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노래하는 사람들.2009.10.09 AM 10:57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그래요. 어느새

모든 사람들이 노래정도는 '쫌'하는 세상이 되었죠.

노래방에서 누구나 '고해' 정도는 불러 주면서

아 난 역시 가요계로 가야돼

라고 생각하는 상향평준화 된 세상.

그러면서, 누군가의 노래에 대해서 쉽게들 말을 던지는 세상이 되었어요.

10년 전만 해도 찾기 힘들었던 전문 보컬 양성 기관이

발에 차일 정도가 되었고 일반인들도 '두성', '흉성', '가성' 정도는

주저리 주저리 읊을 정도가 됐습니다.

그런데, 언제나 하는 말이지만

노래에 가장 중요한 점은

음역이나 음의 지속력 같은 올림픽 종목이 아니라

결국엔 오리지널 리티 입니다.

보컬 트레이닝?

받으면 좋죠.

그런데 그게 한편으로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사람들은 잘 모르더라구요.

연주와 달리, 노래는 사람마다 음역이 다르고, 음색이 다릅니다.

그런데도 요즘 유행하는 얼반 계열의 소울풍 보컬들은

한때 '소몰이' 라는 말이 나왔듯이 개성이 사라지고 바이브레이션 남발로 가는 경향이 있죠.

임재범이 박명수의 '바보가 바보에게'를 부르면

그게 임재범 노래가 되는 걸까요? 그게 박명수보다 나은게 될까요?

인순이의 '거위의 꿈'이 카니발보다 아름다웠던 이유는

인순이의 가창력이나 해석력이 카니발보다 월등했던 이유도 물론 있습니다만,

그보다 인순이의 드라마틱한 인생이 카니발보다 '거위의꿈'에 잘 들어맞았기 때문 일겁니다.

가창력으로 따지면 조덕배나 김현식은 좋은 보컬이 아닐겁니다.

락의 전설 로 부르는 전인권씨는 더더욱 말할것도 없겠죠.

노래는, 목소리는 결국 자신만이 가진 하나의 '악기'입니다.

기타를 남보다 빨리쳐야만 의미있는 것이 아니듯,

자신만의 개성을 찾는게 더 중요합니다.

ps. 아직도 스틸하트의 쉬즈곤을 부르는 일부 보컬 지망생에게-

..고음이 주가 되던 음악장르는 벌써 20년 전에 끝났구요, 메탈 씬에서도

설수있는 폭이 좁아요. 진짜 음악이 하고 싶으면 좀더 깊은 생각이 필요합니다.

마룬파이브가 노래를 잘하던가요? 라디오헤드는요? 콜드 플레이는요?

메탈리카의 제임스 햇필드는요? 데이브 머스테인은요?

ps2. 한국에서 아직도 잘 나가는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휴스턴 류의 보컬은

세계적인 추세로 테크닉 과잉의 '촌스러운' 음악이 되어버렸습니다.

아메리칸 아이돌만 봐도 테크닉 과잉의 보컬들이 받는 대접이 눈에 보이죠.

마치 한국에서 '신효범' 이 받는 대우와 비슷할겁니다. 보컬은 확실히 훌륭하고

노래는 엄청나지만... 듣기에 부담스럽고 왠지 촌스러운.

(그렇다고 신효범씨가 촌스럽단 얘긴 아닙니다.)

ps3. 특히 밴드를 목표로 보컬을 하시는 분이라면, 고음에 힘없는 새소리 보다

저음에 힘있는-(성량좋은) 보컬이 훨씬 중요합니다. 공연 시간내내 엄청난 소음

드럼, 디스토션 기타, 베이스 와 싸워야 하거든요. 오로지 마이크 하나로.

댓글 : 8 개
굳이 추신에 사족을 달자면, 애덤리바인, 톰요크, 크리스 마틴 다들 노래를 잘부릅니다. 제임스 헷필드 마져도요.. 아, 고음역대를 중시하는 우리나라 음악시장 기준에는 못부르는거지....
Urban Sierra// 그렇죠. 잘하죠. 제가 하는 말은 '테크닉적'인 면에서 그렇지 않아도 좋은 보컬 이란 얘기였죠
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상태에서의 보컬 트레이닝을 받는 것은 스스로의 음색을 버리는 꼴이나 다름 없더군요-.-

덕분에 이전에 배웠던 것들 전부 성대 이완시키며 버리는 중입니다..

보컬 트레이너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확 달라지더라구요.

저 같은 경운 흔히 말하는 미성인데, 전 보컬 트레이너 선생님이 무겁고 굵게 끌어내리는 트레이닝을 시키더군요.

결국 저음도 이상하고, 고음도 이상한, 요상한 소리만 나게 되었습니다.

물론, 70~80년대의 각각 다른 보컬리스트들의 노래를 카피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자신의 성대에 자연스레 맞는 음을 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고음이 맞다면 고음대로, 저음이 맞다면 저음대로 말이죠.
팽도리☆//뭐, 보컬 트레이너를 전부 까는 글은 아닙니다만, 한국 보컬트레이너들이 대부분 저음의 소울 풀한 보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옙 지금은 좋은 보컬 트레이너 선생님(무려 30년 선배!?) 만나서 제 성대에 맞는 음 찾아가며 하니 음역도 늘어나고 성량도 늘어나고 음색도 원래의 음색을 찾고 등.. 확실히 얻는게 많네요.

예전 보컬 트레이너 선생님은 프로이신데도 저한테 맞지 않는 트레이닝을 시키신 것으로 보아, 보컬리스트로써의 실력과 트레이너로써의 실력은 관계 없는 듯 합니다 -.-;

하나 더 붙이자면, 요즘은 보컬 양성기관이 많아졌지만, 그만큼 뿌리가 깊지 못한 곳들이 많다보니 보컬 트레이너로써의 자격미달인 분들이 자주 보이더라구요.. 조금만 들어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ㄴ-;
팽도리☆// 그걸 알기 힘든데 너무 남발하듯 트레이닝 스쿨이 늘고 있죠. 히딩크는 훌륭한 선수는 아니었지만 훌륭한 감독이었죠.
  • kumun
  • 2009/10/10 AM 07:02
흠... 자신의 음역대에서 잘 부르는 보컬이 좋은 보컬이긴 하지만 고음을 간과할 수는 없죠 음역대가 넓은 것도 좋은 보컬 요소 중 하나고 당장에 아메리칸 아이돌만 보더라도 요번 시즌에서 애덤 램버트가 보컬에서 엄청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게 보이죠 매 시즌마다 엄청나게 고음을 강조하는데 말이죠
kumun//그 경우야 방송에서 엔터테인 적으로 흥행할 요소가 있으니까 뭐 그런거구요. 다른 예로, 도트리만 봐도 고음 보컬 아닌게 뭐 뻔히 보이죠 뭐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