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스러운 얘기] 우울증 (Depression)2009.05.03 AM 04:35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 憂鬱症, 문화어: 슬픔증)은 정신 질환의 하나이다. 주요우울장애라고도 한다. 주요 증상은 일시적으로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우울하고 슬픈 감정과 의욕저하 등 다양한 신체적인 증상이 함께 나타나 지속되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내력 1년에 320만 명 정도 발병하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병빈도가 2배 정도 높다. 여자는 평생 동안 10~25%, 남자는 평생 동안 5~12% 정도가 적어도 한번은 우울증에 걸린다. 우울증은 전연령에서 나타나는데, 연령의 평균은 약 40세이다. 환자의 50% 이상이 20대에서 50대 사이에 발병한다.

우울증은 자살을 초래할 위험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가능하다.

증상
우울한 기분 및 감정이 주 증상이며 그로 인한 수면, 식욕, 흥미의 저하와 불안, 자살 생각, 무기력감 등의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 체중의 변화가 심각한 정도이며, 매우 둔하고 느려진다. 또한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이 동반되며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진다. 만성적으로 피곤하며 잠을 못자는 경우가 많고 잠이 많아져 자더라도 개운하지 않다. 감정과 생각, 욕구와 더불어 신체 증상도 나타나는데 두통, 소화불량, 목과 어깨결림, 가슴이 답답함 등이 나타난다. 심한 우울증의 경우 망상이나 환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울증의 진단요소

A. 다음 중 5가지 이상, 이 중 1, 2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하루종일 우울한 기분
삶에 대한 흥미 감소
체중감소나 증가
불면/과수면
정신운동초조 또는 지체
피로감
무가치감 또는 자책
사고-주의집중력 감퇴
자살시도/자살계획 또는 반복적 자살사고

B. 혼합삽화가 아님

C. 기능장애

D. 약물에 의하거나 신체질환이 아님

E. 사별에 의한 것이 아님


분류

우울증은 몇 개의 형태로 분류되며 그중 제일 흔한 형태는 주요우울증(조증이 동반되지 않는) 단극성우울증으로 진단기준 9가지 중 5가지 이상이 동반된다. 그 다음으로 흔한 형태는 우울증상이 가볍게 2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인데 기분부전증이라고 하여 우울증 증상 중 2~3 정도만 해당되지만 지속기간이 길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이 외에 조증과 우울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양극성 우울증과 계절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달라지는 계절성 정동장애가 있다.


원인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과 세로토닌, 노아에피네프린 등의 뇌의 신경전달물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뇌질환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원래 세로토닌이 낮은 편이며,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잘 걸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발 가능성이 있는 고혈압약, 항불안약, 마약, 중추신경흥분제 등과 같은 약물 복용이 원인이 될 수 있고, 당뇨병, 췌장암, 내분비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유전적으로 가족 중 우울증을 앓은 적이 있는 경우에는 발병율이 높으며, 스트레스를 쉽게 받는 성격을 가지고 있고 그런 인지체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도 발병율이 높다.그리고 우울증은 자기의 심리가 중요하다


합병증으로서의 우울증

암, 심장질환, 뇌경색 환자의 경우 우울증을 앓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우울증 치료가 간과될 때가 많은데, 우울증의 신체적 증상이 내과질환의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합병증으로의 우울증은 치료할 때 약물상호 작용의 가능성에서 신중해야 하며, 치료방법은 일반적인 우울증과 비슷하다.


치료

우울증은 치료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80% ~ 90%가 완치되는 질환이며,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함께 해야한다. 약물은 신경호르몬의 조절에 관여하는 항우울제나 기분안정제(양극성우울증의 경우), 신경안정제인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물, 갑상선 제제 등을 투여한다. 정신치료의 경우는 인지 체계 교정을 위한 인지치료, 대인관계의 기술을 위한 대인치료, 어린시절의 갈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정신역동치료 등이 있으며 집단치료, 가족치료도 행해진다.

출처: 막장위키백과


후우.. 요즘 연예인들 자살원인중 우울증에 속해있다죠
대표적으로 장자연씨가 우울증이 심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전 요즘 환하고 신나는 노래를 더 듣고싶은데.. 본능적으로 발라드나 우울한 곡만 듣게되더라고요.
참 우울증이란것도 무시 못 할 병입니다. 저도 요즘 뭐랄까 암울한 기분이 든달까요.

진단을 해보면,

1. 하루종일 우울한 기분
2. 삶에 대한 흥미 감소
3. 체중감소나 증가
4. 불면/과수면
5. 정신운동초조 또는 지체
6. 피로감
7. 무가치감 또는 자책
8. 사고-주의집중력 감퇴
9. 자살시도/자살계획 또는 반복적 자살사고

저는 일단 이 리스트 중에서..
1, 2, 4, 6, 7, 8 에 속해있습니다.

이정도면 저는 우울증이 확실한건지도 모르겠네요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