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162016.10.26 PM 01:13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아쿠토히메(阿久斗毘売)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3대 안네이 텐노(安寧天皇)... 즉, 시키츠히코타마데미노미코토(師木津日子玉手見命)의 황후.

 카와마타비메(河俣毘売: 스이제이 텐노의 황후)의 오빠에 해당하는 아가타누시하에(県主殿延)의 딸이다. 안네이 텐노와의 사이에서 토코네츠히코이로네노미코토(常根津日子伊呂泥命), 오오야마토히코스키토모노미코토(大倭日子鉏友命: 이토쿠 텐노), 시키츠히코노미코토(師木津日子命)... 이 세 사람의 어자(御子)를 얻었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안네이 텐노의 황후가 된 사람은 누나소코나카히메노미코토(渟名底仲媛命), 다른 이름을 누나소히메(渟名襲媛)라 나와있으며, 『니혼쇼키』 일서(一書)에는 메카와츠히메(女川津媛)라 나와있고, 또 다른 일서에서는 오오마노스쿠네(大間宿禰)의 딸인 메이토이히메(女糸井媛)로 되어 있다. 이 아씨를 황후로 삼아, 오키소미미노미코토(息石耳命), 다음으로 오오야마토히코스키토모 텐노(大日本彦耜友天皇: 이토쿠 텐노)라는 두 황자를 얻었다고 나와있지만, 다른 일서에는 세 황자를 얻었으며, 첫번째 아들을 츠네츠히코이로네(常津彦某兄), 둘째 아들을 오오야마토히코스키토모 텐노, 셋째 아들을 시키츠히코노미코토(磯城津彦命)라 말하고 있다.

 

 

 

◎ 아자미츠히메노미코토(阿邪美都比売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11대 스이닌 텐노(垂仁天皇)... 즉, 이쿠메이리히코이키치노미코토(伊玖米入日子伊沙知命)의 황녀.

 스이닌 텐노와, 누바타노이리비메노미코토(沼羽田之入毘売命)의 동생인 아자미노이리비메노미코토(阿邪美能伊理毘売命: 『니혼쇼키』에는 薊瓊入姫로 표기되어 있으며, 오토히메노미코토라 여겨진다)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御子) 중(1남 1녀를 두었다) 작은 딸 쪽이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와카아사츠히메노미코토(稚浅津姫命)로 나온다. 덧붙이자면, 오빠는 이코바야와케노미코토(伊許婆夜和気命: 『니혼쇼키』에는 이케하야와케라 나온다)이다.

 오빠인 이코바야와케노미코토는 사호노아나호베노와케(沙本穴太部之別)의 선조가 되며, 이 아자미츠히메노미코토는 이나세히코노미코(稲瀬毘古王)와 결혼했다고 한다. 

 

 

 

◎ 아자미노이리비메노미코토(阿邪美能伊理毘売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11대 스이닌 텐노(垂仁天皇)의 아내 중 한 사람.

 누바타노이리비메노미코토(沼羽田之入毘売命)의 동생.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아자미니이리히메(薊瓊入姫)라 나와있기 때문에, 그녀가 오토히메노미코토(弟比売命)라 여겨진다. 그리고, 이 두 사람 사이에는 이코바야와케노미코토(伊許婆夜和気命: 『니혼쇼키』에는 池速別命라 나와있다)와 아자미츠히메노미코토(阿邪美都比売命: 『니혼쇼키』에는 稚浅津姫命라 나와있다)라는 1남 1녀를 두었다. 

 

 

 

◎ 아시카가미와케노미코(足鏡別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倭建命)의 어자(御子).

 『古事記(코지키)』에 따르면,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야마시로(山代: 山城国)의 쿠쿠마리모히메(玖玖麻理毛比売)와도 결혼하여 아시카가미와케노미코토(足鏡別命)를 얻었다고 나와있다. 그리고, 이 미코(王)는 카마쿠라노와케(鎌倉之別), 오츠노키미(小津), 이와시로노와케(石代之別), 후키타노와케(漁田之別)의 선조가 되었다고 나와있다. 하지만,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이 미코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 아시가라노사카모토노카미(足柄坂本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아시가라야마(足柄山)의 신>

- 오우스노미코토(小碓命: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가 동정(東征)을 했을 때에 등장하는 신들 중 한 주(柱).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倭建命)가 아시가라 고개(足柄峠) 정상에서 오토타치바나히메(弟橘比売)를 떠올리며 「내 아내여...」라며 길게 탄식했다는 이야기의 전후의 일이다

 야마토타케루는 아시가라 기슭의 사카모토(坂本)라는 장소에 도착했다. 이곳은 토카이도(東海道)의 옛길로, 후세에서 말하는 아시가라도(足柄道)의 역참(宿場)이며, 현재는 카나가와 현(神奈川県) 미나미아시가라 시(南足柄市) 세키모토(関本)에 해당한다. 야마토타케루 일행이 이곳에서 식사를 하고 있자, 한 마리 흰 사슴이 다가왔다. 야마토타케루는 자신들의 주변을 맴도는 흰 사슴을, 먹고있던 달래의 한쪽 끝으로 때렸다. 이것이 흰 사슴의 눈에 맞아 사슴은 그 상처로 인해 죽어버렸는데, 실은 이 흰 사슴이 아시가라야마이 신(『코지키』에는 언덕의 신이라 기록하고 있다)이 화신(化身)이었다... 고 『古事記(코지키)』 『日本書紀(니혼쇼키)』 모두가 기록하고 있다. 아시가라야마의 신이라는 것은, 어쩌면 이 지방의 추장을 가르키는 것이리라.

 야마토타케루는 이 땅을 떠나 카이노쿠니(甲斐国)로 향했다. 그리고, 사카오리노미야(酒折宮)에서 숙박했을 때의 일이다. 야마토타케루는 약간의 피로와 쓸쓸함을 느끼며


 「新治 筑波を過ぎて 幾夜か寝つる(니이바리와 츠쿠바를 지나 몇일밤이 지났을까)」


라고 읊었다. 그때, 화톳불을 켜놓고 야간 경비를 서고있던 한 노인이 


「かがなべて 夜には九夜 日には十日を(통틀어 아홉번의 밤, 열번의 낮을...)」


 

 이라며 그 자리에서 덧붙였다. 야마토타케루는 이 멋드러진 대응을 매우 기뻐하며 노인을 아즈마노쿠니노미얏코(東国造)로 삼았다... 라고 『코지키』에 기술되어 있다. 『니혼쇼키』에서는 「후한 상을 내렸다」라며 납득할만한 표현을 하고 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