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 인터스텔라를 본 주갤러의 흔한 질문.jpg2015.03.23 PM 11:21

게시물 주소 FONT글자 작게하기 글자 키우기


.
댓글 : 12 개
우주시대에는 정말 고려해봐야 할 문제네.
본사가 지구에 있으니 지구 시간 기준으로 줘야하지 않으려나
당연히 23년치 아님? 어쨋거나 노동자는 23년동안 근무하고 일을 한거니..만약 그렇지 않으면 누가 일하겠음? 아...3시간 일하다 온 애들은 당연히 3시간어치만 줘야하고..(물론 23년간의 물가상승률은 고려해서)
열정페이
사실 영화상에선 열정페이 맞죠...못 돌아온다는 전제하에 출발시킨건데 돈이나 줬겠습니까? ㅋㅋ 가족들 살리는거라 꼬셔서 보냈는데 실상은 또 그것도 아니니 열정페이만도 못한 사기임.
출발하기 전에 미리 다 지급하는거죠
가족들 케어해주고
3시간 일하고23년치
개꿀
저거 비슷한 일이 실제로 있음.
전쟁 중에 갚지 못한 빚은 전쟁 전의 화폐 액면가로 갚아야 하는가 전후의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서 갚아야 하는가... 독일 같은 경우에는 판결이 후자였고, 한국은 전자였었던듯.
그런데 영화에서 행성간 시간차 때문에
실제로 우주선에 남아있던 사람은 23년 지난거니까..
23년치 급여를 줘야죠...
몇천년간 은행이 남아있었다니....
3시간 일하고 23년치 급여에 늙지도 않았으니 개꿀이네
친구글 비밀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