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762017.01.10 AM 11:1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카미나오비노카미(神直毗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요미노쿠니(黄泉国)에서 돌아온 이자나기노카미(伊邪那岐神)가 미소기하라에(禊祓)를 했을 때에 화생(化生)한 신들 중 한 주(柱). 과오(禍)을 바로잡는 신이라 여겨진다. 

 이자나기노카미가 죽음의 나라(요미노쿠니)에서 돌아와 미소기하라에를 했을 때, 그 과오(禍 = 邪悪)를 바로잡으려 하자 화생한 것이 카미나오비노카미(神直毗神), 오오나오비노카미(大直毗神), 이즈노메노카미(伊豆能売神)... 이 세 신으로, 이들 중 카미나오비노카미, 오오나오비노카미 두 신은 과오를 바로잡는 신이다. 

 덧붙이자면, 이즈노메노카미의 이즈(伊豆)는, 이츠베(厳瓮) 할 때의 이츠(厳)로, 모든 과오를 깨끗히 씻어냈음을 의미하고 있어, 더러움을 씻어 깨끗히 했음을 나타낸 신이다.


[카미나오비노카미와 오오나오비노카미를 모시는 진쟈(神社)]

톳토리 현(鳥取県) 야즈 군(八頭郡) 야츠카 쵸(八束町)에 있는 이소노사사 진쟈(伊蘇乃佐只神社): 고샤(郷社)

 

 

 

◎ 카미나가히메(髪長媛)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휴가노쿠니(日向国) 모로가타노키미 우시모로이(諸県君牛諸井)의 딸이라 전해진다. 그 아름다운 용모에 대한 소문이 널리 퍼져있었기 때문에, 오우진 텐노(応神天皇)는 사자를 파견하여 셋츠노쿠니(摂津国) 스미요시 군(住吉郡) 쿠와츠노무라(桑津邑)로 맞이하였는데, 오오사자키노미코토(大鷦鷯尊: 훗날의 닌토쿠 텐노)가 그녀에게 연정을 품었기 때문에 텐노는 히메를 황자(皇子)에게 양보했다고 한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오오쿠사카노미코(大草香皇子), 쿠사카노하타히히메노히메미코(草香幡梭姫皇子)가 태어났다. 

 

 

 

◎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巣日神 = 神皇産霊尊)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조화 삼신(造化三神)으로 꼽히는 신들 중 한 주(柱). 또, 코토아마츠카미 오신(別天神五神) 중 한 주이기도 하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카미무스비노카미(神皇産霊神)라 기록되어 있다. 

 『古事記(코지키)』에서는,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天之御中主神), 타카미무스비노카미(高御産霊神 = 高皇産霊神)와 함께 천지에 처음으로 이뤄진 신이며, 생성력(生成力)의 영묘한 활동을 타카미무스비노카미와 나란히 이원적(二元的)으로 신격화(神格化)한 것이라 여겨진다. 

 타카미무스비노카미의 대립적 존재로서 출현하는데, 이는 사물이 태어나는 것은 남녀, 자웅(雌雄) 양성(両性)이 존재한다는 것이라, 중국의 음양설(陰陽説)과 마찬가지로, 생성력은 이원적인 것에 의해 이뤄진다고 하는... 상대(上代) 사람들의 사상을 통해 태어난 신일 것이다.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 타카미무스비노카미, 카미무스비노카미... 이 세 신을 우주창조라 근원신, 조화의 신으로서 「조화 삼신」이라고도 호칭된다. 또,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에 비해, 타카미무스비노카미와 카미무스비노카미... 이 두 무스비노카미는, 천지근원신의 활동면을 나타내는 신으로, 아라미타마(荒魂), 니기미타마(和魂) 관계로 보는 설도 있다. 

 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大国主命)를 소생시킨 신화, 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의 나라만들기 신화, 나라양도 때의 히키리노요고토(火鑽りの寿詞) 등등... 주로 이즈모계 신화에서 발견되며, 『니혼쇼키』에서의 등장은 적다.


[카미무스비노카미를 모시는 진쟈(神社)]

후쿠시마 현(福島県) 아다치 군(安達郡) 모토미야타테노코시(本宮館ノ越)에 있는 아다치타라 진쟈(安達太良神社): 켄샤(県社)

安達太良神社_-_panoramio.jpg

 

야마가타 현(山形県) 히가시오키타마 군(東置賜郡) 카와니시 쵸(川西町) 요시다(吉田)에 있는 핫쇼 진쟈(八所神社): 고샤(郷社)

 

 

 

◎ 카미무스비노미코토(神魂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카모 우지가미(賀茂氏神)계통 신들 중 한 주(柱).

 카미무스비노미코토(神魂命)는 카미무스비노카미(神皇産霊神)와 같은 신이라 여겨진다. 카모타케츠노미노미코토(賀茂建角身命)의 조부라 전해지고 있다.

 카모타케츠노미노미코토는 진무 텐노(神武天皇)의 동정(東征)이 있었을 때, 타카기노카미(高木神),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명령을 받고 강림하여, 야타가라스(八咫烏)가 되어 텐노를 인도해주었던 신이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