 디커플링이 다시 확인되었다. ‘투자 모멘텀’을 받는 ‘엔비디아’는 좋고, ‘소비 모멘텀’을 받는 퀄컴은 나쁘다. 메모리 반도체도 마찬가지이다. HBM 등 투자와 관련된 분야는 수요가 좋다. 반면 가전/핸드셋 등 소비 관련 분야는 수요가 좋지 못하다. 따라서 ‘엔비디아/후공정 > 메모리반도체 > 퀄컴’ 순으로 밑그림을 그릴 수 있다.


② 투자 관련 주식은 비싸도 더 갈 수 있다


엔비디아는 ‘매출+이익률’ 모두 좋았다. 매출액도 102%YoY나 급증했다. 그런데 단기간 이 정도의 capa를 확보하는건 불가능하다. 결국 ‘수량 (Q)’이 아니라 ‘가격 (P)’을 엄청나게 올린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초호황일 때 나타나는 조합인데, 수요가 너무 많아 골라 받는다는 것이다. 정말 업황이 좋다면 ‘매출+이익률’이 함께 폭증하는데, 이는 한국 산업재에도 적용된다. 정말 업황이 좋다면 ‘만년 low single’인 산업재의 이익률이 크게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모습이 나타난다면, 랠리는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③ ‘메모리 반도체’나 ‘엔비디아’ 모두 매출액 증가율 패턴은 같다


두 업체의 매출액 증가율의 패턴은 어차피 같다. 둘 다 ‘경기민감주’라는 뜻이다. 다만 ‘매출 증가 추세가 구조적이냐’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소비 관련 수요가 약한 것이 단점이지만, 가을에는 아웃퍼폼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 줄 요약


1. 엔비디아/퀄컴 실적에서도 ‘투자 사이클 (반등)’과 ‘소비 사이클 (둔화)’ 디커플링이 확인된다

 

2. 엔비디아의 ‘매출+이익률’ 동반 급등은 수요가 너무 많아 골라 받을 때만 나타나는 것이다. 한국 산업재도 이것이 주가를 가를 것이다

 

3. 한국 반도체는 소비 수요가 약하다는 아쉬운 점이 있지만, 하반기에도 완만한 아웃퍼폼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한다



- KB증권 주식전략 이은택 -

 

 

#이그전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