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中 저가 공세에 경쟁자 감소… 한화솔루션, 美 태양광 웃을까2024.05.29 PM 02:10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05/29/3ZWRF33WNVCD7HTONZJ7OJJEL4

美,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271% 관세 검토

美에 3.2兆 투자한 한화, 최대 40% 공제 가능

 





중국의 저가 공세로 미국 태양광 시장의 업황이 악화한 가운데, 북미에 3조2000억원을 투자하며 태양광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갖춰온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한화큐셀)이 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중국의 공세로 미국 내 경쟁 업체들이 투자 계획을 축소한 가운데, 최근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면서 경쟁자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의 북미 경쟁업체들은 업황이 악화하자 계획했던 설비 투자를 취소 또는 연기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태양광 스타트업인 CubicPV는 10기가와트(GW) 규모의 실리콘 웨이퍼 공장 신설 계획을 최근 취소했고, 이 외에 3개의 업체가 추가로 취소 또는 연기했다”며 “미국 내에서 발표됐던 20GW의 웨이퍼 투자 계획 중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한화큐셀의 3.3GW만 확인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화큐셀 미국 조지아주 달튼 생산공장 전경. / 한화솔루션 제공

 


한화큐셀은 미국에 3조2000억원을 투자해 생산시설을 짓는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지난해부터 진행 중이다. 내년부터 잉곳, 웨이퍼, 셀, 모듈 등 모든 태양광 밸류체인을 수직 계열화한 북미 내 유일한 태양광 기업이 된다.


한화큐셀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혜택도 받는다. IRA에 따르면 북미에 공장을 짓는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총투자비의 30%를 세액공제로 돌려받고 미국에서 셀과 모듈을 모두 생산하면 DCA(Domestic Content Adder) 조항에 따라 10%를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다.


미국 내에서 DCA 조건을 충족하는 업체는 미국 태양광 기업인 퍼스트솔라(First Solar)와 한화큐셀뿐이다. 한화큐셀은 내년부터 연간 1조원이 넘는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도 기대하고 있다.


미국은 관세를 이용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은 다음 달 6일부터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4개국에 반덤핑 관세를 다시 부과한다. 미국은 모든 수입 태양광 모듈과 5기가와트(GW)를 초과하는 태양광 셀에 14.25%의 관세를,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태양광 제품엔 25%(8월부터 50%)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왔다.


중국 업체들은 관세를 피해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겨 제품을 우회 수출해 왔다. 지난 2019년 이후 미국의 태양광 셀·모듈 수입액은 총 504억달러(약 69조원)였는데, 이 중 동남아 4개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78%에 달했다. 같은 기간 한국산 제품의 수입 비중은 8%에 그쳤다.


 


한화솔루션이 미국 조지아주 돌턴(달튼)~카터스빌 지역에 구축하는 '솔라 허브' 지도. / 한화솔루션 제공

 

 

한화큐셀을 비롯한 7개 업체는 지난 4월 미국 정부에 청원서를 내고 동남아 4개국 제품에 최대 271.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은 청원을 받아들였고 내용을 검토한 뒤 오는 9월 예비 판정을 발표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큐셀 등의 청원이 받아들여지면 미국 태양광 시장은 중국과 분리돼 서로 다른 가격 흐름을 보이게 된다”면서 “비(非)중국 업체의 수익성은 비약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태양광 #FSLR #한화솔루션 #미중갈등 #보호무역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