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시황/전략] (KB 주식시황) 갑론을박의 업종 전략 (4): 밸류업 ① → 韓 자본시장의 생존 전략2024.07.28 PM 12:56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bit.ly/3ygnr2d

안녕하세요,

KB증권 주식시황 하인환입니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을 주식시장에서 자본시장으로 확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대부분 밸류업 프로그램을 중단기적인 주식전략의 관점으로 생각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대한민국 자본시장 생존 전략이라고 판단합니다.

그 이유는 2가지로인데 자본시장 개방을 통한 환율 안정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밸류업 프로그램: 중단기적으로는 주식 전략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자본시장 생존 전략

■ 환율 안정의 목적: [주식: 밸류업] + [채권: WGBI 세계채권지수 편입] + [외환: 거래시간 연장]

■ 국민연금의 고갈: 고갈 시기를 늦추려는 노력 + 필연적인 결과에 대응할 전략



====================================================



밸류업 프로그램: 중단기적으로는 주식 전략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자본시장 생존 전략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대부분은 주식 투자전략으로 생각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 자본시장의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 판단한다. 이유는 2가지에서 찾을 수 있다.


환율 안정의 목적: [주식: 밸류업] + [채권: WGBI 세계채권지수 편입] + [외환: 거래시간 연장] 


지금의 원달러 환율은 1,380원 수준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수입 물가에 부담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서민경제에 부담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하지만 지금의 원달러 환율 상승은 구조적 달러화 강세 영향이 크다. 전통적 방식 (통화정책) 외의 추가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상황이며, 그 노력이 밸류업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사실, 밸류업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이 언급되기 시작한 시기 (2024년 1월)보다 1년 앞서서 한국 정부는 사실상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었다 (배당절차 개선방안,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 등).


그리고 주식투자자들은 밸류업 프로그램에만 주목하고 있지만, 지금 한국 정부는 WGBI 세계채권지수 편입을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며, 이를 위해 기재부 차원에서 도쿄, 싱가포르, 런던 등에서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초에 발표된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의 결과물로 2024년 7월부터 외환시장 거래시간이 연장됐다. 밸류업 프로그램과 함께 채권, 외환시장에서의 노력이 가리키는 공통점은 ‘자본시장 개방 (외국인 자금 유입 유도)’이다. 말 그대로 순수하게 ‘자본시장 개방’을 위한 것일 수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환율 안정’이 내포되어 있을 것이다.


국민연금의 고갈: 고갈 시기를 늦추려는 노력 + 필연적인 결과에 대응할 전략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국내주식 보유 잔고는 약 150조원이다. 한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 (코스피+코스닥)이 약 3,000조원이라 가정해보면, 국민연금이 보유한 비중은 5%에 이른다. 게다가 주요기업들에 집중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당수 기업들의 국민연금 보유 지분은 10% 내외다. 장기적으로 그 자금이 국민연금 고갈 문제로 인해 ‘매도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국민연금 고갈 시기를 지연시키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하고 있다. 보험료 인상이 대표적인 예다. 그리고 필연적인 결과에 대응할 전략도 이미 진행 중이다. 국민연금이 국내주식 보유 비중을 축소하고 있는 것이 그 예다. 다만, 아직까지는 절대 금액은 증액되고 있으나 언젠가 절대 금액이 감액되는 시기가 도래할 것이며, 국내 증시의 수급 충격은 그때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자본시장 관점에서 보면, 먼 훗날 발생할 수 있는 수급 충격 가능성을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 올해 상반기에 외국인이 코스피에 22조원 순매수했는데, 역대 최대 규모다 (코스피 외국인 지분율: 연초 31.7% → 7월 중순 34.7%). 이전 기록 (연도별 상반기)은 2023년 12조원 (29.8% → 31.1%), 2017년 9조원(지분율: 34.0% → 35.7%)이었기 때문에 절대 매년 지속될 수 없는 매수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민연금의 150조원 (지분율: 10%내외)을 대체할 자금유입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외국인 자금에만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부동산에 치우친 가계자산도 금융시장으로 이전시킴으로써 자본시장에 발생할 수급 충격을 완화할 준비를 해야 하며, 지금도 그 준비가 빠르다고 보긴 어려울 수 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