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도저도] 피의 거짓 점수 보고 드는 생각2023.09.14 PM 01:19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소울 스타일인데 그지 같이 만들었으면 그 점수도 못 받았을 꺼 임



뭐 수작까진 아니더라도 그래도 소울 냄새나는 할만한 게임은 된다고 생각 됨

댓글 : 9 개
  • A-z!
  • 2023/09/14 PM 01:25
인왕도 그렇고 와룡도 그렇고 다들 80점대 초중반인걸 감안하면 피의거짓도 충분히 잘 만든 게임인거 같은데 콘정게에선 못 잡아 먹어 안달인 애들이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네요.
언급 하신 두 게임을 회상해보니 둘 다 엔딩 보긴 했는데 ㅋㅋㅋ

둘 간의 공통 점이라면 최적화가 좀 그랬네요
/왜날뾁에올인// 하지만 피의 거짓은 최적화 좋아요,
'평가'라는 게 그런 것이죠. 아무리 완벽한 것이라도 흠을 잡으려고 하면 없던 것도 만들어낼 수 있죠. 그렇기에 평론의 기본은 단점을 보는 게 아니라 장점을 먼저 봐야 하는 것이고, 그럼에도 아쉬운 점이 있다면 단점으로서 평가를 내려야 하는 것이죠. 하지만 의견 교환이 자유로워진 세상에서 전문적이지만 않다면 누구나 평가를 내릴 수 있는 입장이 되다보니, 과연 무엇을 위한 평가를 하는 것인지 스스로도 목적을 잃어버린 의견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이건 비단 본문에서 언급한 작품 외에도 많은 작품에 해당되는 이야기이죠. 더구나 각자의 기호와 원류를 중요시하고 아류를 혐오하다 못해 죄악시하는 풍토와 합쳐져서 나타나는 현상이다보니 후발주자와 시작점을 디벨롭하려는 입장에서는 벗어나기 힘든 꼬리표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평점을 박하게 매기는 평론가들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존재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하고, 그 평가는 다른 평론가들가 비교해 상대적인 게 아니라 절대적 부분에 있어 유사점을 가져야 하죠.

그러니 인터넷에 그냥 떠도는 평가들은 그 비중이 어떠하든 여러 의견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참고하는 수준으로만 생각하면 된다고 봐요^^
그래서 소울을 하기가 싫음.
'피'의 거짓하니깐 제목이 더더욱 소울라이크스러운데요?ㅋㅋㅋ
80점대면 잘나온거 같은데
기준이 너무 높아져버림 ㅜ
블러드본을 너무 대놓고 베꼈다는 이유로 점수 많이 깎이던데
그거 감안하면 게임 완성도는 좋다는 얘기인듯
피뼈 잼있게 했으니까 피거짓도 잼있겠지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