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자동차 시동후 출발까지 예열은..2017.12.17 PM 02:54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어느정도 적당한가요 첫 겨울운전이라.. 시동후 히터는 언제틀어야되는지 적당하나요 궁금합니다. 

댓글 : 12 개
요즘 차량은 예열없이 바로 타도 무관 하다고..하던데 꼭 해야 한다면 30초-1분내 정도 하셨다가 출발 하셔도 됩니다.
히터는 온도 보시고 약간 올라갔을때 켜시면 되고 (바로 틀어봤자 찬바람 나오니..) 겨울이라도 에어콘 기능으로 3-4분 가량 해주는것도 좋다네요.. 무엇보다 도로 체크를 잘 하셔야 돼요 공중에 떠 있는 다리(물가 있는)엔
눈이 없더라도(말라 있더라도) 항상 빙판 주의 해야 합니다.. 전문 용어로 블랙아이스 라고 아침.저녁엔 얼 수가 있어요.. 낮에 추울때라도 계절 운전중 겨울철이 제일 위험하고 힘든 계절이라.. 항상 안전 운전 하세요
저는 시동켜고 알피엠 조금 내려가면 출발합니다.

시동켜고 바로출발해도 상관없다는 말도 있더군요. 주차장 천천히 빠져나오면서 알아서 예열된다고.(급가속x)
rpm 1000 라인이 가장 적당함. 무슨차든 어떤 계절이든 차가 기다리면 rpm 안정권 들어오면 앤진 예열 소리가 줄어드는 타이밍이있음. 그때임
보통5분정도 예열 합니다.
요즘 나오는차 예열 안해도 된다는게 그건 구라라고 하던대
자동체 예열 안하고 차가운 상태로 바로 시동걸면 자동차엔진 수명 엄청 단축된다고 하더라구요.
이건 박명일 명장도 이야기 하던대요.
십년째 타고 있는데 예열 그런거 안하고 다녀도 끄떡 없던데요
디젤이고, 3분 정도 합니다.

추운날 아침에 시동켜면 엔진이 콜록콜록 앓는 소릴 내는데, 좀 잦아들면 3분 정도
날이 많이추우면 시동켰을때 엔진소리가 많이 다릅니다.
그 소리가 조금 안정되었다 싶은 정도만 해도 되요.
예열시 중요한건 시동걸고 움직이는게 아니라 rpm을 많이 안높이시는겁니다.
rpm이 높게 안올라간다면 계기판에 불다 들어오고 하는것만 끝날때 까지 기다리고 출발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여름에는 30초에서 1분 사이에 출발하고
겨울에는 어느정도 오일온이 올라올때까지 예열합니다.
디젤....2002년식 구형 4륜 쏘렌토.....

중고를 구매해서 제가 3년째 몰고있는데...바쁘면 예열같은거 안하고 천천히 달려서 나가네요.

이른 새벽에 (4시정도) 출근하는데 야외주차장에서 단한번도 탈난적 없네요.....^^
히터는 그냥 켜놓으면 물 온도 올라갔을 때 더운 바람 나옴 (물론 처음부터 켜면 계속 찬바람 맞아야 되니 그 부분은 알아서. 저는 그 찬바람도 좋아해서...라기 보다는 온도 봐가며 켜고 끄는 게 귀찮아서...;;; )
예열 요령은 위에도 많이 적어두셨네요..

히터는 냉각수 온도 게이지 잘 보셨다가 한중간에 가깝게 갔을 때 틀어주시면 바로 따뜻한 바람 나옵니다.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