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요청 번역]『일본의 신 해석 사전』#0922017.02.06 PM 01:36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第二編 -키키신화(記紀神話)의 신들

 

 

 

 

◎ 사키츠미(前津見)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아메노히보코(天之日矛)와 그의 증손인 타지마모리(多遅麻毛理) 쪽 가계(家系)의 신들 중 한 주(柱).

 아메노히보코의 아내이다.

 아메노히보코는 아카루히메(阿加流比売)를 쫓아 일본으로 왔지만, 해상의 수호신의 방해를 받아 결국에는 나니와(難波)로 들어갈 수 없었다.

 어쩔 수 없이 타지마노쿠니(但馬国: 효고 현)로 들어간 아메노히보코는 이곳에서 타지마노마타오(多遅麻之俣尾)의 딸인 사키츠미(前津見)와 결혼하여 자손을 남겼다고 한다.

 사키츠미는 아메노히보코와 결혼하여 타지마모로스쿠(多遅麻母呂須玖: 『니혼쇼키』에서는 但馬諸助)를 낳았는데, 그의 자손은 타지마히네(多遅麻斐泥) - 타지마히나라키(多遅麻比那良岐)로 이어졌으며, 이 히나라키의 어자(御子)가 타지마모리와 타지마히타카(多遅摩比多訶) - 키요히코(清日子)이다.

 

 

 

◎ 사시쿠니오오카미(刺国大神)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남신>

-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刺国若比売命)의 부친. 오오쿠니누시노카미(大国主神)에게는 외조부에 해당하는 신이다.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와 그녀의 남편인 아메노후유기누노카미(天之冬衣神), 그리고 사시쿠니오오카미(刺国大神), 세 신의 이름의 유래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아메노후유기누노카미와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 부부로부터 태어난 신이, 이즈모 신화(出雲神話)의 중심이 되는 오오쿠니누시노카미이기 때문에 이들 부부신의 존재가 중요시되어 신화 속에 기록되었을지도 모르겠다. 

 

 

 

◎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刺国若比売命)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 사시쿠니오오카미(刺国大神)의 딸. 스사노오노미코토(素戔嗚尊)의 5대 후손인 아메노후유기누노카미(天之冬衣神)에게 출가하여 오오쿠니누시노카미(大国主神)를 낳았다.

 나중에 오오쿠니누시노카미가 형제들인 야소카미(八十神)들에게 학대받아 곤란해했을 때, 모친인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刺国若比売命)는 이를 염려하여 「그대는 이곳에 있다가는 야소카미에게 죽임을 당하고 말것이오」라고 말하며, 키이노쿠니(紀伊国)의 오오야비코노카미(大屋毘古神: 스사노오노미코토의 어자인 이소타케루노미코토의 다른 이름)에게 급히 보내서 그에게 아들을 보호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와 그녀의 남편인 아메노후유기누노카미(天之冬衣神), 그리고 사시쿠니오오카미(刺国大神), 세 신의 이름의 유래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아메노후유기누노카미와 사시쿠니와카히메노미코토 부부로부터 태어난 신이, 이즈모 신화(出雲神話)의 중심이 되는 오오쿠니누시노카미이기 때문에 이들 부부신의 존재가 중요시되어 신화 속에 기록되었을지도 모르겠다.

 

 

 

◎ 사지후츠노카미(佐士布都神)/미카후츠노카미(甕布都神)/후츠노미타마(布都御魂)

<키키신화에 등장하는 검(剣)의 신>

- 초대 진무 텐노(神武天皇)가 동정(東征)에 나섰을 때에 만난 신들 중 한 주(柱).

 진무 텐노가 곰과 조우하여 텐노를 시작으로 전군이 실신했을 때, 타카쿠라지(高倉下)의 꿈 속에 나타난 타케미카즈치노카미(建御雷神)가, 「내가 강림하여 텐노를 도울 필요도 없다. 나라를 평정할 타치(横刀: 검)를 그대의 집 창고에 내려두었으니, 그 검을 아마츠카미(天津神)이신 텐노에게 바치거라」고 말했다. 

 『古事記(코지키)』에는 이 검을 사지후츠노카미(佐士布都神)라 하고 있으며, 또 다른 이름을 미카후츠노카미(甕布都神), 후츠노미타마(布都御魂)라 한다고 나와있다. 『日本書紀(니혼쇼키)』에서는 韴霊(후츠노미타마)라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코지키』에는 「이 검은 이소노카미노카미노미야(石上神宮)에 있다」고 부기(付記)하고 있다. 따라서, 텐리 시(天理市)에 진좌(鎮座)하는 이소노카미 진구우(石上神宮)의 제신(祭神)이라는 뜻이 된다.

 천손강림(天孫降臨)이 있었을 때, 아시하라노나카츠쿠니(葦原中国)의 나라양도 교섭을 위해 오오쿠니누시노미코토(大国主命)에게로 파견된 것은, 『코지키』 이외에 『니혼쇼키』나 『旧日本紀(큐니혼기)』 등에서는 타케미카즈치노카미(建御雷神)와 후츠누시노카미(経津主神)로 되어 있다.

 그런데, 『코지키』에는 이러한 신화가 없다. 하지만, 이자나미(伊邪那美)가 불의 신 카구즈치노카미(迦具土神)를 낳았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떠나게 된 것을, 남편인 이자나기(伊邪那岐)가 슬퍼하고 분개하여 카구즈치노카미를 베어버렸다. 그리고, 그 검에 고여있던 피에서 태어난 신들 중에 「타케미카즈치노카미, 또 다른 이름은 타케후츠노카미(建布津神), 또 다른 이름은 토요후츠노카미(豊布津神)」라는 기술이 있다. 『코지키』에서는, 후츠누시노카미를 타케미카즈치노카미의 다른 이름이라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것을 감안하면, 『니혼쇼키』 등의 기술도 두 신이 동일한 신이라 생각해도 좋다. 거기다, 후츠노미타마와 후츠누시노카미는 동일한 신으로, 아라미타마(荒魂)와 니기미타마(和魂) 관계에 있는 신이라 해야할 것이다.

 칸토(関東) 제일의 하천인 토네 강(利根川) 하구 근처를 끼고서 이바라키 현(茨城県)에 타케미카즈치노카미를 모시는 카시마 진구우(鹿島神宮)가 있으며, 치바 현(千葉県)에 후츠누시노카미를 주제신(主祭神)으로 삼는 카토리 진구우(香取神宮)가 있는데, 이 카시마와 카토리의 맛샤(末社)도 전국적으로 많이 있으며, 특히 토호쿠지방(東北地方)에 많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 또, 후지와라(藤原) 씨를 우지가미(氏神)로 삼는 카스가 타이샤(春日大社)도 이 두 신과 아메노코야네노카미(天児屋根神)와 같은 히메노카미(比売神)를 주제신으로 삼고 있다.

 후츠(フツ)는 사물을 베는 소리... 즉, 검의 베는 맛에 대한 형용사이며, 또, 타케미카즈치(建御雷)는 검이 발산하는 빛... 즉 천둥벼락(稲妻)을 연상시키기에, 이는 신의 강림을 나타내는 말이라고도 여겨진다. 또 『니혼쇼키』에서 말하는 후츠누시노카미는, 『古語拾遺(코고슈이)』에서는 이와이누시노카미(斎主神)라 기록하고 있다. 

 카시마, 카토리로 나란히 불리우면서도, 카토리, 카시마라고는 말하지 않으며, 신계(神階: 신의 계급)에서도 카토리보다도 카시마 쪽이 좀 더 위라는 것 등을 더해서 생각해보면, 만약 두 신이 동일한 신이라면 카시마 진구우가 본사(本社)이고 토네 강 건너에 있는 카토리 신이 카시마 신의 이와이누시(斎主)... 즉, 사제(司祭)를 신격화한 것이라 말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후츠노미타마(검)를 모시는 진쟈(神社)]

나라 현(奈良県) 텐리 시(天理市) 후루 쵸(布留町) 후루야마(布留山)에 있는 이소노카미 진구우(石上神宮): 칸다이(官大)


[타케미카즈치노카미를 모시는 진쟈]

이바라키 현 카시마 군(鹿島郡) 카시마 쵸(鹿島町) 미야나카(宮中) 카시마야마(鹿島山)에 있는 카시마 진구우(鹿島神宮): 칸다이


[후츠누시노카미(사이오인 이와이누시노카미)를 모시는 진쟈]

치바 현(千葉県) 사하라 시(佐原市) 카토리(香取)에 있는 카토리 진구우(香取神宮): 칸다이


[타케미카즈치노카미와 후츠누시노카미를 모시는 진쟈]

나라 현 나라 시(奈良市) 카스가노 쵸(春日野町)에 있는 카스가 타이샤(春日大社): 칸다이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

user error : Error.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