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옜날글들] + 블레이드러너에 대한 소고2012.12.20 AM 03:53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블레이드 러너를 처음 본 것은 정치경제학 시간 이였다.
굉장히 급진적이며 본질적인(radical)사고를 지닌 학문인 정치경제학시간에 이러한 공상과학물을 본다는 것은 상당히 이채로운 경험이었다. 영화는 레플리컨트라 불리우는 안드로이드의 수명연장을 위한 여정과 이들을 잡으려는 주인공사이에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이들 레플리컨트의 여정은 다분히 신화적이며 은유적이다. 한정된 수명을 늘리기 위한 여정은 창조주의 살해로 이어지고 이들은 예고된 죽음 앞에서 주인공에게 하나씩 제거된다. .

특이한 것은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조인간은 안드로이드(android)라는 용어 대신에 리플리컨트(replicant)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영화를 볼 당시에는 이것에 대해 그리 큰 의미를 두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이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리플리컨트는 복제된 것, 즉 인간의 복제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복제된 인간은 개인성(individuality)상실된 완전한 개체화(individuation)된 오로지 수행성만을 위해 목적에 맞는 스펙, 그리고 수명마저 결정되어버린 존재로 공장에서 만들어진다. 벤야민이 대량 복제된 예술품을 이루어 말하길 아우라가 제거된 예술이라 하듯이 어찌 보면 이들은 인간의 아우라가 제거된 인간인 것이다.

벤야민의 복제된 예술의 아우라의 부재를 논하기 위해서는 예술의 아우라는 어디에서 오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전제되어야 하지만 벤야민 자신도 여기에 대한 확답을 내놓지는 못한 것 같다. 그렇다면 예술의 아우라는 그렇다치고 인간의 아우라는 어디에서 오는가? 영화의 라스트씬에서 최후의 레플리컨트는 주인공을 구해주고 의미심장한 대사를 날린다.

“I've seen things you people wouldn't believe. Attack ships on fire off the shoulder of Orion, I watched C-beams glitter in the dark near the Tanhauger gate. All the moments will be lost in time, like tears in rain. Time to die. -나는 너희 인간들이 상상도 하지 못할 것들을 보았어. 오리온 전투에서 불타오르던 우주전함들, 그리고 탄호이저 기지에서 어둠 속에 반짝이던 씨-빔의 물결도 보았어... 이 모든 기억들이 곧 사라지겠지. 빗속의 눈물처럼... 죽을 시간이야."

한인간의 유언같은 그의 대사는 그들의 실존했음을, 그들이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았다는 것을 웅변한다.

물론 그는 사람이 아니다. 하지만 그 장면에서 ‘너는 사람이 아니다’ 라고는 말할 수 있을까? 여기에서 느낀 그 어떤 것이 바로 인간의 아우라가 아닐까? 인간의 아우라는 존재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어미 ~다로 정의 될수 없는 우리네 인생처럼 모호한 그 무엇만이 내머리속을 맴돈다.
댓글 : 0 개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