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틱 이야기] 조이스틱 인풋렉에 관한 유저들의 민감한 의견들2016.01.31 PM 09:23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LINK : //www.rtings.com/tv/reviews/by-test-results/input-lag

유저들이 격투게임에 대한 정보와 관심이 많아지면서 조이스틱별 인풋렉 (입력지연시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조이스틱 관련 정보글에 꼭 인풋렉 관련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관련해서 제가 가끔 댓글로 남기는 내용이지만 조이스틱보다 더 중요한게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인풋(출력)렉입니다.

이유는 사용할 수 있는 조이스틱은 손가락 5개 안으로 꼽히는데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는 수십가지 (수백가지) 이니까요.


그래서 제가 하는 말은 '조이스틱 렉보단 디스플레이 렉을 신경써야한다.' 라는 것입니다.

조이스틱 관련글마다 댓글로 이 조이스틱 인풋렉 쩔어서 사용 못하겠네요. 라는 댓글이 있습니다.
........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렉은 알고 하는 소리?



아래는 인풋렉 관련 설명입니다.


※ 프레임 관련 수치 설명

ms = 1/1000 초
1프레임 = 0.016 초



[TV 인풋렉 측정 사이트 바로가기] - 위의 관련링크 참조

[조이스틱 인풋렉 측정 사이트 바로가기]





조이스틱 인풋렉 측정 사이트의 정보를 토대로 상위 5가지의 PS4 조이스틱(컨트롤러) 인풋렉을 프레임화 시키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은 디스플레이 인풋(출력)렉 측정 결과입니다.




인풋렉 측정 예) 삼성 모니터 2333HD

※ 저는 디스플레이 렉 테스트 장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엣헴 ㅋㅋ








위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건 조이스틱(컨트롤러)만 놓고 본다면 인풋렉에 크게 연연할 필요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위의 27.8 같은 경우는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양호한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구입해서 사용하는 모니터나 TV 의 경우 보통 40ms 이상입니다.

40ms = 2.5 프레임



조이스틱은 상위 5위 안에 제품만 사용하더라도 최대 0.3 프레임 손실인데 반면 디스플레이는 2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손실을 안고 갑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조이스틱으로 인풋렉을 줄일 것을 고민하는게 옳을까요. 아니면 디스플레이로 인풋렉을 줄일 것을 고민하는게 옿을까요.
물론 디스플레이의 경우 쉽게 바꾸지 못하는게 맞습니다. 기존에 사용중이던 디스플레이가 멀쩡한데 격투게임을 위해서 바꾸자니 그것도 돈이고,
그렇다고 국내에서 판매중인 디스플레이의 인풋렉 정보를 확인할 방법도 없으니까요.



그래서 저의 결론은

조이스틱의 인풋렉을 크게 연연하지 말자. 입니다.

매우 간단한 결론 ㅋㅋㅋ







댓글 : 4 개
헐 스틱을 쓰면 인풋렉이 있나요?
모든 입력기기의 인풋렉은 0.0ms 일수가 없습니다.
PS4 기본 컨트롤러인 듀얼쇼크4 조차도 1.83ms 의 인풋렉이 있습니다.
tv 인풋렉 꼭 봐야죠

격겜할때 진짜 확티남
철태그2 샀을때 TV모니터 사양은 분명 5ms 인데 묘하게 늘어지는 느낌이 나더라구요

게임모드가 있는건 나중에 책자를 보고 알았고

주위 같이 게임하는 형들은 별로 안느껴진다고 했는데

제가 생각한건 모니터에 그래픽엔진이 있어서 여기서 보정하고 나오면 반응이 느려지는구나 생각했죠 그래서 게임모드가 따로 있던거 같구요

그이후였나 철권 자주 하진 않는데 오락실도 느리게 입력되는거 아닌가하는 기현상이;;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