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美 팬데믹 이후 주식열풍에 젊은층 자산증가율 가장 높아'2024.02.16 PM 02:41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6005700072

2019∼2023년 3분기 40세 미만 실질순자산 80%↑

40∼54세는 10% 증가 그쳐…뉴욕연은 "주식투자 차이"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팬데믹 기간 금융자산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미국 내 젊은 층의 자산 증가율이 다른 세대보다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미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가계·공공정책 연구부서의 라자시리 차크라바티 공정성장연구 책임 등 연구진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연령별 자산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40세 미만 미국인의 순자산은 2019년 1분기부터 2023년 3분기 사이 80%(실질가치 기준) 증가했다.


반면 40∼54세, 55세 이상 미국인의 순자산은 같은 기간 각각 10%, 30% 늘어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금융자산 가치의 상승률 차이가 연령별 순자산 증가율 차이를 가져온 주된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40세 미만 그룹은 해당 기간 금융자산의 실질가치가 50% 이상 상승한 반면 40∼54세 그룹은 금융자산 실질가치가 3% 오르는 데 그쳤다는 것이다.


은퇴층이 많이 속해 있는 55세 이상 그룹도 금융자산이 약 20% 늘었으나 40세 미만 그룹 상승률에는 못 미쳤다.





금융자산 중에서도 주식 투자 참여가 성과 차이를 갈랐다.


실제로 미국에선 팬데믹 기간 정부의 보조금 등이 가계에 풀리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무료 증권거래 앱인 로빈후드를 사용하는 개인 주식투자 열풍이 분 바 있다.


보고서는 은퇴 시기가 먼 젊은 층일수록 고령층보다 주식에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 결과 40세 미만 미국인의 금융자산 중 주식 및 펀드 보유 비중은 2019년 1분기 18%에 불과했지만 2023년 3분기엔 25%로 많이 늘어났다. 반면 40∼54세 그룹은 이 비중이 30%에서 25%로 줄었고, 55세 이상 그룹은 33%에서 37%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보고서는 "해당 기간 주식은 가장 빠르게 성장한 금융자산군이었다"며 "이런 주식에 대한 노출 증가가 젊은 세대에게 금융 자산 및 전체 순자산의 기록적인 성장을 가져오게 했다"라고 분석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