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다리우스'가 주 공격수 챔피언이 아니였네요???2012.12.30 PM 12:00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OL 백과사전 어플을 보면 (인벤에서 만든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인기많은 어플입니다.)
주 공격수(Carry)를 분류를 해놨는데

애쉬, 이즈리얼, 드레이븐, 그레이브즈, 바루스...etc
그런데 다리우스가 없네요?

다리우스는 딜러 역활을 많이하죠?
애쉬보다 더욱더 딜러와 주공격수 느낌이구요.

코르키 보다도 그런 느낌이 강한거 같구요.
여기서 잠깐 저는 초보입니다. 초보의 궁금증이니깐 조언적 리플 환영합니다.

아무튼 본론으로 와서, 다리우스는 왜 주 공격수(Carry) 분류에 들어가지 않는걸까요?

댓글 : 8 개
  • AsEVA
  • 2012/12/30 PM 12:08
주 공격보다는 약간의 탱역활도하는 딜탱케릭터라 그런거 같은데요. 다리우스가 좋은 케릭터지만 가장 큰 데미지를 줄수있는건 궁이고 그이외에 한타에서는 적군 딜러를 끈질기게 물어줘서 상대방이 딜을 못하게 만드는 역활이라고 보거든요. 주 공격수들을 보면 대부분 원딜 그러니까 평타나 스킬굴이 짧아서 딜을 계속 넣어주는 애들일텐데 다리우스는 사실 스킬 쿨이 짧은 편이 아니라 그런거 같습니다.
외국에서는 원거리딜러를 AD Carry 라고 하는데 그에 따른 분류라고 생각하심 될듯

일단 해외에서는 원거리 딜러를 AD Carry라고 하고 있고, 다리우스는 근접이니 해당사항이 없죠.

그리고 게임의 역할 상, 정글이나 탑라인에 가는 챔피언들은 보통 팀을 위해서 탱킹을 해줘야 합니다.
안그러면 원딜이 공격을 넣기도 전에 팀 전체가 녹을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다리우스가 공격력이 강력할지는 몰라도,
근접 챔피언들은 적의 공격을 맞으면서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방탬을 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게임 중후반 이후에는 다리우스는 공탬보다는 방탬을 많이 가야 하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다리우스가 딜러가 될 수 없는 이유는, 다리우스의 공격력은 대부분 궁에서 나오는데, 궁으로
적을 죽여야 궁극기 쿨타임이 초기화된다는 이유가 있죠. 이걸 바꿔 말하면, 적이 빈사상태에 이르기까지 오로지
Q,W,평타만 가지고 싸워야 한다는 이야깁니다. 그 공백기간동안 공격을 해주는게 누커랑 원딜의 역할이죠. 게다가
다리우스 혼자 킬을 다 먹어버리면 팀의 성장이 어려워지므로 킬 양보까지 해줘야 하죠. 그래서
다리우스는 한타에 들어가면 공격력이 많이 약해진다고 봐야 합니다. 실제로 게임 후에 그래프를 보면
다리우스의 딜은 일반 딜탱들 수준과 비슷한 정도죠. 만약 다리우스가 팀에서 가장 적 챔피언에게 피해를 많이 주었다면,
아군 원딜과 누커가 심하게 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딜탱
그리고 다리우스가 처음 출시되었을 때 징징이들이 얘는 왜 이리 공격력 계수가 높냐고 했을 때, 디자이너가
실제로는 방템을 둘러야 하기 때문에 그정도 주었다고 헀죠. 그게 사실이에요. 다리우스가 공격력 계수가 좋은건
딜템을 적게 가도 공격력이 나쁘지 않으라는거지 공격적으로 가라는 것은 아니었고, 올공으로 가다가는 왠만한
실력으로는 걍 녹습니다.

다리우스는 트린, 피오라처럼 무적도 없고, 잭스나 가렌처럼 몸을 보호할 수단도 없습니다.
돌진기나 CC면역도 없구요. 공격력은 강하지만 딜탱중에 자기 보호에 가장 취약하다고 할 수 있죠.
그리고 또 E스킬은 뎀지가 없죠.
라인전에선 효율좋은 스킬 하나만 있어도 싸움이 되지만
한타싸움에선 스킬을 다 쏟아부어서 화력을 집중해야되는데
스킬 하나가 보조기술이라는것도 은근히 커요
주 공격수 명칭은 주로 ad원거리 딜러들에게 붙고 근접계열들은 전사(fighter)라고 분류되 잇을 거에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딜탱 외국에서는 브루져라고 통칭.
ad면서 몸이 약한버스트딜 챔프는 암살자로 분류됩니다
답변들 정말 많이 감사합니다. 리플 하나하나 정독 했습니다. 정말 큰 도움 됩니다. 고맙습니다.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