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시황/전략] (KB증권) 유가 상승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낮추는 역설, 경제지표 발표 일정2023.09.16 PM 05:03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에너지 가격 상승이 제한할 근원 인플레이션 상승세. 많이 하향 수정된 GDPNow의 3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


에너지 가격 상승이 충격을 흡수할 여력이 없는 가계. 8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56% 증가하면서 시장 예상 중앙값 0.2%와 시장 예상 상단 0.5%를 모두 상회. 그러나 전월 대비 5.19% 증가한 주유소를 제외하면 0.18% 상승에 그침. 에너지 지출이 늘어나면서 다른 지출을 많이 늘리지 못했기 때문. 운동/취미/악기/서점이나 가구/인테리어 등과 같이, 재량 지출 항목들의 소매판매가 많이 줄어든 걸 보면, 에너지 지출이 증가하면서 재량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게 확인. 작년과 비교해보면, 에너지 지출 증가에 가계가 상당히 빠르게 반응하고 있음 (9/6).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게 7월 말부터라서 에너지 지출이 본격 증가한 건 8월. 에너지 지출이 증가한 첫 달인 이번 8월에 CPI로 조정한 실질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07% 감소. 주유소를 제외한 소매판매를 근원CPI로 조정해서 보면 0.10% 감소. 에너지 가격이 오르자마자 실질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감소한 것. 반면, 작년에는 에너지 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매판매가 반응하는 데까지 3개월이 걸렸음. 작년에는 2월부터 에너지 지출이 큰 폭으로 늘기 시작. 작년 2월과 3월에 주유소 소매판매는 각각 5.49%, 12.87% 급증했는데, 2월부터 4월까지 소매판매와 주유소를 제외한 소매판매 모두 줄지 않았음. 이 두 수치는 5월이 되어서야 전월 대비 감소세로 전환. 당시에는 초과저축이 많아서 에너지 지출 부담을 이겨낼 수 있었지만, 지금은 초과저축을 소진한 가계가 많아서 에너지 지출 부담을 흡수할 여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 (9/1)


근원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에 기여할 유가 상승. WTI 유가는 전일 대비 2.45% 상승하면서 작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90달러를 돌파. 잠시 숨을 고르던 미국 평균 휘발유 소매가격도 갤런당 3.858달러로 상승세 재개. WTI 유가에 약 2주 후행하는 걸 감안하면, 휘발유 소매가격 상승세는 최소한 이달 말까지 이어지면서 에너지 이외의 지출을 압박할 전망. 에너지 이외의 지출이 늘어나지 못한다면,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유가와 함께 상승하더라도 근원 인플레이션의 상승세는 더 낮아질 것. 어제 나온 8월 생산자물가지수 (PPI)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관찰. PPI 최종수요는 휘발유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아서 전월 대비 0.57% 상승하며 예상치 0.4%를 상회. 전년 대비 변화율은 1.57%를 기록하면서 2개월 연속 반등. 반면, 근원PPI 최종수요는 전월 대비 0.14% 상승. 7월에 소폭 상승했던 전년 대비 변화율은 2.13%로 다시 낮아지며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 기록. 이번 유가 상승이 작년과는 달리 근원 인플레이션의 하락을 부추길 거라는 증거들이 이미 나오고 있음


소비 수요가 약해지는 걸 반영해서 하향 수정되는 GDPNow. 애틀랜타 연은이 발표하는 GDPNow의 3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는 4.9%로 낮아짐. 8월 30일에 5.9%로 고점을 형성한 이후에 5.4%로 하락했다가 다시 5.6%로 높아졌던 3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는 8월 PPI와 8월 소매판매를 반영한 이후에 비교적 큰 폭으로 추정치가 하향 수정. 개인소비지출의 GDP 성장률 기여도 추정치가 2.77%에서 2.40%로 하향 수정됐고, 민간국내투자의 GDP 성장률 기여도 추정치도 1.92%에서 1.78%로 소폭 낮아짐. 42일 후에 3분기 GDP 속보치가 나오는데, GDP 속보치가 나오기 41~50일 전 GDPNow의 GDP 성장률 추정치는 GDP 성장률 속보치보다 평균 1%p 높았음. 이걸 감안해도 3분기 GDP 성장률은 3%대로 나올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강달러, 고유가, 고금리 부담이 경기 확장을 제한하면서, 4분기에는 3분기에 비해 성장률이 비교적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9/8). 경기민감주는 이와 같은 우려를 점차 반영하기 시작할 것


아직까지는 경기침체 우려를 낮춰주고 있는 고용시장.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건으로 예상치 22.5만건을 하회. 지지난주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68.8만건으로 예상치 169.5만건을 하회. 두 수치 모두 전주에 비해서는 조금 많아졌지만, 여전히 고용시장은 탄탄. 그러나 고용은 경기에 후행하는 지표이므로, 다양한 경제지표에서 고용 동향을 계속 살펴야 함

 

 

- KB증권 크로스에셋/해외주식 Strategist 김일혁, CFA, FRM -

 

 






#매크로 #시황 #전략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