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가 아재] [월가아재 시즌3 - 35편] 미 대선 이후, 스태그플레이션은 오는가?2024.09.01 PM 03:5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https://www.valley.town/join




■ Preview


대선 이후, 스태그플레이션이 오는가?

● 1960년대와 2020년대가 유사한 이유

● 그러나 지나치게 '거대 담론'에 휘둘려서는 안되는 이유



■ 시황 이야기 리뷰


월가아재 시즌3, 현재까지 시황 리뷰


7월: 실적 시즌이 시작되면 1) 기술적 부담감, 2) 자사주 Black Out, 3) 포워드 가이던스 하향으로 주자 조정 가능성


8월 초: 조정이 급격했으나 옐런이 대선을 위해 돈을 풀고 있으므로 대선까지는 시장이 나쁘지 않고, 조정이 빠르게 끝날 것


8월 중순/말(현재): 생각보다 너무 주가가 빠르게 상승, 9월에는 변동성을 조심할 것

● 기술적 부담감이 높아지는 중

● 9월 6일: 자사주 Black Out 기간 시작

● 9월 10일: 대선 토론 (트럼프가 우세할 경우의 리스크 센티먼트)

● 9월 15일: 3차 세금 납부

● 9월 18일: FOMC

● 9월 말: 10월 초부터 유대교 명절 연속으로 시작 - 헤지펀드 물량 청산

여기서 내릴지/오를지 방향성에 대한 강한 의견은 없음

그저 9월 변동성을 주의할 필요는 있다 정도



■ 대선과 대선 이후


8월 조정에서의 급반등 → 9월 변동성 조심 → 10월부터 유동성 환경 좋아질 것

● 옐런이 재정지출을 늘릴 수 있는 회계연도 상의 여유 확보 (시황일주 31편)

● 재무부 국채발행계획(QRA) : 4분기 국채 발행 줄이고, TGA 잔고 1500억 달러 소진 예정 (시황일주 34편)


11월 대선 이후부터, 특히 12월 크리스마스 이후는 하락장의 리스크가 슬슬 높아짐

재무부 입장에서 유동성 풀어낼 정치적 유인이 약화되는 시점

② 2025년 1월 1일부터 다시 부채한도 이슈 재발 

유동성 환경이 악화되면, 여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경기둔화 움직임이 가시화될 수 있음

④ 재무부 국채 발행 비중이 단기채 → 장기채로 이동 중

옐런이 5월부터 행한 재정지출이 6~9개월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이중 ③ (경기둔화) vs ⑤ (인플레이션)은 양립 가능한가? (스태그플레이션)



■ 1960년대의 이야기


유의사항

● 일부 내용은 경제학파 사이에서도 여러 논쟁이 있기에, 월가아재 견해가 무조건 맞는 건 아님

지금 이야기하는 초장기 매크로 흐름은, 하루하루 의사결정, 2025년도 투자에 크리티컬한 요인은 아님


미국에서 경기침체와 인플레가 동시에 나타난 시대 :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경기침체, 인플레)

●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 

● 달러 지위 약화

● 오일 쇼크





■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의 중요한 요인

 

요인1, 과도한 재정지출:

재정지출은 증세 혹은 국채 발행을 통해 조달 → 민간의 소비를 억누르는 구축 효과 

예) 국채 발행 증가 → 국채 금리 상승 → 기업 투자와 대출, 가계 소비를 위축시킴

● 1960년대는 정치의 시대라 불러도 될 정도로, 정부가 주도하는 시대

● Great Society 프로그램, 아폴로 프로젝트, 베트남 전쟁 (막대한 재정 지출) → 1929년 대공황의 반대급부에서 부상한 케인지언 학파

재정지출은 결국 미래의 카드를 끌어쓰는 것 → 갚아야 할 시기에 정치인들은 돈을 찍어내는 걸 선호 → 침체 속 인플레

→ 갚아야 할 시기에 허리띠를 졸라매서 갚으면 재정지출이 줄어들어서 경기가 나빠짐

→ 이유 : 정부의 적자 = 민간의 흑자 / 정부의 흑자 = 민간의 적자 

→ 정치인 입장에서 긴축 재정으로 인한 경기악화는 바로 비난받지만,

돈을 찍어냄으로 발생하는 인플레는 시차를 두고 나타날 뿐더러 그 고통을 모두가 조금씩 나눠서 받기 때문에

긴축 재정으로 인한 여파보다는 손가락질을 덜 받음

결국 1960년대의 과도한 재정지출 끝에 1970년대는 높은 인플레와 경기침체가 공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망령이 미국을 병들게 했음

● 케인지안 학파의 헤게모니도 통화주의자들에게 넘어감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어디서나 화폐적인 현상이다"

● 폴 볼커가 80년대 초 기준금리를 엄청나게 끌어올리며 종식





요인2, 달러 기축통화 지위의 약화

●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 하 유지되던 금-달러 고정환율 제도 → 1971년 닉슨의 선언으로 붕괴 → 달러 가치 하락 (닉슨 쇼크)

미국인들 입장에서 수입 물가는 폭등, 수혜 받아야 할 수출은 이미 제조업 약화로 경쟁력 상실 (일본, 서유럽)

● 고물가 속 경기 침체 

 

요인3, 오일 쇼크

● 1차, 2차 오일 쇼크

● 당시 석유를 수입에 의존하던 미국에 큰 타격


이 세 가지 요인 외에도 정치인들의 실책, 아서 번즈 때와 같은 통화정책의 실책이 겹치면서 미국은 1970년대 내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고통 받았음

 




■ 1960년대와 2020년대의 유사성


요인1, 과도한 재정지출 → COVID 시기부터 시작된 과도한 재정지출

요인2, 달러 지위 약화이번에 경기침체가 오게 되면 연준/정부가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

→ 또 금리를 내리고 양적 완화를 재개하고 재정지출을 늘린다면, 이번에는 달러 가치가 겉잡을 수 없이 악화할 수도

요인3, 에너지 쇼크아직 가시화되지 않았지만 이미 저변에서 에너지 부족 문제는 심화되고 있는 중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은 에너지 부족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모습

→ AI쪽에서도 지금은 엔비디아 GPU가 병목이지만, 그 다음은 전력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음


그 외에도 디테일적인 유사성

● 2024 해리스의 인플레 억제 공약 : 식품, 주택, 의료비와 같은 필수품에 대해 가격 상한제 도입

● 1971 닉슨의 인플레 억제 공약 : 가격 통제 정책 → 결과적으로 공급 부족 발생 + 해제 이후 더욱더 인플레 급등

 




추가적인 우려 요인

미국의 재정적자는 과거와 비교도 안될 수준에 와 있다는 점

과거 미국 국채는 무역 흑자국에서 사 주었는데, 이제 중국이 사주지 않는다는 점

 


■ 반론 : 1960년대와 2020년대의 차이점


기술 발전(AI 혁명)은 일반적으로 디플레적인 요인 : 생산성 향상, 비용 효율화

고령화는 디플레적인 요인 : 소비 감소, 저축 증가 (일본의 사례)

글로벌하게 높은 부채 수준은 소비 감소, 디레버리징 요인


그럼 뭐 어쩌라고?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는 거냐, 아니라는 거냐? 


이러한 요인들은 초장기적인 거대 담론

너무 장기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중단기적인 투자 의사 결정을 해서는 안 된다

● 합리적인 이야기일지라도, 시장의 움직임과 내 사고 간에 괴리가 커짐 → 매크로 허무주의

● 예시 : 한국의 저출산, 인구 감소, 지방 소멸 vs 당장 정부는 부동산 부양 중





■ 초장기 요인은 투자에 어떻게 활용하는가?


초장기적인 요인들은 반드시 중단기 이벤트를 통해 시장에 의미 있게 드러난다

● 초장기 요인들을 공부하고, 배경지식을 쌓아두고, 인지할 필요는 있으나

● 그 지식은 중단기 이벤트의 해석을 위한 프레임 안에서 활용

투자 의사 결정 자체는 중단기적인 시간지평에 기반해서 진행


초장기 요인 → 실전 투자 의사 결정  X

초장기 요인 → 중단기 이벤트의 해석 → 실전 투자 의사 결정 O

(물론 각자의 투자 철학, 스타일, 시간 지평에 따라 조금씩 다름)

 


■ 중단기적인 시간지평을 보자


하반기 예정되어 있는 중요 이벤트 : 연준 FOMC, 미국 대선


가설:

● 미국 대선까지 옐런/재무부가 돈을 풀 유인이 충분하지만,

● 대선 이후는 부채한도, 장기채 비중, 인플레 리스크, 경기 침체 등 여러 요인들로 리스크가 높을 것

→ 과연 데이터는 어떨까?



■ 대선 전vs후 6개월




 

현직 대통령의 재선을 위한 지출은 60년대부터 자주 있었던 일

● 1960년 ~ 2020년, 16번의 대선에 대한 데이터

● 대선 전 6개월 간 수익률 = 4.15%

● 대선 후 6개월 간 수익률 = 5.65%

대선 전후에 주식 비중 더 늘려야 하나?

통계적 유의미성이 전혀 없는, 굉장히 나이브한 결론


이러한 통계의 남용을 우리는 너무나 자주 목격

특히 매크로 분야는 데이터의 특성상 남용이 심한 편

● 월가아재도 시황에서 자 오남용



■ 다음 시간


잘못된 귀납적 추론 : 매크로 분야 통계에 대한 올바른 시각 확립하기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

user error : Error.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