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Our Lady Peace - R.K. 1949-97 ~ Everyone's a Junkie2012.11.15 PM 04:1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pegasus02k.tistory.com/entry/Our-Lady-Peace-RK-194997-Everyones-a-Junkie

Our Lady Peace

Spritual Machines 10번 트랙

R.K. 1949-97

 

1949.
George Orwell portrays a chilling world in which computers are used by large bureaucracies to monitor and enslave the population in his book 1984.
1949년, 조지 오웰은 그의 책 1984에서 거대한 국가 체제가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을 감시하고 노예화하는 섬뜩한 세계를 묘사했다.

The year is 1976. Kurzweil Computer Products introduces the Kurzweil Reading Machine, the first printed speech reading machine for the blind.
1976년, Kurzweil Computer Products는 장님들을 위한 최초의 보조 기계인 Kurzweil Reading Machine를 발표했다.


In 1997, Deep Blue beats Gary Kasparov, The world chess champion, in a regulation tournament.
1997년, Deep Blue가 세계 체스 챔피언인 Gary Kasparov를 상대로 규정된 대회에서 승리했다.


 

 

Our Lady Peace

Spritual Machines 11번 트랙

Everyone's a Junkie


I'm not waiting for the answers
난 답을 기다리지 않아

On a Sunday afternoon
일요일 오후

I'm just too drunk to remember
난 그저 너무 취해서 기억을 하지 못할 뿐이야

Why I always slip through
왜 내가 항상 빠져나가는지

The drugs and fake ambition
약물과 거짓된 야망은

Have been helping me to hide
내게 있어 피난처가 되어주지만

But it's the endless television
결국엔 모두 날 안에 틀어박혀 있게 하는

That has kept me inside
끝없는 TV 방송일 뿐이야


Where does it stop?
어디서 멈추지?

Where does it end?
언제 끝나지?

Where do we go?
우린 어디로 가는거지?

Why am I always complaining?
왜 난 언제나 불평뿐이지?


I can be good
난 선인이 될 수도 있고

I can be bad
난 악당이 될 수도 있으며

I can be loved
난 사랑을 받을 수도 있어


But everything's gone black
하지만 모든게 어둠에 잠겨버렸고

You're looking for that sun
넌 태양을 찾고 있어

You're looking for that light
넌 그 빛을 찾고 있어

Lonely, you're not the only one to feel this way
외롭게, 하지만 너만 이런 감정을 느끼는건 아냐

Big green monkey, everyone's a junkie
덩치큰 초록 원숭이, 우리 모두가 중독자야


I'm not asking for forgiveness
난 용서를 구하지 않아

For the things that I don't know
내가 모르는 일에 대해서 말야

But I'm really not that different
하지만 나역시 그렇게 특별한 사람이 아냐

You just made me think so
그저 네가 날 그렇게 생각할 뿐이지

 


 

멜로디는 그럭저럭 밝지만 가사를 보면 이해하긴 힘들어도 그렇게 밝은 곡이 아니라는게 느껴집니다. 얼핏 보면 Superman's Dead와 주제가 비슷해 보일수도 있는데, R.K. 나레이션과 함께 책 1984나 컴퓨터 발전으로 인한 인간 소외를 다루는 노래라는 해석도 있더군요.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