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 인디게임 개발 리스크2013.07.25 AM 11:29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그냥 심심해서 생각해 본건데

개발기간을 1년정도 잡았을때

월급을 대충 250이라고 하면

기회비용이 3천만원

카피당 5달러에 판다고 가정하고 스팀이 30% 먹으면 하나팔때마다 3500원

광고비 같은것도 들어간다고 생각해서 대충 500원 까면 3000원

만개 팔아야 본전..

만개나 팔아야 본전이라니;;

이것도 쉬운게 아니네
댓글 : 11 개
디자인 + 프로그래밍 + 기획력 되는 사람이 미국에서 일한다면 월급이 최소한 500~600백은 되겠죠.
그건 미국얘기구요;;
  • PWR
  • 2013/07/25 AM 11:53
그리고 월세내고 먹고살면 한국에서 2~3백 버는사람보다 전혀 나을게 없어집니다.
스팀이 50프로 정도 먹는다고 알고 있음
월급 실 수령액이 250이나 되면 뭐 연봉 남부럽지 않게 받는데 그냥 저냥 먹고 사는데는 100만원도 풍족하니 그정도로 생각하면 기회 비용이 그렇게 많지는 않을거에요
스팀 30 ~ 33% 확실합니다.
1달 정도 전에 올려서 확실해요.
협의에 따라 3% 차액 차이가 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걸 자신이 해결함으로써 굇수가 되는 인간이 가끔 출현하죠
재미있는건 그러면서 유저들은 무료를 원한다는거죠 ㅋㅋㅋ
근데 보통 세일이나 핸폰 게임 아니면 5달러에 팔진 않으니
한 10달러라 치면 단순계산으로 5천카피로 줄어드네요...
사실 10달러도 세일 가격이라 보통 한 15달러 내지는 20달러로 잡아야 겠지만...
한국이나 미국이나 회사는 다니면서 밤에 투잡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둘 다 일이 잘 안될 가능성이 높지만, 안전판은 깔아두는 거죠.
물론 회사측에서는 딱보면 알바 뛰는 구나, 딴 일 하는 구나 바로 눈치 채지만
왠만하면 그냥 넘어가 주는 곳들도 있구요.
혼자서 모든걸 하는 괴수도 있고...
오프라인에서 모여서 팀결성하는 열정헝그리팀도 있고...
그냥 시간으로 모든걸 커버하는 분들도 있고 ㅋㅋ 인디게임하나에 3년 투자...
직장다니면서 짬짬히 작업하는분들 ㅋㅋ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