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단위 노동 비용 (ULC) 상승의 의미2024.06.07 PM 02:22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x.com/yang_youngbin/status/1798786826108653933

출처 : 양영빈 님 (이코노미21 기자) 트위터


Unit Labor Cost(ULC)

오늘 발표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빨간색 점선이 전분기 대비 변화입니다. 

이 수치는 분기별 데이터를 연율화 한 값입니다. 

파란색은 전년 동기대비 변화율입니다. 


 






https://www.bls.gov/charts/productivity-and-costs/nonfarm-business-sector-labor-costs-percent-change.htm

 


ULC(Unit Labor Cost)는 다음 처럼 정의합니다. 


피고용자 보수: Compensation

실질생산 : Output

노동시간: Hour

노동생산성 = Output/Hour

NGDP: 명목(Nominal) GDP

바로 위 그림을 보면

ULC=시간당 보수/노동생산성이 됩니다.


실질생산(Output)=NGDP/GDP Deflator 를 사용해서 정리하면 


ULC = (Compensation/NGDP)*GDP Deflator

를 얻습니다. 

 





해석한다면 ULC는 명목 GDP 대비 노동자 보수와 GDP Deflator를 곱한 것이 됩니다. 

GDP Deflator는 경제 전반적인 물가지수이므로 결국 ULC는 물가지수와 같이 움직이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출처 = https://www.employamerica.org/blog/unit-labor-costs-do-not-drive-inflation-they-are-inflation


노동비용(단위당 노동비용, ULC)이 올라서 인플레이션이 올랐다고 하는 말은 ULC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는 말이기 때문에 애초부터 인과관계가 없는 주장입니다(@GONOGO_Korea 님의 주장과 일맥상통합니다). 


ULC가 올라서 인플레이션이 올랐다는 주장은 Preston Mui의 주장처럼 "인플레이션이 높아져서 인플레이션이 올랐다"는 동어반복에 가깝습니다. 


오늘 ULC가 올랐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정확하게는 경제전반적인 물가 수준인 GDP Deflator)가 올랐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물론 24년 1분기 데이타가 그렇다는 것입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