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662016.12.26 PM 12:49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오키나가히코노미코(息長日子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息長宿禰王)의 어자(御子)이자, 진구우 황후(神功皇后)의 남동생. 

 오키나가노스쿠네노미코는, 카츠라기노타카누카히메(葛城之高額比売)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얻었다. 

 장녀는 오키나가타라시히메노미코토(息長帯比売命: 진구우 황후)이고, 차녀는 소라츠히메노미코토(虚空津比売命), 셋째가 장남인 오키나가히코노미코(息長日子王)로, 키비노히나지노키미(吉備品遅君), 하리마노아소노키미(針間阿宗君)의 선조가 된 인물이다.  

 

 

 

◎ 오키나가미즈요리히메(息長水依比売)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히코이마스노미코(日子坐王)의 아내이자 아메노미카게노카미(天之御影神)의 딸.

 『古事記(코지키)』에 따르면, 히코이마스노미코는 세번째 부인으로 치카츠아후미(近淡海: 비와코를 가르킨다)의 미카미노하후리(御上祝)가 모시는 아메노미카게노카미의 딸인 오키나가미즈요리히메(息長水依比売)와 결혼했다고 나와있다.

 아메노이카게노카미라는 것은, 현재의 시가 현(滋賀県) 야스 군(野洲郡) 야스 쵸(野洲町)에 있는 미카미 진쟈(御上神社: 칸츄)의 제신(祭神)이며, 이 진쟈는 일찍이 야스 군을 영유한 야스노쿠니노미얏코(安国造)의 우지가미(氏神)였다. 미카미노하후리는 이 신의 후예라 해도 좋을 것이다.

 오키나가미즈요리히메는 아메노미카게노카미의 딸이라 여겨지는데, 미카게노카미를 이츠키마츠루(斎祀)인 미카미노하후리의 딸이라 생각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 오키노미츠고노시마(隠伎之三子島)/아메노오시코로와케(天之忍許呂別)

<키키신화 속에 등장하는 섬>

- 이자나기(伊邪那岐)와 이자나미(伊邪那美) 부부가 낳은 오오야시마(大八洲) 중 한 섬.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부부는 히루코노카미(蛭子神)처럼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자식을 낳았기에, 이를 고민해 아마츠카미(天神)에게 방법을 물었더니 「여자쪽에서 먼저 유혹해서는 안 된다. 다시 해보거라」라고 가르쳐주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자나기노카미가 먼저 「아아, 멋진 여자여」라고 말을 걸고, 둘은 교합하여 이때 낳은 것이 오오야시마... 즉, 일본땅이며, 이것이 유명한 나라낳기 신화를 이야기한 조(条)이다.

 세번째로 낳은 섬이 오키노미츠고노시마(隠伎之三子島)이다. 오키(隠伎)는 바다(沖)를 의미하며 오키노시마(隠岐島)를 가르킨다. 미츠고노시마(三子島)라는 것은 치부리지마(知夫里島), 니시노시마(西ノ島), 나카노시마(中ノ島)라는 삼도정립(三島鼎立)의 섬으로, 그로 인해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섬은 또 다른 이름을 아메노오시코로와케(天之忍許呂別)라 한다고 『코지키』에 기록되어 있다. 

 

 

 

◎ 오쿠야마츠미노카미(奥山津見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이자나기노카미(伊邪那岐神)가 어자(御子)인 카구즈치노카미(迦具土神)를 베어버렸을 때, 그 사체의 배에서 태어난 신이다. 오오야마즈미노카미(大山祇神)와 함께 산의 신으로서 숭배받고 있다.

 모신인 이자나미노카미(伊邪那美神)가 불의 신인 카구즈치노카미를 낳다가 죽어버린 데에 분노한 부친 이자나기노카미는 아메노오하바리(天之尾羽張)... 다른 이름을 이츠노오하바리(伊都之尾羽張)라 불리우는 검으로 불의 신의 목을 잘랐을 때, 카구즈치노카미의 사체로부터 태어난 여덟 신들 중 한 주(柱). 배에서 화생(化生)한 오쿠야마츠미노카미(奥山津見神)의 奥는 바다(沖)와 같은 의미로서, 하야마(端山)와 대치되는 오쿠야마(奥山)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신의 이름은 깊은 산 속에 사는 신이라는 뜻이다. 

 덧붙이자면, 불의 신의 사체로부터 화생한 여덟 신은 모두 산에 사는 신들임을 나타내고 있다. 『日本書紀(니혼쇼키)』 일서(一書)에서는, 다섯 주의 산의 신이 되었다고 나와있는데, 이상의 여덟 신은 하야마노카미(羽山神)와 헤야마노카미(戸山神)처럼 같은 뜻을 가진 신들의 이름이 중복되고 있기 때문에, 다섯신이라 말하고 있는 것이리라. 또, 산의 신이 나란히 등장하는 이유는, 검(剣)을 만드는 카지(鍛冶)가 산 속에서 검을 제작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리라.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