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49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36 명
  • 전체 : 1341435 명
  • Mypi Ver. 0.3.1 β
[경제] 강방천 회장이 알려주는 2021년 주식투자 유망섹터 (0) 2021/04/18 AM 01:32


 

0. 주가가 아닌 시가총액을 보라

 

1. 운이 좋았다는 말에 숨겨진 의미는?

→ 어떤 과정이 있었다고 생각함, 인내와 좋은 기업은 오른다는 믿음도 있었음

 현재의 노력은 운을 만나면 결실을 맺게 됨

 

2. 미래 산업 중에 주목하고 있는 것은?

 세상에는 항상 진화가 있음

 왜 10년의 역사 속에서 시가총액 1000 조 이상의 기업들이 많이 나올까?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에 기초함

 2008년 ~ 2013년까지 있었던 스마트폰 하드웨어 혁신

 2013년 이후부터 스마트폰에 기반한 플랫폼 혁신

 그 다음으로 주목한 것은 빅데이터 혁신임 (빅데이터 = 인공지능의 먹이감)

 두 번째, 에너지 패러다임임(탄소 기반형 에너지에서 탄소 중립형 에너지로)

 그 에너지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수소에너지

 그 속에서 철강보다는 구리에 주목하는 사회 (전기화 사회의 첨병)

 

3. 스마트모빌리티는 어떻게 변할지?

 자동차가 IOT의 접점이 될 것 같음

 하드웨어 질서가 아닌 OS기반형으로 갈 것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 인포테인먼트)  

 하드웨어 가치에서 서비스 가치로 소비와 지출이 바뀔 것임

 차가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임

→ 스마트폰 시장이 하드웨어 브랜드가 아닌 소프트웨어 생태계 위주로 재편된 것과 유사

ex) 애플카 vs 테슬라 vs 구글 vs 바이두

 

4. 디플레이션의 역사가 노멀이었다면 뉴노멀이 등장할 수도 있음

 인플레이션의 징후를 의심해 봐야 함

 

1) 13년 이상 인플레이션이 없었던 이유는 저가의 중국산 제품이 전 세계에서 수출되는 환경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음

 '앞으로도 중국산 제품이 쌀까' 라는 의심을 해봐야 함 (중국의 인건비 증가, 미중 갈등)

 

2) 혁신적인 유통 플랫폼 (아마존, 알리바바, 쿠팡) 덕분에 줄어들던 유통원가도 더 이상 절감하기 힘듬

 

3) 코로나 사태로 드러난 개별 국가의 생산능력 부재 (해외 의존의 위험성 인지)

 

“미국이 해적질”…전세계 ‘마스크 쟁탈전’ 가열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35689.html 


→ 원가 절감등을 이유로 해외로 이전했던 자국의 제조업을 다시 불러들이는 '리쇼어링' 움직임 활발

→ 핵심 전략 산업은 개별 국가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큼 (반도체, 배터리 등)


바이든 "반도체는 21세기 편자의 못…미국서 더 만들겠다"

https://news.joins.com/article/24000259

 

폭스바겐, 2030년까지 배터리 공장 6곳 설립…한국산 줄인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15/2021031502768.html


 13년 동안 양적완화,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디플레이션 때문임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으로 바뀌게 되면 중앙은행이 두 손을 들 것 같음

 수요 견인형 인플레이션은 세금으로 통제 가능함

 원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은 통제하기 힘듬

 통제 불가능한 코스트 푸쉬 현상이 목격된다면 디플레이션에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전될 수 있음

 

5. 인플레이션이 온다면 어떻게 대비해야 될지?

 인플레이션이 온다면 금리를 올릴 것임

→ 오늘날 같은 개방된 금융 환경에서 YCC (수익률 곡선 통제) 같은 금리 강제 조절은 별 의미가 없음

 금리를 올린다면 과거 13년 동안 금리인하의 수혜를 받은 (= 패시브 펀드가 선호하는) 기업에는 가격 하락 압력이 발생할 것 

 그 때 좋은 기업을 싸게 사면 됨

신고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