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게임이론 대가의 고백, 아내가 화를 내는 이유는 이겁니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한순구 교수)2023.09.03 PM 06:53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게임상황 

여러 경제주체가 모여 의사결정을 하는 상황


상호의존성

각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경제주체의 이익에도 영향을 주는 성질 (게임 상황의 본질)


전략적 고려

이러한 상호의존성을 고려하는 것

 

죄수의 딜레마

개별 주체의 이익 극대화 추구가 모두의 손실로 귀결

예 : 수산 자원 남획, 지구 온난화 

사회적 압력이 해결책이 될 수도? (↔ 익명성)


홀드업 문제 (hold-up problem) = 인질 문제

특정한 관계를 고려해 투자를 하면 그 투자가 오히려 인질이 되어 자신의 입지가 약해짐

특정 자동차 회사 규격에 맞는 제품만 생산하는 하청업체는 원청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음 (선택의 여지 X)

반대로 원청이 하청업체에 끌려 다닐수도 (상호의존성)

예 : GM에 차체를 납품하던 피셔바디가 단가 인상을 요구 → 결국 참다못한 GM이 피셔바디를 합병


코디네이션 게임

예 : 기업/소비자의 눈치 싸움

기업은 소비자가 먼저 소비하기를 바라고, 소비자는 기업이 먼저 고용하여 임금을 주길 바람

기업이 생산을 늘리지 않고 소비자도 소비를 늘리지 않음 (나쁜 균형)

케인스의 해법 : 정부가 재정지출을 통해 기업의 생산을 촉진 → 기업이 고용을 늘림 → 소비자 소득/소비 증가 → 기업이 생산량/고용을 늘림 

기업이 생산을 늘리고 소비자도 소비를 늘림 (좋은 균형)


단체 행동은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보다 더 안전 (위험이 분산됨)

반면 단체 행동은 모럴해저드를 초래하기도


팀에서의 도덕적 해이를 해결하는 방법

5명이 피아노를 옮기면 하루에 10대 이동 가능

한 명이 게으름을 부리면 하루에 8대 이동 (20% 손실)

손실은 5명이 나누고 힘은 하나도 안 들이면 오히려 이익

해결책 : 하루에 10개 미만으로 옮기면 모든 수익을 기부 (단체 기합)

개인의 이익을 단체의 이익과 일치시킴 


부모가 자녀에게 세포를 한개만 주는 이유 (각각 1/2개)

유전자 차원의 모럴 해저드를 방지하기 위해

→ 유전자 46개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요령을 피우면 모두 사망 (단체 기합)


미래에는 꾀를 부리는 사람을 잡아내는 기술이 나올지도 


미국에서 재택근무가 활성화된 이유

미국은 해고가 자유롭기 때문에 자신이 열심히 일한다는 걸 끊임없이 어필해야 함

반면 한국은 고용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재택근무가 일반화되기 어려움


미국에서는 교수가 학생을 탈락시키는 것도 자유로움

심지어 시험을 통과해도 학습태도를 문제삼아 탈락시킬 수도


그런데도 정년보장(Tenure) 같은 유인책을 제공하는 이유는?

다른 학교에서도 우수 인재를 유치하려 하기 때문 


공유지의 비극을 막으려면 소유권을 분명히 해야 함 

예 : 목초지에 철조망을 설치하여 영역을 나눔, 수산 자원 남획을 막기 위해 전용 구역을 설정


황금 메추리알 전략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죽은 이유? 

주인 입장에서 오래 기다리는 것보다 한 번에 부자가 되고 싶을 것

돈이 너무 많으면 가정 불화 발생/노력해야 할 이유 상실

그렇다고 돈이 너무 없으면 자식들이 부모를 버릴 수도

가정의 평화를 지키려면 수입을 적당히 오랫동안 올려야 함

(로또 vs 연금복권)


성과가 저조한 직장 동료에게 오히려 잘해줘야 

그 직원이 나가면 내가 정리해고 1순위가 될 수도


대학 교수는 똑똑한 학생이 반갑지 않음

수업 준비를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 모두 영어를 잘하면?

인건비가 낮은 제3세계 우수인재가 한국 교수를 대체할 수도

영어 수업을 못 하는 학생 = 철조망 역할


라스베이거스가 뉴욕보다 안전한 이유?

뉴욕과 달리 라스베이거스는 마피아가 치안을 담당 

마피아가 도박장을 운영 → 좀도둑/소매치기는 마피아의 밥그릇을 건드린 셈 → 범죄자 입장에서 경찰에게 잡히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함


국가의 탄생

농민을 수탈하던 도둑들이 서로를 제거하다가 가장 강한 놈이 살아남은 것

농민의 입장에서도 가장 강한 놈 하나한테만 빼앗기는 게 그나마 최선 (세금 = 보호비)

사회계약설은 비현실적


게임 이론에서 보는 인간은 모두 똑똑한 존재

일방적으로 이기는 방법은 없음

다만 바보같이 지지 않는 법을 알려줌


권투에서 오른손잡이 선수는 주로 왼손으로 상대를 가격

오른손잡이 선수는 오른손보다 왼손을 앞으로 내민 자세를 취함

오른손잡이 선수는 오른손으로 때리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를 아는 상대방이 오른손에 대해 방어를 철저히 할 것이므로 차라리 방어가 소홀한 왼손으로 상대를 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

세지만 잘 안 맞는 오른손보다 약하지만 잘 맞는 왼손으로 치는 것이 유리

나의 강점이 아니라 상대방이 무엇을 대비하고 있는지를 생각하는 것이 중요

예 : 노르망디 상륙작전 


부자는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아니라 지출을 잘 통제하여 돈을 축적하는 사람

Offense gets the glory but defense wins the game. (게임을 이기는 건 공격수가 아니라 수비수)

돈을 언제벌지는 알 수 없으나 지출은 내가 통제 가능

 

미치광이 전략 (Madman Theory)

상대방과의 협상주체를 비합리적인 캐릭터로 과장함으로써 목적을 달성

예 : 고르바초프 vs 푸틴

고르바초프가 핵전쟁을 일으킬 배짱이 없다는 걸 간파한 미국은 소련에 백기항복을 이끌어냄

리더는 의외의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걸 수시로 보여줘야 할 필요

예측불가능성이 상대방의 두려움을 유발하기 때문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