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782017.01.12 PM 02:38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카모와케이카즈치노미코토(賀茂別雷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카모 우지가미(賀茂氏神) 계열 신들 중 한 주(柱).

 오오야마쿠이노카미(大山咋神: 니누리야로 변신한)와 타케타마요리히메노미코토(建玉依比売命)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御子).

 쿄토(京都) 카미가모 진쟈(上賀茂神社: 카모와케이카즈치노미코토)의 제신(祭神). 이름의 와케이카즈치(別雷)라는 것은, 젊은 번개(若雷)라는 의미이다. 

 『山城国風土記(야마시로노쿠니후도키)』 이츠분(逸文)에 따르면, 오오야마쿠이노카미(『코지키』에서는 나리카부라노카미)가 니누리야(丹塗矢)로 변하여 세미(瀬見) 오가와(小川)를 타고 떠내려와, 타케타마요리히메와 결혼하여 어자인 카모와케이카즈치노미코토를 낳아 모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어자는 성인식을 축하하는 연회석에서 지붕을 부수고 승천하여 부친의 곁으로 가서 외조부인 카모타케츠노미노미코토(賀茂建角身命)의 이름을 따와서 카모(賀茂)라는 이름을 갖게되었다고 전한다. 

 카모타케츠노미노미코토는 카미무스비노미코토(神魂命)의 손자라 여겨지며, 카미무스비노미코토는 카미무스비노카미(神皇産霊神)와 같은 신이라 여겨진다. 

 나라 현(奈良県) 미와(三輪)에 있는 오오미와 진쟈(大神神社)의 제신인 오오모노누시노카미(大物主神: 오오쿠니누시노카미)가 세야타라히메노미코토(勢夜陀良比売命)의 곁을 니누리야로 변신해 드나들다 혼인했다는 신화도 있어, 니누리야는 신령(神霊)의 점유(占有)를 나타내는 이구시(斎串)와 같은 것이라 생각해야할 것이다.


[카모와케이카즈치노미코토를 모시는 진쟈(神社)]

쿄토 시(京都市) 키타 구(北区) 카미가모(上賀茂) 모토야마(本山)에 있는 카모와케이카즈치 진쟈(賀茂別雷神社: 카미가모 진쟈): 칸다이(官大)

 

 

 

◎ 카야누히메노카미(鹿屋野比売神)/쿠사노오야카야누히메노미코토(草祖草野媛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이자나기(伊邪那岐)와 이자나미(伊邪那美) 부부의 어자(御子)로, 들판의 신, 또는 풀(草)의 선조신이라 여겨진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는 쿠사노오야카야누히메노미코토(草祖草野媛命)로 기록되어 있다. 

 『古事記(코지키)』에서는, 산의 신인 오오야마즈미노카미(大山津見神)와 대비되는 들판의 신으로서... 또, 두 신을 부부라고도 말하고 있다.

 또 다른 이름은 노즈치노카미(野椎神). 노즈치(野椎)의 츠치(椎)는 쿠구노치노카미(久久能智神)의 노치(能智)와 마찬가지로, 줄기를 나타내는 풀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카야(カヤ)는 지붕을 잇는 소재인 새(萱 = 茅), 참억새(薄), 뜸(苫), 갈대(葦) 등의 총칭이며, 띠(茅萱)는 화본과식물(禾本科植物)들 중에서도 특히 강인한 식물이다.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는 카야(カヤ)의 어원에 대해 「카야(加夜)는 모두 지붕을 잇는 재료가 되는 풀을 가르키는 이름이다. 들판의 신의 이름에 덧씌운 이유는, 들판의 주인이 되는 존재는 풀이며, 풀의 용도는 지붕을 잇는 주된 재료가 된다. 그런 탓에 풀(草)이라는 글자는 이윽고 카야(加夜)라고도 읽게 되었다. 아마츠요(上代)는 대저택을 시작으로 모든 지붕이 풀비슷한 것으로 이어놓았다」고 고찰하고 있다.

 벼농사 의례 중 하나로, 칸사이(関西)에서는 아오기토(青祈祷) 칸토(関東) 남부에서는 니이바시노이와이(新箸の祝い)라 불리우는... 새나 참억새 같은 푸른 줄기로 만든 젓가락으로 특정 음식을 먹으며 벼의 무사 성숙을 기원하는 행사가 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도 카야누히메노카미는 들판의 수호신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카야누히메노카미를 모시는 진쟈(神社)]

아이치 현(愛知県) 아마 군(海部郡) 지모쿠지 쵸(甚目寺町)에 있는 카야즈 진쟈(萱津神社): 손샤(村社)

<참고로 이 진쟈는 츠케모노(漬物: 절임류)의 선조신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어있다> 

 

 

 

◎ 카야마토오미노카미(香山戸臣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오오토시가미(大年神)의 어자(御子).

 『古事記(코지키)』에 따르면, 오오토시가미와 아마시루카루미즈히메노카미(天知迦流美豆比売神)가 결혼하였고, 이 두 신에게는 10명의 어자가 태어났다고 한다. 카야마토오미노카미(香山戸臣神)는 그중 일곱번째 어자이다.

 

[카야마토오미노카미와 하야마토노카미(羽山戸神)를 모시는 진쟈(神社)]

시가 현(滋賀県) 나가하마 시(長浜市)에 있는 히요시 진쟈(日吉神社): 고샤(郷社)

 

 

 

◎ 카요리히메노미코토(香余理比売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제 12대 케이코 텐노(景行天皇)의 황녀(皇女: 차녀).

 케이코 텐노는 다른 아내와의 사이에서 누나키노이라츠메(沼名木郎女), 카요리히메노미코토(香余理比売命), 와카키노이리히코노미코(若木之入日子王), 키비노에히코노미코(吉備之兄日子王), 타카기히메노미코토(高木比売命), 오토히메노미코토(弟比売命)를 얻었다고 나와있다(『코지키』에는 와카기노이리히코노미코와 같은 이름의 숙부가 등장하는데, 『니혼쇼키』에는 이 인물의 이름이 없다).

 또, 이 여섯 어자들은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야사카노이리히메(八坂入媛 = 八坂之入日売命)가 낳았다고 되어 있다. 

 

 

 

◎ 카라노카미(韓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오오토시가미(大年神)의 어자(御子)로, 모친은 이누히메노카미(伊怒比売神)이다.

 『古事記(코지키)』에는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의 딸인 이누히메노카미는 오오토시가미(스사노오노카미와 카미오오이치히메노미코토 사이에서 태어난 신)와 결혼했다고 나와있다.

 카미이쿠스비노카미(神活須毘神)의 活須毘는 무스비(産霊 = 産巣日)와 같은 의미라 카미무스비노카미(神産巣日神)와 같은 신이라고도 여겨진다. 딸의 이름에 있는 이누(伊怒)는, 『出雲国風土記(이즈모노쿠니후도키)』에 이즈모 군(出雲郡) 이누 고(伊怒郷)라는 지역 이름이 나오는데, 이 지명이 아닐까 하고 생각된다.

 이누히메노카미와 오오토시가미 사이에서 태어난 어자(御子)는 모두 다섯 주(柱)로, 오오쿠니미타마노카미(大国御魂神), 카라노카미(韓神), 소호리노카미(曾富理神), 무카히노카미(向日神), 히지리가미(聖神)이다... 라고 『코지키』에 기재되어 있다. 

 카라노카미는 그 다음에 태어난 소호리노카미와 함께 생각해보지 않으면 안 되는 이름이다. 

 소호리(ソホリ)는 이소타케루노미코토(五十猛命) 조(条)에서 설명했는데, 현재의 한국(韓国)으로 건너가 소시모리(曽尸茂梨)에 살았다고 『日本書紀(니혼쇼키)』의 일서(一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소시모리와 소호리(曾富理)는 같은 인물을 가르키는 것이라 여겨진다. 그렇게 치면, 카라노카미의 카라(韓)는 한국(韓国: 카라노쿠니)의... 라 해석되며, 카라노쿠니에 있는 소시모리(韓国曽尸茂梨)로 이어붙여야하는 말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코지키』에서는 두 주의 신으로 나뉘어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