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맨 켄!
접속 : 3493   Lv. 68

Category

Profile

Counter

  • 오늘 : 803 명
  • 전체 : 1375281 명
  • Mypi Ver. 0.3.1 β
[퀀트] ROE 개선 '될' 기업을 찾아라 (미래에셋증권 유명간 선임연구위원) (0) 2022/01/08 PM 02:25

 

 

img/22/01/08/17e38258e732255ed.png


시장 전체의 ROE가 빠지는 상황에선 ROE가 개선되는 기업에 알파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 

 

img/22/01/08/17e382590b72255ed.png

 

단순히 ROE가 높은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은 시장대비 초과 수익이 생각보다 크지 않음 

 

img/22/01/08/17e382592402255ed.png


 

img/22/01/08/17e382594002255ed.png

 

ROE가 전분기 대비 증가하는 종목을 사는 전략은 알파가 분명히 존재 


img/22/01/08/17e382595942255ed.png

 

ROE 구성 요소


①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 순이익/매출액
→ 순이익을 세후 순매출액으로 나눈 개념. 즉 매출에서 모든 비용과 세금을 공제한 후 소유주에게 남은 부분을 나타냄.

② 총자산 회전율 (Total Asset Turnover)
→ 매출액/총자산
→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활동성 비율 가운데 하나
→ 기업의 총자산이 1년에 몇 번이나 회전하였는가를 의미.
→ 총자산회전율이 높으면 유동자산·고정자산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반대로 낮으면 과잉투자와 같은 비효율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③ 레버리지 비율 (Leverage Ratios)
→ 기업의 부채 상환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들 ⊃ 자산비율 (총자산/자기자본)

img/22/01/08/17e382597e62255ed.png 

img/22/01/08/17e38736ec52255ed.png

 

img/22/01/08/17e3892e0332255ed.png

 

 

똑같은 ROE 개선이라도 그 내용은 각각 다름

→ 총자산 회전율 ≒ 매출액, 순이익률 ≒ 이익

 

Q. 감가상각비 비중이 작은 빅테크 기업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 아닌가?

→ 빅테크 기업의 ROE는 시클리컬을 포함한 전통산업과는 차원이 다름 (약 30%)

→ 빅테크 기업의 ROE 개선도 결국 이 3가지 요인으로 환원됨


▶ 유형2 (마진은 정체, 매출은 증가) : 비용부담이 끝나면 유형3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

→ 펀드매니저들은 이익은 잘 안 나오지만  매출이 증가하는 기업을 찾음

(매출이 고정비를 커버하는 수준을 넘으면 이익이 크게 증가)

→ 이를 위해서는 Bottom Up 분석이 필요

 

유형3 (총자산 회전율 ↑, 순이익률 ↑) : ROE 개선 속도 및 주가 상승 폭이 가장 큼

→ 총자산 회전율 증가의 의미 : 총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재고자산보다 매출이 더 빠르게 증가


유형4 (총자산 회전율 ↓, 순이익률 ↑) : 유형5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서 투자에 유의해야 함 (피크아웃)


 

img/22/01/08/17e38259d552255ed.png

 

SK하이닉스 : 총자산회전율이 증가하며 ROE가 개선될 때 주가 퍼포먼스가 좋았음

→ 총자산 회전율은 ROE를 볼 때 항상 함께 봐야 하는 지표

 

img/22/01/08/17e388bc6d82255ed.png

 

 

 

img/22/01/08/17e3825a0812255ed.png

 

img/22/01/08/17e388cf8f42255ed.png

 

신고

 
X